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8-05-28 23:42
[한국사] 온양행궁 복원도
 글쓴이 : 히스토리2
조회 : 1,777  

溫陽行宮.

지금의 충남 아산시 온천대로 1459에 있던 조선시대의 행궁으로 다른 공적 행사나 임시로 머물기 위한 다른 행궁들과는 달리 온천욕을 통해 병을 치료하고 휴식을 취하기 위해 이용하는 일종의 요양소라는 점이 특이하다.

<조선왕조실록>에는 첫째 임금 태조부터 온천을 자주 찾은 기록이 나타난다. 

태조는 한 때 황해도 평산에 있는 평주 온천에 거동했으나 도읍을 옮긴 뒤로는 300리나 떨어져 있으므로 신하들이 자제할 것을 청하기도 했는데 태조는 자신을 걱정하지 않는다고 불편한 감정을 숨기지 않았으나 애초에 직접 가는 본인도 멀다고 느꼈으므로 평주온천은 차츰 덜 찾게 되고, 1396년도에 충청도 온천으로 행차했다는 기록이 있는데 정확한 지명을 표기하지는 않았지만 온양온천을 지칭하는 것으로 보아 이 때부터 온양온천이 이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후 태종과 세종도 평주, 이천 등의 온천을 찾았으나 그래도 뛰어난 치료 효능 및 한양과 가까운 지리적 여건 등으로 차츰 온양으로 온천욕을 떠나게 되고 현종부터는 완전히 온천은 온양으로 인식이 굳어지며. 아예 이 곳에 머물 수 있는 행궁을 따로 짓고 일부는 정사도 볼 수 있게 하는 공간을 마련했다.

온양행궁에 장기간 머물렀던 왕은 세종, 세조, 현종, 숙종, 영조 등 5명이 있으며 사도세자도 이용했다. 특히 사도세자는 다양한 한약재를 온천에 넣어 이용했다고. 공통점은 전부 피부병으로 고생한 왕이라는 것. 참고로 제일 많이 찾은 왕은 이 중에서도 재위 기간 내내 심한 종기와 피부병 시달린 현종이다.

참고로 왕이 찾지 않는 시기에는, 왕의 전용 공간과 세자궁 침실 빼고는 다른 사람들도 들어올 수 있게 했고 재상 및 사족의 부녀 또한 남쪽 탕에 한해 목욕하는 것을 허락하여 일반인들도 온천욕을 즐길 수 있게 하였다.

* 건물 구성

2020208k0534_P2.jpg

about2_img.jpg

026.png


온양행궁전도

913d3fd78179be2c82f4ec9ffc7fae02580d7f88a1a5dfe34511f75597c447834e827d5b2e57a74cdfdfdf08df7ca92f2d2e615af3f0b5f32d9671ed6238362aba3e4d30045768592081d29455080d31.jpg

1920년대 온양행궁 


정조가 온양에 왔던 아버지 사도세자를 그리며 그 자취를 기록한 책인 '영괴대기(靈槐臺記)'라는 책 속에 '온양행궁전도'가 실려 있는데 이 그림에 따르면, 구성은 왕의 침소인 내정전(內正殿)과 집무실인 외정전(外正殿)이 있고 초가지붕 또는 기와지붕으로 된 홍문관, 승정원, 상서원, 사간원, 수문장청 등의 건물들과 수라간도 있었는데 단순히 음식만 만드는 게 아닌 왕을 수행하는 인원이 대거 머물렀기에 임금의 공간을 제외하고 제일 규모가 컸다. 중앙에 12칸짜리 욕실과 양방, 협실 등이 갖춰진 온천당이 있고 그 건물에 바로 천연 온천 탕실이 있었다. 탕실을 중심으로 남쪽과 북쪽에 통로로 보이는 협루가 있고, 찬바람을 쐴 수 있는 방이 남북으로 하나씩 있었다. 온돌을 깐 욕실은 동서 양쪽에 있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6시내고환 18-05-31 23:20
   
아산 살때 자주 가곤했죠
실옥동 모교 온양고등학교 쪽에서 시내 방향으로 쭉가면 조선시대 양식 호텔이 지어져있죠
지금 그 자리가 행궁이 있던 자리입니다
 
 
Total 20,024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90469
16082 [기타] 맹자가 알려준 단군조선의 강역은 어디인가? (9) 관심병자 05-31 2390
16081 [기타] 김유신이 찬양한 수수께끼의 화랑 문노 관심병자 05-31 1399
16080 [한국사] 가야나 부여왕의 칭호에 대해아시는분 계신가요? (2) 대한국 05-31 973
16079 [한국사] 초ㆍ중기 백제 위치의 재조정 (10) 감방친구 05-31 2193
16078 [대만] 정씨왕조의 대만경략3 히스토리2 05-30 1675
16077 [대만] 정씨왕조의 대만경략2 히스토리2 05-30 1958
16076 [대만] 정씨왕조의 대만경략 히스토리2 05-30 1630
16075 [한국사] 고려의 수도 개성 (3) 히스토리2 05-30 2037
16074 [한국사] 신라왕릉의 다양한 모습들 히스토리2 05-30 1727
16073 [한국사] 삼국사기 초기기록 불신론 원인 (4) 히스토리2 05-30 1147
16072 [기타] 최후의 유목제국 준가르부 (3) 히스토리2 05-30 2510
16071 [한국사] 연행록에 “조선과 명·청 사이 책문은 압록강 북쪽 … (1) 히스토리2 05-30 1510
16070 [한국사] 1125년 봉사행정록을 통한 고려 전기 서북계 교차 검… (10) 감방친구 05-30 2289
16069 [한국사] 남북 역사학 체제 경쟁 (3) 히스토리2 05-29 999
16068 [한국사] 근초고왕이라는 드라마 보면요. (6) 코스모르 05-29 1322
16067 [한국사] '진개의 침입' 당시 양평의 위치에 대하여(지… 히스토리2 05-29 1283
16066 [한국사] 감방친구님이 오린 아래글에 대한 본인의 소견 (1) 독산 05-29 848
16065 [한국사] 대방군의 위치에 관한 기사 히스토리2 05-29 918
16064 [한국사] 일단 구당서 5,100리 거리 기록을 버립시다 (10) 감방친구 05-29 1579
16063 [중국] 한고조 유방과 그의 아내 여태후의 수모 (흉노) (6) 히스토리2 05-29 2637
16062 [한국사] 가야는 임나인가? (10) 히스토리2 05-29 1515
16061 [한국사] 조선고적도보로 본 개성의 모습 히스토리2 05-29 1603
16060 [한국사] '조선고적도보'에 실린, 소국(마한, 예국 등) … (1) 히스토리2 05-29 1163
16059 [한국사] 산성의 축조방식과 종류 (1) 히스토리2 05-29 2819
16058 [한국사] 연장성 종착점 양평과 요동성 (7) 감방친구 05-29 1123
16057 [한국사] 대한제국의 마지막 궁궐 (평양의 풍경궁) (1) 히스토리2 05-29 2613
16056 [한국사] 행궁 산책(북한산성 행궁, 남한산성 행궁, 화성행궁, … 히스토리2 05-29 2440
 <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