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8-05-21 08:45
[한국사] 보우마스터 - 살리타를 죽인 김윤후
 글쓴이 : 히스토리2
조회 : 2,296  

1. 몽골의 2차 침입 - 처인성 전투

F93093001_0_0_0_0_0_0.jpg



그가 처음 등장하는 것은 바로 여몽전쟁. 몽골의 2차 침입(1232) 당시에 살리타이의 대대적인 남하를 막은 1등 공신이었기 때문이다. 처인 부곡은 단순한 토성으로 군량이 있다는 것 외에는 전술적 의미가 거의 없었지만, 그의 화살이 살리타이의 머리를 꿰뚫으며 결국 몽골군이 퇴각을 하게 만들었다.

이에 대해서는, 김윤후가 아니라 이름 없는 병사나 부곡민이 사살한 것이라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고려사 김윤후 열전에 보면 '전투할 때 나는 활이나 화살을 가지고 있지 않았는데 어찌 함부로 무거운 상을 받겠는가?'라며 '활과 화살이 없었다'고 말했다는 것이 그 근거인데, 이게 문자 그대로의 의미인지, 예의를 차리는 표현인지는 각자 판단하기 나름이다. 

학계의 논문에는 대체로 말 그대로의 의미, 즉 궁수가 아닌 지휘관으로 전투에 임했다는 의미로 해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아래 열전의 기사와 같은 맥락의 말이라고 보면 자진하여 병사로 지원하여 참전한 것이 아니라 난을 피하다 불가피하게 싸운 와중에 세운 공이었다는 의미일 가능성은 열려 있다.

이후 고려 조정에선 그에게 포상과 함께 상장군(上將軍)을 제수했지만

저는 전시를 당해서도 무기를 잡고 일어서지 못했던 몸입니다. 그런데 어떻게 하잘 것 없는 공으로 후한 상을 받겠습니까?

- 고려사 권103, 김윤후 열전 라고 거절을 했다. 결국 조정에선 섭랑장(攝郞將)에 임명하게 되었다.

2. 몽골의 5차 침입 - 충주성 전투

다운로드.jpg



21년 뒤 1253년 충주성 방호별감으로 재직 중 몽골의 5차 침입이 시작되었다. 대대적인 남진을 하던 몽골군이 충주성에 도달하였고 70일간의 혈투가 진행되었지만 몽골군은 함락시키지 못했다. 하지만 군량이 떨어지고 사기가 저하되자 "힘을 다해 싸운다면 훗날 귀천을 가리지 않고 모두에게 벼슬을 내릴 것이다!" 라고 격려하며 관청에 보관된 노비 문서를 불사르고 몽골군에게서 빼앗은 소와 말 등을 사람들에게 나눠줘 사기를 이끌어 냈다.

결국 몽골은 퇴각할 수 밖에 없었고 충주성 사람들은 관노나 백정부터 일반 백성까지 모두 벼슬을 제수받았다. 물론 김윤후의 공도 인정받아 감문위 상장군(監門衛 上將軍)에 임명되었다.

이 처인성 전투와 충주 전투의 항쟁이 정말 대단한 이유는, 노비, 승려, 백성들의 항쟁이었기 때문이다. 특히 1232년 몽골군이 처음 충주에 쳐들어왔을 때 고을 수령과 군 지휘부들은 다 도망을 가고 성을 지킨 것은 노비와 백성들이었다. 그런데 몽골군이 물러가자 돌아온 충주군 지휘관들은 몽골군이 약탈해 간 고을의 기물과 물자를 노비들이 훔쳐갔다고 뒤집어 씌운다.[4] 분노한 노비군은 반란을 일으켰다가 결국 진압되고 만다. 이러니 1258년 충주에 있던 노비와 백성들이 고려 조정과 최씨 정권에 반감을 가졌으면 가졌지, 목숨을 바칠 이유가 없었던 셈. 김윤후는 이런 사람들을 이끌고 끝내 성을 지켜낸 것이다. 몽골과의 항쟁 중에 양민은 물론이고 노비들이나 천민까지 몽고군에 맞서 싸웠던 건 처인성만이 아니다. 어느 부분에선 정규군보다 더 잘 싸웠다.(...)

다만 여기서 좀 씁쓸한 이야기를 하자면 승전 후 김윤후가 임명된 감문위는 2군 6위 중 전투와는 가장 거리가 먼 부대였다. 개성의 성문을 지키는 부대로 부대 편제도 1령(약 1,000명)에 불과하고 전투에 나서기 힘든 늙은 병사들이 주로 배속받았다. 즉 실권과는 거리가 먼 한직. 전장에서는 가장 치열한 곳으로 보냈지만 전쟁이 끝나자 한직으로 내몰아버린 것이다. 해석하기에 따라 내쫓겼거나 본인이 몸을 피했다고 볼 수도 있지만 섣부른 판단은 금물이다. 

3. 이후

1259년에 동북면(함경도) 병마사가 되기도 했으나 이때 동북면은 몽골 땅(쌍성총관부)이라 의미가 없었다. 원종 때인 1262년엔 추밀원 부사를, 이듬해인 1263년엔 수사공우복야까지 올랐고 이후 관직에서 물러났다. 그의 최후에 대한 기록은 처음과 마찬가지로 거의 남아있지 않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히스토리2 18-05-21 08:47
   
토크멘터리 고려-몽골  편 한번 들으시면, 보우마스터에 대해 더 잘 아실수 있습니다.
히스토리2 18-05-21 08:50
   
ultrakiki 18-05-22 09:13
   
사실 척준경보다 더 크게 알려져야될 사람인데 모르는 사람들이 더 많음.

척준경은 인터넷에 알려진것은 사실과 다른 조작되고 과장된 사실이 많은데...

김윤후는 몽고침입을 2번이나 무산시킨 고려영웅중 영웅.
 
 
Total 20,025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91698
16002 [기타] 낚시 후기 (14) 위구르 05-22 1388
16001 [한국사] 환단고기 역주본에 나오는 고구려 영토 이해 (40) 위구르 05-22 3428
16000 [한국사] 노블리스 오블리제 ---경주 최부자댁 (4) 히스토리2 05-21 2323
15999 [기타] 임팔, 일본군의 무덤이 되다… (4) 관심병자 05-21 3208
15998 [한국사] 보우마스터 - 살리타를 죽인 김윤후 (3) 히스토리2 05-21 2297
15997 [한국사] 소드 마스터 '척준경' (3) 히스토리2 05-21 3236
15996 [기타] 당나라 곤룡포 탈취사건 (3) 응룡 05-21 1496
15995 [일본] 임팔작전과 찬드라 보스 그리고 도조 히데키 (1) 히스토리2 05-20 2148
15994 [일본] 임팔작전의 무다구치 중장의 명언 (4) 히스토리2 05-20 2465
15993 [일본] 임팔작전과 '무다구치 렌야' 중장 (2) 히스토리2 05-20 2471
15992 [베트남] 성직자 같은 혁명가 '호치민' (1) 히스토리2 05-19 1799
15991 [중국] 한나라의 '진평'에 대한 의견 히스토리2 05-19 2290
15990 [한국사] 전환시대의 지성인 리영희 그리고 사모함과 비판 히스토리2 05-19 946
15989 [한국사] 열정과 냉철의 시대를 살다간 서재필, 혹은 필립 제… 히스토리2 05-19 1078
15988 [중국] 중국 최고의 악녀인가 재평가가 필요한가 ---여태후 히스토리2 05-19 2242
15987 [중국] 송나라 시기 대리국에 대하여 (4) 히스토리2 05-19 2119
15986 [중국] 중국의 당나라 시기 남조에 대하여 히스토리2 05-19 1981
15985 [기타] 학익진 관련 잡설 (7) 관심병자 05-19 1257
15984 [기타] 조선 전기 군대의 학익진 수용과 운용 (1) 관심병자 05-19 1287
15983 [기타] [제시] 신립 충주/탄금대전투의 조선군 규모 이설(異… (5) 관심병자 05-19 1522
15982 [한국사] 수당시기 고구려의 서계 (18) 남북통일 05-18 2825
15981 [기타] 창기병은 양성하기 힘들었다(펌) 고이왕 05-18 1827
15980 [중국] 신비한 여걸 '내가 불모(佛母)다'를 외치다! (3) 히스토리2 05-18 1898
15979 [한국사] 왕건 시기 고려가 요하에 도달했는가? (6) 감방친구 05-18 2058
15978 [중국] 한족이라는 용광로 그리고 소수민족의 운명 (4) 히스토리2 05-18 1601
15977 [한국사] 코페르니쿠스보다 100년 빨리 지동설을 주장한 이순… (4) 히스토리2 05-18 1712
15976 [한국사] 이지함의 중상주의 히스토리2 05-18 1024
 <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