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8-06-10 01:30
[한국사] 一道安士 복원 열국왕력 1
 글쓴이 : 지수신
조회 : 1,672  

단지 책 2권을 보고

저는 완전히 그의 '빠돌이'가 되어 버렸습니다만

그렇다고 해서 그의 견해를 100% 추종한다는 것은 아닙니다.


그가 발견해 낸 진왕제라는 큰 틀 위에서, 잔가지의 오류들을 수정하고 이견을 덧붙여

저의 역사상을 만들어 보고 싶은 충동을 강하게 느꼈습니다.

 

하지만 우선은 그에 대한 경의를 표하는 차원에서

그가 복원한 열국의 왕력을 최대한 그대로 소개해보고자 합니다.

사실 그의 저서에서 '복원왕력'이라 명시한 내용은 전기가야에 대한 것 하나뿐이라.

이 글은 그의 저서에 흩어져 있는 문장들을 통해서 밝힌 그의 견해에 대한 저의 해석일 뿐이긴 합니다.


이하, ‘삼한사의 재조명을 바탕으로 복원해 본 각국의 왕력입니다

   


<解氏고구려> (BC37 ~ AD165)

1.동명왕 - BC37 건국. BC19 사망.

2.유리왕 - BC19 즉위. AD12 과의 전투에서 전사.

3.‘여율왕’ - AD12 즉위. AD18 시해됨. 정변 세력에 의해 왕력에서 탈락.

4.대무신왕 - AD18 즉위. AD44 사망. 해씨 고구려의 전성기.

5.민중왕 - AD44 즉위. AD48 사망.

6.모본왕 - AD48 즉위. AD53 두로에게 시해됨.

AD53 ~ AD 121 고씨 태조대왕 재위기간

7.차대왕 - AD121 32세 즉위. AD149 60세 사망.

8.???? - AD149 ~ AD165 명림답부에게 시해되고 역사에서 지워진 해씨 마지막 왕?

왕통 교체의 혼란기. 고구려 해씨왕통의 종말.

 

<高氏고구려> (AD53 ~ AD668)

1.태조대왕 - AD53 7세 즉위. AD121 75세 사망. 고씨의 첫번째 왕위 찬탈.

AD121 ~ AD165 해씨 왕 재위기간

2.신대왕 - AD165 33세 즉위. AD179 47세 사망. 고씨의 두번째 왕위 찬탈.

이하 삼국사기 계보와 동일.

 

<전기 解氏백제(십제)> (BC18 ~ AD234)

1. 온조왕 - BC18 건국. AD28 사망. 해씨백제의 전성기.

2. ‘다루왕’ - AD28 즉위. AD48? 사망.

온조의 태자. '자립위왕'하지 못하여 왕력에서 탈락

3. 다루왕 - AD48? 즉위. AD77 사망.

4. ‘기루왕’ - AD77즉위. AD97? 사망. '자립위왕'하지 못하여 왕력에서 탈락

5. 기루왕 - AD97? 즉위. AD128 사망.

6. 개루왕 - AD128 즉위. AD132? 사망.

7. ‘개루왕’ - AD132? 즉위. AD166? 사망. 재위기간이 모조리 사실상의 기록 공백.

해씨고구려 마지막 왕처럼, 폐위되고 역사에서 지워진 왕?

30여년의 혼란기와 왕통 교체. 온조계 왕통의 종말.

8. 초고왕 - AD166 즉위. AD214 사망. 목지국 辰王의 지배를 받는 연맹의 1국으로 흡수됨

9. 구수왕 - AD214즉위. AD234 사망. 말갈의 침략으로 멸망.

 

<優氏백제(말갈백제)> (AD234 ~ AD346)

1. 고이왕 - AD234 즉위. AD286 사망. 우씨 말갈추장.

십제를 비롯한 연맹 북부를 정복, 한강하류 유역을 중심으로 한 일대 영역을 장악.

2. 책계왕 - AD286 즉위. AD298 전사.

3. 분서왕 - AD298 즉위. AD304 자객에게 시해됨.

왕의 연이은 비명횡사로 인한 왕통 교체.

AD304 ~ AD344 비류왕 재위기간

4. 계왕 - AD344 즉위. AD346 사망.

우씨 왕실의 복원을 시도했으나 실패. 우씨 왕통의 종말.

 

<후기 解氏백제(한성백제)> (AD304 ~ AD427)

1. 비류왕 - AD304 즉위. AD344 사망. 우씨백제 영역을 인수.

AD344 ~ AD346 우씨 계왕 재위기간. 왕위계승 다툼의 혼란기

2. 근초고왕 - AD346 즉위. AD375 사망.

고구려전 승리로 연맹 최강국으로 성장.

자립위왕하여 韓 辰王 백제왕으로 등극을 시도하지만 실패.

3. 근구수왕 - AD375 즉위. AD384 사망.

근초고/근구수 시호로부터 전기 해씨백제 초고/구수왕 왕통의 계승성을 추정 가능.

4. 침류왕 - AD384 즉위. AD385 사망.

5. 진사왕 - AD385 즉위. AD392 사망. 韓 辰王과의 권력투쟁에 패하여 시해됨

6. 아화왕 - AD392 즉위. AD405 사망. 韓 辰王의 지원을 받아 즉위

고구려 광개토왕의 침략으로 멸망.

멸망한 辰王이 일본열도로 건너가 倭國王이 되어 辰王위를 계승.

倭國王辰王의 명목은 유지하나 한반도 통제력은 상실.

辰王에게 왕자를 인질로 보내고, 한반도 소국들의 형식적 통제권을 인수함.

7. 전지왕 - AD405 즉위. AD420 사망.

한성백제 최초로 중국왕조에 의해 '백제왕'으로 책봉.

한반도에 잔류한 辰王족인 餘氏가 한성백제로 들어와 실권을 장악.

8. 구이신왕 - AD420 즉위. AD427 사망.

餘氏의 왕위 찬탈로 왕통 교체. 해씨 왕통의 종말.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감방친구 18-06-10 01:40
   
홈사피앤스님의 이론에서
개인적으로 보는
핵심은 진왕체제론이고
초기백제가 고구려 체제에 속하였다 (이것도 이분이 주장했는지는 기억이 안 납니다)는 영감을 준 것인데요
세부적으로 들어가면 동의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습니다
감방친구 18-06-10 01:47
   
저는 서강대 김영덕 명예 교수님의 학설을 바탕에 두고 일도안사님의 진왕체제론을 검토하여 백제사를 재구성해 보려 하는 상태인데요

워낙 90년대 초반에 백제사가 인기를 끌어서 그 당시에 백제사 관련 책이나 다큐를 찾아 봤던 터라 그 때로부터 얻은 깜냥과 삼국사기와 여타 사서를 교차하여 보면서 얻은 윤곽의 형체가 김영덕 교수님의 견해와 크게 부합한다는 것을 알게 됐습니다
지수신 18-06-10 02:25
   
韓 = 진왕백제로 보는 시각은 김성호의 비류백제설이 프로토타입이고
말씀처럼 진왕제설이 가장 핵심이죠.

저는 거기에 더해서
삼국사기의 공백과 은유를 해석하는 방법이 인상깊었습니다.
중국 기록에 있는게 삼국사기에 없다면 그냥 '기록의 누락'으로 보는게 일반적인데
이분은 이유없는 누락은 없다는 관점으로 모든 기록을 다 설명해냈습니다.
그리고 무슨 용이 출현하느니 하는 은유 기사는 모조리 다 정변으로 보네요 ㅎ
세부적인 동의여부 이전에 그 발상부터가 제겐 경이로웠습니다.

소위 삼국시대라는게 천년에 가까운 기나긴 역사인데
강단주류를 비롯한 많은 사람들의 해석방법은 너무 안일합니다.
당대를 살아간 사람들의 관점이 아닌 현대인의 관점에서,
치열하게 들여다보지 않고 대충 관조하는 느낌이랄까.
수백년의 세월을 그냥 별 의미없이 흘러간 시간으로 쉽게 퉁쳐버리는 해석에 너무 익숙해져 있어서인지, 1년, 1개월도 허투루 흘리지 않은 일도안사의 태도는 그 자체만으로도 경이롭네요.
     
감방친구 18-06-10 02:31
   
세부적으로 동의하기 어려운 것은
저 분의 견해의 시시비비를 가리기에 제 앎이 역부족이기 때문입니다

일도안사님의 견해는 한마디로 혁명이죠
 
 
Total 20,022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89952
16188 [세계사] 홍산문화와 소하연 문화, 그리고 하가점 하층문화에 … (4) Attender 06-29 1758
16187 [한국사] 수/당 시기 영주(유성군)의 위치 고찰 (30) 감방친구 06-27 3422
16186 [세계사] 탱그리(단군) 미스틱(2) (3) profe 06-26 2773
16185 [기타] 여진은 조선을 대함에 있어 '타민족'이 아닌 … (3) 관심병자 06-26 5360
16184 [한국사] 흥미로운 자료—서양 선교사들이 증언하는 한국 고… (3) Attender 06-26 2328
16183 [한국사] 장희빈은 사실 착했다?! 억울한 누명쓴 그녀의 속사… (4) BTSv 06-26 2412
16182 [한국사] 영주 (營州)가 현 조양으로 굳어진 것은 언제부터일… (22) 감방친구 06-26 2331
16181 [한국사] 단군 미스틱 (5) profe 06-26 1540
16180 [한국사] 단군이 과연 우리의 선조일까 (28) 환9191 06-25 2348
16179 [한국사] 고수/고당 전쟁 시 고구려와 수/당의 주요 접경지 지… (20) 감방친구 06-24 4227
16178 [기타] 흉노, 스키타이 관련/ 잡설 (4) 관심병자 06-24 2492
16177 [한국사] 신라 김씨왕조가 진짜 흉노인가요 (15) 햄돌 06-24 3698
16176 [한국사] 과연 단군은 우리의 선조일까. (33) 마구쉬자 06-23 3817
16175 [한국사] 현 요하 하류 해안선 변화 관련 정보 (138) 감방친구 06-20 7666
16174 [한국사] 익산 미륵사지석탑, 20년만에 일제 땜질 떼고 본모습… (10) Attender 06-20 3403
16173 [한국사] 현 요동지역의 고대 해안선과 서안평의 위치 (65) 감방친구 06-18 7701
16172 [한국사] 낙랑군 등 전한(BC 1세기) 유주 형국도 시각화 (7) 감방친구 06-17 3536
16171 [한국사] 백정이 백인이었다고 선동질하는 위조 족보 노비 출… (11) ep220 06-17 7133
16170 [한국사] 고조선부터 삼국시대(5세기)까지 역사영토 시각화 (15) 감방친구 06-17 4613
16169 [한국사] 요서 백제 추적(bc 3세기~ad 5세기) (23) 감방친구 06-16 5259
16168 [기타] 목참판 묄렌도르프 관심병자 06-15 2409
16167 [기타] 신라의 마의태자는 어디로 갔나? (4) 관심병자 06-15 3695
16166 [한국사] 장수왕은 남하한것이 아니라 서진 했다. (24) 도배시러 06-15 3702
16165 [한국사] '낙랑군재평양설 증거No.1' 효문묘동종 분석글 지수신 06-14 1855
16164 [한국사] 책소개 -- "세계에 널리 자랑할말한 잃어버린 한국의 … (1) Attender 06-13 3374
16163 [한국사] [단독]“임진왜란때 왜적 혼 빼놓은 ‘원숭이 기병대… (4) 패닉호랭이 06-13 3287
16162 [한국사] 김정민박사 강의 - 고대사_ 고구려,부여는 몽골 부… (10) 조지아나 06-13 3744
 <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