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8-04-26 13:48
[한국사] 현 요하의 물길이 의문이다
 글쓴이 : 감방친구
조회 : 1,047  

소릉하, 대릉하를 소요수ㅡ대요수로 나누고 통칭 요수라 한 것처럼

현 요하도 쌍태자하ㅡ대요하 이렇게 통칭 압록이라 한 것인가?

아무리 봐도 고중세에 요하 하구는 오늘날과 같이 두 개로 보인다

어짜피 한 강인데 하구가 두 개인 거니까

고지도를 봐도 어떤 거는 하나 어떤 건 둘로 표현하니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독산 18-04-26 16:23
   
동요하와 서요하가 합류해 흐르는 물줄기를 요하강이라 일컫는다. 그러므로 복덕점에서부터 요하로 불리는 이 강은 남쪽으로 철령지역을 지나 심양 경내의 석불사(石佛寺) 저수지와 신민(新民), 요중(遼中)을 거쳐 안산(鞍山)지역의 대안(臺安), 해성(海城)과 반금(盤錦) 지역의 반산(盤山)과 접경지대에 들어선 다음 삼차하(三叉河)란 곳에서 지류인 혼하강과 태자하가 합류된 물줄기와 외요하(外遼河)로 연접되었다. 이리하여 요하강은 여기서부터 두 갈래로 갈라진 셈이다.

한 갈래는 반금으로부터 발해(渤海)로 흘러들고, 다른 한 갈래는 영구(營口)에서 발해로 유입한다. 이 두 강줄기 사이에 원래 외요하가 이어져 있어 강물이 서로 통하였다. 그런데 1958년, 반산현 육간방(六間房)지역의 외요하를 막아버려(이로 인하여 외요하가 폐기됨) 두 강줄기가 제각기 바다로 흘러들게 되었다. 요하강 원래 물줄기는 반금에서 바다로 흘러드는데 쌍대자하(雙臺子河)라 부르고, 혼하와 태자하가 합류된 물줄기는 영구에서 바다로 흘러드는데 대요하(大遼河)라 부른다. 요하강의 상류는 동요하와 서요하의 발원지에서부터 두 강물이 합쳐지는 복덕점까지고, 복덕점에서 심양 북쪽 석불사저수지까지는 요하강 중류이며, 석불사저수지에서 쌍태자하 입해구까지는 요하강 하류인데 이 구간을 하요하(下遼河)라 일컫는다.〔《고구려 유적 답사기행》(55) <동진 수.당 저지..고구려 서북부 지켜낸 천험의 요지>, 장광섭(중국문화전문기자)·윤재윤(요녕 조선문보기자).〕
     
감방친구 18-04-26 17:47
   
아주 속시원한 정보 공유 감사합니다
그렇다면 중국역사시도집에서 제시한 물줄기는 사기군요
감방친구 18-04-28 14:57
   
아니네요
제가 다시 알아보니

본류는 하나로 현 잉커우로 나가는 게 맞고
판진 방면의 물줄기 수량은 지금처럼 많지 않았답니다
그런데 비가 오면 잉커우쪽으로 물이 너무 넘쳐서 1958에 외요하(추자하)에서 요하로 들어오는 물길을 막은 뒤로 소위 쌍태자하라는 큰 물길이 생긴 거라네요
 
 
Total 20,026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93033
15760 [한국사] 호위대장이 된 한국 근대건축의 아버지 (1) 히스토리2 04-28 1783
15759 [한국사] 백제 숫자 맞추기 (8) 물길 04-28 1142
15758 [기타] 고려초중반 갑옷및 투구 (7) 응룡 04-28 4943
15757 [한국사] '고구려 타령' 좀 그만! 조선은 충분히 강했다 (11) shrekandy 04-28 2801
15756 [기타] 광개토호태왕과 비려(碑麗)..호태왕, 30만 비려군 대… (4) 관심병자 04-27 2029
15755 [한국사] 고구려 혹은 발해로 추정되는 고대 요새 (2) 스파게티 04-27 1145
15754 [기타] 거란이 고구려 후예 ? (7) 관심병자 04-27 2100
15753 [한국사] 거란 동경과 고구려 성의 위치 비정(시각화) (6) 감방친구 04-27 2524
15752 [한국사] 독립운동가 후손이 바라 본 동북아 역사재단 (2) 풍림화산투 04-27 938
15751 [한국사] 소소한 역사탐방 -백운동 (강진) 히스토리2 04-27 944
15750 [한국사] 만주족의 통일과 병자호란 2 히스토리2 04-26 832
15749 [한국사] 만주족의 통일과 병자호란1 (2) 히스토리2 04-26 1787
15748 [한국사] 요서 지역 성곽 유적 (8) 감방친구 04-26 1291
15747 [한국사] 소소한 역사탐방 ...남한산성 5 히스토리2 04-26 634
15746 [한국사] 소소한 역사탐방 ... 남한산성 4 히스토리2 04-26 758
15745 [한국사] 건안성과 요동성의 비정 감방친구 04-26 1171
15744 [한국사] 소소한 역사탐방...남한산성 3 히스토리2 04-26 603
15743 [한국사] 소소한 역사탐방 ... 남한산성 2 히스토리2 04-26 532
15742 [한국사] 소소한 역사탐방 ... 남한산성 1 히스토리2 04-26 662
15741 [한국사] 무경총요의 몇 가지 맹점과 해석 감방친구 04-26 1045
15740 [한국사] 잘못알고 있던 내원성來遠城과 보주保州와 압록강 (4) 히스토리2 04-26 1234
15739 [한국사] 금 건국시 동아시아 (4) 히스토리2 04-26 1136
15738 [중국] 당,송 교체기 동아시아 히스토리2 04-26 1534
15737 [한국사] 소소한 역사탐방 - 소쇄원. https://m.blog.naver.com/joonho120… (4) 히스토리2 04-26 1335
15736 [한국사] 고려 전기 강역 시비 (5) 감방친구 04-26 1054
15735 [한국사] 현 요하의 물길이 의문이다 (3) 감방친구 04-26 1048
15734 [기타] 조선복식을 보고 기뻐하는 중국인 (5) 응룡 04-26 1623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