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8-05-13 15:21
[한국사] 한국의 읍성 : 낙안읍성
 글쓴이 : 히스토리2
조회 : 979  

고려 후기부터 잦은 왜구의 침입으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해, 조선 전기에 흙으로 쌓은 성이다. 

z2_cp02081088000.jpg

조선 태조 6년(1397)에 처음 쌓았고, 『세종실록』에 의하면 1424년부터 여러 해에 걸쳐 돌로 다시 성을 쌓아 규모를 넓혔다고 한다.
 
읍성의 전체 모습은 4각형으로 길이는 1,410m이다. 동·서·남쪽에는 성안의 큰 도로와 연결되어 있는 문이 있고, 적의 공격을 효과적으로 막기 위해 성의 일부분이 성밖으로 튀어나와 있다. 성안의 마을은 전통적인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어, 당시 생활풍속과 문화를 짐작할 수 있게 해준다. 

낙안 읍성은 현존하는 읍성 가운데 보존 상태가 좋은 것들 중 하나이며, 조선 전기의 양식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낙안(樂安)은 백제(百濟)때부터 읍치(邑治)가 있었다고 하며, 고려말(高麗末)에는 왜구(倭寇)의 피해로부터 주민(住民)을 입보(入保)시키기 위하여 토축(土築)의 읍성(邑城)이 축조(築造)되었다. 1397년(태조(太祖) 6)에 김O길(金O吉)이 백성을 동원하여 토성(土城)을 쌓은 것이 현재 낙안읍성(樂安邑城)의 전신(前身)이 되며, 세종대(世宗代)에는 둘레 592보(步)의 석축(石築)으로 읍성(邑城)이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다운로드 (5).jpg



토축성(土築城)의 석축화(石築化)는 조선초기(朝鮮初期)의 전반적(全般的)인 추세였으며, 왜구(倭寇)가 예상되는 남해안지역의 읍성(邑城)이 맨 먼저 석축화(石築化)되었다. 이어서 세종(世宗)·문종대(文宗代)에 이르러 읍성(邑城)의 방어력(防禦力)을 높이는 국가적(國家的) 규모(規模)의 계획이 실천에 옮겨지게 되었는데, 문종원년(文宗元年) 8월(八月)의 기록에 낙안읍성(樂安邑城)에 대해 매우 구체적인 사실이 기록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둘레가 2,865척(尺)이고 성벽의 높이는 평지(平地)에서는 9척(尺)5촌(寸)이었고, 지형이 높은 곳에서는 8척(尺)5촌(寸)이었다. 그 위에 여장(女墻)의 높이가 2척(尺)5촌(寸)이 더하였고, 적대(敵臺)(치성(雉城))는 12개가 계획되어 4개만 완성되었다고 하였다. 성문은 3군데인데 옹성(擁城)이 없었으며 성안에는 우물 두 곳과 작은 못 2개가 있고, 성벽 둘레의 해자(垓字)는 아직 시설되지 못하였다는 것이다. 

이 고을의 진산(鎭山)인 금전산(金錢山)의 남쪽으로 낮아진 구릉에 동(東)·서(西)로 길다란 말각장방형(抹角長方形)을 이루고 있는 성벽은 성돌의 축조방법이 전형적(典型的)인 조선초기의 읍성형식(邑城形式)을 취하고 있다. 

성밖에는 동천(東川)과 서천(西川)이 자연해자(自然垓字)를 형성하고 있으며, 성벽은 높이 4m 쯤이고 두께 3∼4m인데 아랫부분의 폭은 7∼8m이다. 성벽은 아래에서부터 위로 오르면서 석재(石材)가 차츰 작아지고 기울기를 주어 쌓았고, 안쪽에서 성벽 위로 오르는 계단 모양의 좁은 통로도 만들어져 있어 세종대(世宗代)에 새로 규정한 「축성신도(築城新圖)」의 규식과 매우 흡사한 것이다. 

이 성에는 조선후기에 이르러 임경업장군(林慶業將軍)이 쌓았다는 이야기가 함께 전해오고 있다. 당초 성문은 남문에 쌍청루(雙淸樓)가 있고, 동(東)·서문(西門)에도 문루(門樓)가 있었으나 19세기(世紀)에 이르러 남문(南門)은 진남루(鎭南樓)라 하고 동문루(東門樓)는 낙풍루(樂豊樓), 서문루(西門樓)는 낙추문(樂秋門)이라 하였는데, 남(南)·동문루(東門樓)는 이층(二層)이었다.

이밖에 적대(敵臺)(치성(雉城))는 6개가 있었다고 하며 주로 동문방향(東門方向)에 배치되고, 문(門)에는 옹성(擁城)이 있었다. 남문 서쪽에 수구(水口)가 남아있고 치성(雉城)은 7m 크기의 방형(方形)이어서 조선시대 읍성연구(邑城硏究)의 귀중한 자료(資料)가 된다. 

성내(城內)에는 객사(客舍)·임경업장군비각(林慶業將軍碑閣)과 중요민속자료(重要民俗資料)로 지정된 민가(民家) 9동(棟)이 있고, 또한 전통적(傳統的)인 가옥과 옛 건물터가 남아있어 고풍(古風)을 간직한 가장 전형적인 고장으로 특별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다운로드 (4).jpg

다운로드 (3).jpg

c0302000036005.jpg

다운로드 (6).jpg

다운로드.jpg

c0302000036004.jpg

10.jpg
임경업 장군 추모비각 
3.jpg

다운로드 (2).jpg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6시내고환 18-05-13 18:09
   
해미읍성, 낙안읍성이 대표적인 읍성이죠 ㅎㅎ 두 곳다 가봤는데 보존이 잘되어있어 좋았습니다
 
 
Total 20,025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90879
15921 [한국사] 무경총요의 압록강과 신라 흥화진 (8) 도배시러 05-14 1140
15920 [한국사] 천리장성과 만주국 지도 (8) 히스토리2 05-13 2742
15919 [한국사] 객사에 대하여 (조선의 대표적인 관공서) (5) 히스토리2 05-13 1492
15918 [한국사] 조선고적도보에서 찾은 천리장성의 비극 (3) 히스토리2 05-13 1572
15917 [한국사] 한국의 대표적인 성벽(백제, 신라 , 가야 성곽도 포함 (3) 히스토리2 05-13 1667
15916 [한국사] 고려 때 천리장성(고려 때 지은 제주의 환해장성보다… (8) 히스토리2 05-13 2990
15915 [한국사] 송나라 도박 05-13 898
15914 [한국사] 일제에 의해 훼손된 화성행궁 (3) 히스토리2 05-13 1834
15913 [한국사] 이 양반들아, 고려가 뭔 동여진을 기미통치해? (6) 감방친구 05-13 1601
15912 [한국사] 한국의 읍성 : 낙안읍성 (1) 히스토리2 05-13 980
15911 [한국사] 고구려 강역의 서한선 (4) 감방친구 05-13 1720
15910 [한국사] 고려시대 강역 (36) 칼리S 05-13 1735
15909 [중국] ‘동북의 왕’ 장쭤린(張作霖)[중국근현대인물사] 2 (1) 히스토리2 05-13 943
15908 [중국] ‘동북의 왕’ 장쭤린(張作霖)[중국근현대인물사] 1 히스토리2 05-13 975
15907 [기타] 고대사학자 심백강 인터뷰 인터뷰(下)- 동아시아의 … (2) 관심병자 05-13 1229
15906 [한국사] 이런 게 의미가 있나요? (11) 감방친구 05-13 1351
15905 [한국사] 고려시대 최대 강역 (24) 감방친구 05-13 3246
15904 [기타] 세계 각국의 헌법 제1조문 (2) 고이왕 05-13 1180
15903 [한국사] 한국전쟁 때 파괴된 우리 문화재 (5) 히스토리2 05-12 2320
15902 [대만] 아편왕이 된 '골든트라이앵글'의 국민당 낙오… (2) 히스토리2 05-12 1633
15901 [한국사] 수원 화성, 과거와 현재 (4) BTSv 05-12 1537
15900 [한국사] 순종의 즉위와 논란(양위인가 대리청정인가?) 히스토리2 05-12 909
15899 [한국사] 수원화성의 옛모습(조선고적도보) (2) 히스토리2 05-12 1416
15898 [한국사] 미국토목학회는 ‘역사적인 토목 구조물 상’의 수… (5) 히스토리2 05-12 1470
15897 [한국사] 이병도에 대한 평가 (3) 히스토리2 05-12 957
15896 [한국사] 이병도의 친일행각 히스토리2 05-12 1018
15895 [한국사] 한국사의 태두 이병도(긍정론) / 자료찾기 무척 어려… 히스토리2 05-12 883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