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8-05-26 23:43
[한국사] 수치스런 패배의 기억
 글쓴이 : 히스토리2
조회 : 828  

일본의 임팔전투 못지않게 치욕스러운 패전이 우리나라에도 있었다.

1637년 1월 2일 경기도 광주시 쌍령에서 일어난 전투다.

청 태종이 형제 대신 군신 관계로 대우해달라고 요구했다가 거부되자 12만 명을 이끌고 조선을 침공한 지 한 달쯤 지났을 때다.

인조는 강화도로 피신하려다 길목을 차단당하자 남한산성으로 들어간 상태였다.

남한산성에 고립된 인조를 구원하려고 경상 좌병사 허완과 우병사 민영이 군사 약 4만 명을 이끌고 출전한다.

57649_61598_22.jpg



허완과 민영 부대는 쌍령 양쪽에 진을 치고 나무 울타리를 세워놓고 청병 공격에 대비했다.

전투는 왼쪽 저지대를 맡은 허완 부대에서 먼저 시작한다.

청군은 곤지암 일대를 점령하고서 조선군 동태를 살피려고 기마병 33명을 보냈다가 충돌한 것이다.

화승총으로 무장한 조선군은 청군이 사정권에 진입했을 때 사격을 했으면 완전히 소탕할 수 있는 상황이었다.

그러나 문관 출신 지휘관이 겁에 질린 듯 갑자기 공격 명령을 내려 자중지란을 겪는다.

소총수들이 난사하면서 준비해온 탄약이 순식간에 떨어졌다.

조선군은 탄약을 받으려고 허둥지둥했고, 멀찍이 떨어진 청군은 이를 눈치채고 곧바로 반격했다.

조선군은 전투 의지를 완전히 상실한 채 앞다퉈 달아나느라 서로 밟고 밟혀 죽어 시체가 산을 이뤘다.

심리적 공황이 극심한 탓에 일등포수조차 총 한 발 쏘지 못해 방어선이 한순간에 무너졌다.

우측 능선에 주둔한 민영 부대도 대참사를 당한다.

조총 불꽃이 화약통에 떨어져 폭발하면서 수십 명이 죽은 게 화근이었다.

폭음에 놀란 조선군이 우왕좌왕할 때 팔기군 300여 명이 급습해왔다.

조선군은 총과 칼, 활을 모두 버리고 도망치려다 줄줄이 압사하거나 절벽에 떨어져 죽는다.

사방에서 추적해온 청군의 칼에 맞아 목숨을 잃는 병사도 부지기수였다.


쌍령전투에서 조선군 약 1만 명이 사망하고 8천여 명이 중경상을 입은 것으로 추정된다.

경기도 여주 인근에 대기하던 경상감사 심연은 쌍령 패전 소식을 듣고 조령으로 후퇴한다.

다운로드 (2).jpg



인조는 최대 병력을 보유한 경상도 근왕군이 맥없이 무너지고 왕자들이 피신한 강화도가 함락했다는 소식에 결국 투항한다.

남한산성에 들어간 지 47일 만에 성 밖으로 나와 삼전도에서 청 태종에게 큰절하는 치욕을 겪은 것이다.

쌍령전투 청군이 300명이라는 숫자를 놓고 논란이 있다.

부대 편제 등을 보면 3천~7천500명이라는 반론도 있다.

이 숫자를 인정하더라도 쌍령전투는 치욕스러운 패전이다.

지휘관 무능과 병사 훈련 부족 등이 복합 패인이다.

인조반정과 이괄 난 등 지배층 권력투쟁에 실망한 백성의 전투 의지 상실도 큰 요인이다.

누가 왕이 되든지 무슨 상관이냐고 자조하던 상황에서 병사들이 목숨을 아끼는 것은 당연지사다.

임진왜란 칠전량전투도 어처구니없는 패전이다.

원균이 지휘한 조선 수군은 칠천량해전에서 완패해 거북선 3척과 판옥선 90여 척을 잃었다.

그나마 부하 배설이 판옥선 12척을 갖고 도주한 덕에 이순신 장군이 명량해전에서 승리할 수 있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위구르 18-05-29 13:44
   
조선의 입장에서는 대 치욕일 전투;; 고구려 후예 만주족과 신라 후예 조선이 혈전을 벌인게 안타까울 따름이죠
 
 
Total 20,024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90445
16055 [한국사] 온양행궁 복원도 (1) 히스토리2 05-28 1777
16054 [한국사] 백두산정계비와 간도(동북아재단) 히스토리2 05-28 1156
16053 [한국사] 궁금한게 보통 온조가 백제를 세우고 비류가 인천에… (8) 코스모르 05-28 1324
16052 [한국사] 모용선비의 도읍 변천 시각화 지도 (7) 감방친구 05-28 1929
16051 [중국] 북위 영주의 위치, 수경주 기준 (7) 도배시러 05-28 1628
16050 [한국사] 남한 “왕험성=낙랑군=평양” vs 북한 “왕험성=中 요… (2) 히스토리2 05-28 1420
16049 [한국사] ‘요동의 장통이 낙랑 백성 이끌고 모용씨 귀속설’ … (1) 히스토리2 05-28 918
16048 [한국사] 낙랑군 교치 문제 (15) 감방친구 05-28 1300
16047 [기타] 병자호란 전투들(3) 관심병자 05-28 1401
16046 [기타] 병자호란 전투들(2) 관심병자 05-28 1005
16045 [기타] 병자호란 전투들(1) 관심병자 05-28 1211
16044 [기타] 쌍령전투 관련 (5) 관심병자 05-27 1184
16043 [한국사] 고구려 평양 추적과 거리 기록의 활용 (12) 감방친구 05-27 1913
16042 [한국사] 병자호란에서 요토가 전사했다니....??? 촐라롱콘 05-27 1039
16041 [기타] 성(城) 관련 용어해설 히스토리2 05-27 2734
16040 [기타] 네르친스크 조약: 청과 러시아 히스토리2 05-27 1987
16039 [기타] 러시아의 동방진출과 조선의 나선정벌 히스토리2 05-27 2140
16038 [한국사] 검은모루동굴에서 발굴된 뗀석기 히스토리2 05-27 955
16037 [한국사] 사적(史蹟) 제483호 나주목 관아와 향교 (羅州牧 官衙… (1) 히스토리2 05-27 816
16036 [한국사] 백제 위례성이 충남 천안일까 (4) 히스토리2 05-27 1968
16035 [기타] 고이왕님 복귀를 기원합니다. (무슨 일이 생긴건가요 (6) 히스토리2 05-27 1049
16034 [한국사] 곡교천에 늘어 선 산성의 비밀 - 아산에만 20개 山城 … (2) 히스토리2 05-27 2289
16033 [한국사] 조공과 공녀(수치의 역사) (8) 히스토리2 05-27 1587
16032 [한국사] '청나라판 300' 한국사 최악의 패전 쌍령전투 (14) 히스토리2 05-27 2187
16031 [한국사] 수치스런 패배의 기억 (1) 히스토리2 05-26 829
16030 [한국사] 백제와 고구려 관계의 미스테리 (30) 감방친구 05-26 3149
16029 [한국사] 중국보다 후기 조선에서 화기 관련 운용법이 발달했… (2) 고이왕 05-25 1562
 <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