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8-05-20 12:58
[일본] 임팔작전과 찬드라 보스 그리고 도조 히데키
 글쓴이 : 히스토리2
조회 : 2,148  

찬드라 보스와 도조 히데키  

임팔 작전은 이런 군사적인 면만이 아니라 정치적인 면도 있었다. 

art_1465858352_99_20160614092006.jpg



자칭 자유인도 임시정부  수상 찬드라 보세가 도조 히데키에게 "일본군이 인도를 공격하면 자신은 인도인을 선동해 영국군을 몰아내고 친일 인도 정부를 세우겠다"라고 약속을 한 것이 있었다. 

이렇게 보면 찬드라 보세가 영악한 친일주의자로 보이지만 찬드라는 친독에 가깝고 인도의 지배자 영국에 맞서고자 추축국을 선택한 것이다. 연합군을 택했으면 처음부터 독립의 독 자도 못 꺼냈을 것이다. 또 인도가 독립한 데에는 간디의 비폭력 저항보다는 찬드라 보세가 주도한 무력 저항, 특히 찬드라가 이끈 군대가 영국을 공격하려 한 것이 더 결정적인 요소라고 보는 설도 있다. 1942년 영국이 지속적으로 인도를 전쟁으로 끌고가려고 하자 간디가 불복종 운동을 선언했는데 선언 몇시간 후 영국군이 인도인 정치가란 정치가는 죄다 감옥에 잡아들여버렸다. 그렇기에 전쟁중 인도 독립운동가들이 기댈 수 있는 사람이 독일에 망명하고 있던 찬드라 보세뿐이였다. 따라서 다양한 관점에서 바라보는 편이 좋겠다.

도조 히데키도 당시에 다른 전장의 전황이 악화되어 정권을 유지하기 힘들었다. 그래서 찬드라 보세의 말에 귀가 솔깃해진 나머지 정권 유지를 위해 작전을 인가했다는 증언도 남아있다. 그 때 찬드라 보세가 가용할 수 있는 '인도 국민군' 병사의 수는 43,000명이었다. 

art_1465858161.jpg



전쟁 이후 찬드라 보세와 인도 국민군 병사들이 전범/반역자 재판을 받을 때 그 변호를 담당한 사람이 다름 아닌 20년간 변호사 영업을 쉬고 있던 자와할랄 네루(Jawaharlal Nehru)였다.

재판 당시 인도의 여론은 "방향은 잘못되었지만 그들은 분명히 인도의 자유와 독립을 위해 싸운 용사"라는 분위기였다고 한다. 그러나 네루 자신은 임팔 작전 당시엔 영국군에 적극적으로 협력했었다.

PS) 참고로 찬드라 보스는 소련으로 가다가, 비행기 사고로 죽음 
       현재 인도는 독립의 3영웅으로 간디, 네루 그리고 찬드라 보스를 뽑음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히스토리2 18-05-20 13:16
   
 
 
Total 20,025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91722
16002 [기타] 낚시 후기 (14) 위구르 05-22 1388
16001 [한국사] 환단고기 역주본에 나오는 고구려 영토 이해 (40) 위구르 05-22 3428
16000 [한국사] 노블리스 오블리제 ---경주 최부자댁 (4) 히스토리2 05-21 2323
15999 [기타] 임팔, 일본군의 무덤이 되다… (4) 관심병자 05-21 3208
15998 [한국사] 보우마스터 - 살리타를 죽인 김윤후 (3) 히스토리2 05-21 2297
15997 [한국사] 소드 마스터 '척준경' (3) 히스토리2 05-21 3236
15996 [기타] 당나라 곤룡포 탈취사건 (3) 응룡 05-21 1496
15995 [일본] 임팔작전과 찬드라 보스 그리고 도조 히데키 (1) 히스토리2 05-20 2149
15994 [일본] 임팔작전의 무다구치 중장의 명언 (4) 히스토리2 05-20 2465
15993 [일본] 임팔작전과 '무다구치 렌야' 중장 (2) 히스토리2 05-20 2471
15992 [베트남] 성직자 같은 혁명가 '호치민' (1) 히스토리2 05-19 1799
15991 [중국] 한나라의 '진평'에 대한 의견 히스토리2 05-19 2290
15990 [한국사] 전환시대의 지성인 리영희 그리고 사모함과 비판 히스토리2 05-19 946
15989 [한국사] 열정과 냉철의 시대를 살다간 서재필, 혹은 필립 제… 히스토리2 05-19 1078
15988 [중국] 중국 최고의 악녀인가 재평가가 필요한가 ---여태후 히스토리2 05-19 2242
15987 [중국] 송나라 시기 대리국에 대하여 (4) 히스토리2 05-19 2119
15986 [중국] 중국의 당나라 시기 남조에 대하여 히스토리2 05-19 1982
15985 [기타] 학익진 관련 잡설 (7) 관심병자 05-19 1257
15984 [기타] 조선 전기 군대의 학익진 수용과 운용 (1) 관심병자 05-19 1287
15983 [기타] [제시] 신립 충주/탄금대전투의 조선군 규모 이설(異… (5) 관심병자 05-19 1522
15982 [한국사] 수당시기 고구려의 서계 (18) 남북통일 05-18 2825
15981 [기타] 창기병은 양성하기 힘들었다(펌) 고이왕 05-18 1827
15980 [중국] 신비한 여걸 '내가 불모(佛母)다'를 외치다! (3) 히스토리2 05-18 1899
15979 [한국사] 왕건 시기 고려가 요하에 도달했는가? (6) 감방친구 05-18 2058
15978 [중국] 한족이라는 용광로 그리고 소수민족의 운명 (4) 히스토리2 05-18 1601
15977 [한국사] 코페르니쿠스보다 100년 빨리 지동설을 주장한 이순… (4) 히스토리2 05-18 1712
15976 [한국사] 이지함의 중상주의 히스토리2 05-18 1024
 <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