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8-05-29 08:22
[중국] 한고조 유방과 그의 아내 여태후의 수모 (흉노)
 글쓴이 : 히스토리2
조회 : 2,636  

한 고조(高祖), 즉 유방은 천하통일의 기세를 몰아 기원전 200년 직접 군대를 이끌고 북방의 강호(强胡·강한 오랑캐라는 뜻) 흉노를 치러 나섰다. 마침 겨울에 큰 추위와 함께 많은 눈이 내려 병졸 열 명에 두셋은 동상으로 손가락이 떨어져 나갈 정도였다.

그러나 흉노의 선우(單于·군주의 칭호) 묵특은 짐짓 패한 척 도망치며 한나라 군사를 유인하였다. 유방은 ‘32만명’의 대군을 데리고 추격에 나서 마침내 산서성 평성(平城)의 백등산(白登山)이라는 곳에 이르렀는데, 거기서 그는 미처 주력군이 도착하기도 전에 흉노의 정예 ‘40만 기병’에 포위되고 말았다.

유방은 한겨울에 일주일을 꼬박 갇혀서 식량도 떨어진 채 죽기만 기다리는 처지가 된 것이다. 그래서 그는 묵특의 부인에게 몰래 최고급 모피코트를 뇌물로 건네주었고, 이를 받은 그녀가 묵특에게 “당신이 지금 한나라 땅을 차지한다고 해서 거기서 살 것도 아니지 않소?”라고 하며 유방을 풀어줄 것을 권유했고, 이를 받아들인 묵특은 포위망의 한쪽 귀퉁이를 열어서 그를 보내주었던 것이다. 여기서 시작된 한과 흉노 제국의 전쟁과 화평의 관계는 이후 약 300년간 지속된다.

이러한 내용은 사마천의 ‘사기(史記)’ ‘흉노열전’에 그대로 기록되어 있으니, 비록 군대의 수에 다소 과장이 있을 수 있으나 전체적으로는 신뢰할 만한 보고이다. 포위에서 풀려난 유방은 사신을 보내 흉노와 ‘화친(和親)’이라는 이름의 조약을 맺었다고 한다. 그것은 네 가지 항목으로 구성되었는데, 

(1) 만리장성을 양국의 경계로 삼는다 (2) 상호 형제관계를 맺는다 (3) 한나라 공주를 흉노 왕에게 시집보낸다 (4) 매년 흉노에게 옷감과 음식을 보낸다는 것이었다.
1.jpg
                                ▲ 기원전 1세기 무렵 한과 흉노 지도

 앞의 두 항목으로 보아서 양국이 평등한 관계인 듯하지만 한나라가 흉노에게 일방적으로 공주와 물자를 바치는 형편이라서, 말이 ‘화친’이지 실제로는 불평등 조약이나 다름없었다. 그 같은 사정은 유방의 미망인 여후(呂后)와 묵특 사이에서 벌어진 소위 ‘농서(弄書)’사건에서 잘 드러난다.

유방이 죽은 뒤 묵특은 여후에게 편지를 보냈는데 그 내용인즉 “나는 외로운 군주로서 습한 소택지에서 태어나 소와 말이 가득한 들판에서 자라났소. 여러 차례 변경에 가보았는데 중국에 가서 놀고 싶은 희망이 있었소. 이제 그대도 홀로 되어 외롭게 지내고 있으니, 우리 두 사람이 모두 즐겁지 않고 무엇인가 즐길 것이 없는 듯하오. 그러니 각자 갖고 있는 것으로 서로의 없는 것을 메워 봄이 어떻겠소?”라는 것이었다. 

그렇지 않아도 성질이 강퍅하기로 소문난 여후는 이 편지를 받고 모욕과 수치심으로 펄펄 뛰면서 즉각 전쟁을 하려고 했다. 그러나 백등산의 치욕을 아직도 생생하게 기억하고 있던 많은 대신이 만류했고, 이에 하는 수 없이 부드러운 내용으로 묵특을 달래는 답장을 써서 보내기로 한 것이다.

1.gif

그 내용도 가관이어서 “폐하께서 저희 조그만 고장을 잊지 않고 글을 내려주시니 저희는 두려워 몸 둘 바를 모르겠습니다. 물러나 가만히 생각해 보건대 저는 이제 늙어서 기력이 쇠하고 머리카락과 이도 다 빠졌으며 걸음걸이도 주체가 안됩니다. 폐하께서 누군가의 말을 잘못 들으신 듯한데, 저와 같이 지내봐야 공연히 힘드시기만 할 것입니다. 저희 고장이 지은 죄가 없으니 널리 용서해 주십시오. 황제의 전용수레 2대에 말을 같이 붙여 보내드릴 테니 항상 타고 다니는 데 쓰옵소서”라는 것이었다.


[출처] ​흉노와 한 대립과 서역의 세계[중앙유라시아의 역사기행]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mymiky 18-05-29 11:17
   
저건, 유교풍습이 있던 한족들에게 충격이였겠지만..

본래, 유목사회에서는 형이 죽으면 아우가
형수와 결혼하는 -형사취수제-가 있었고,

한의 황제와 흉노의 선우가 형제지맹을 맺었다면,
흉노족인 묵특이 틀린말을 한 것은 아닙니다.

그는 자기 나름대로, 과부가 된 여후를 생각해서 한 말이고,

유목사회에서는
홀로 된 과부에게 저런 립서비스도 안하는다는 것은


"넌 이제 여자로써 끝났어, 넌 이제 보살펴줄 남자도 없고, 너는 이제 굶어죽을꺼다" 라는 뜻이라,,

흉노사회에선, 저런 말도 안한다면, 그게 더 모욕적이기 때문이죠ㅋ (완전히 반대죠?)

서로간의 [문화적 배경]이 다른 것이지..
묵특이, 여후를 모욕하기 위한 것은 아닙니다.

어쨎든, 여후는 한나라인이였고,
묵특이 자기딴엔 선의로 한 의미와 다르게,  상당히 치욕적으로 받아들이긴 했을겁니다.
꼬마러브 18-05-29 12:39
   
본글의 요지와는 큰 상관이 없지만

첫번째 지도의 만리장성 길이가 잘못됐군요. 갈석산이 아니라 아예 압록강 너머 청천강 일대까지 뻗어있네요.
     
청천 18-05-29 14:02
   
저도 그거 보고 댓글 달려고 했는데...ㅎㅎㅎ
     
집정관 18-05-29 14:50
   
인터넷에서 만리장성 관련해서 제대로 된 지도를 찾기가 힘들죠.
     
6시내고환 18-05-31 20:49
   
저 혼자 그 생각한게 아니었네요 ㅋㅋㅋ
위구르 18-05-29 13:33
   
흉노 제국 인구가 한나라 1개 군현에도 미치지 못한다는 근거를 들어 흉노 병력이 40만이라는 기록은 과장되었다고도 합니다. 아마 한나라의 굴욕을 희석시키기 위해 과장시킨 것이 아닌가 합니다.
 
 
Total 20,024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90465
16082 [기타] 맹자가 알려준 단군조선의 강역은 어디인가? (9) 관심병자 05-31 2390
16081 [기타] 김유신이 찬양한 수수께끼의 화랑 문노 관심병자 05-31 1399
16080 [한국사] 가야나 부여왕의 칭호에 대해아시는분 계신가요? (2) 대한국 05-31 973
16079 [한국사] 초ㆍ중기 백제 위치의 재조정 (10) 감방친구 05-31 2193
16078 [대만] 정씨왕조의 대만경략3 히스토리2 05-30 1675
16077 [대만] 정씨왕조의 대만경략2 히스토리2 05-30 1958
16076 [대만] 정씨왕조의 대만경략 히스토리2 05-30 1630
16075 [한국사] 고려의 수도 개성 (3) 히스토리2 05-30 2037
16074 [한국사] 신라왕릉의 다양한 모습들 히스토리2 05-30 1727
16073 [한국사] 삼국사기 초기기록 불신론 원인 (4) 히스토리2 05-30 1147
16072 [기타] 최후의 유목제국 준가르부 (3) 히스토리2 05-30 2510
16071 [한국사] 연행록에 “조선과 명·청 사이 책문은 압록강 북쪽 … (1) 히스토리2 05-30 1510
16070 [한국사] 1125년 봉사행정록을 통한 고려 전기 서북계 교차 검… (10) 감방친구 05-30 2289
16069 [한국사] 남북 역사학 체제 경쟁 (3) 히스토리2 05-29 999
16068 [한국사] 근초고왕이라는 드라마 보면요. (6) 코스모르 05-29 1322
16067 [한국사] '진개의 침입' 당시 양평의 위치에 대하여(지… 히스토리2 05-29 1282
16066 [한국사] 감방친구님이 오린 아래글에 대한 본인의 소견 (1) 독산 05-29 848
16065 [한국사] 대방군의 위치에 관한 기사 히스토리2 05-29 918
16064 [한국사] 일단 구당서 5,100리 거리 기록을 버립시다 (10) 감방친구 05-29 1579
16063 [중국] 한고조 유방과 그의 아내 여태후의 수모 (흉노) (6) 히스토리2 05-29 2637
16062 [한국사] 가야는 임나인가? (10) 히스토리2 05-29 1515
16061 [한국사] 조선고적도보로 본 개성의 모습 히스토리2 05-29 1603
16060 [한국사] '조선고적도보'에 실린, 소국(마한, 예국 등) … (1) 히스토리2 05-29 1163
16059 [한국사] 산성의 축조방식과 종류 (1) 히스토리2 05-29 2819
16058 [한국사] 연장성 종착점 양평과 요동성 (7) 감방친구 05-29 1123
16057 [한국사] 대한제국의 마지막 궁궐 (평양의 풍경궁) (1) 히스토리2 05-29 2613
16056 [한국사] 행궁 산책(북한산성 행궁, 남한산성 행궁, 화성행궁, … 히스토리2 05-29 2440
 <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