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8-10-16 12:18
[한국사] 학계통설의 영주(營州)와 고구려 서계(西界)
 글쓴이 : 감방친구
조회 : 2,358  


<추적을 시작하며

1) 본인의 사서교차분석 방법론에 의한 역사 연구는 최초 낙랑군의 위치를 추적하며 시작하였습니다. 이에서 비롯하여 고구려 평양과 압록강의 위치를 찾고자 고려 서경(평양)과 고려 압록강의 위치를 추적하였으며, 또한 이에서 비롯하여 철령위의 위치와 연혁, 여말선초 서북계 문제, 강동 6주의 위치, 고려 전기 서북계와 동한계를 연구하였고, 또한 이에서 비롯하여 가탐도리기 제 2도의 항로를 추적/고증하였으며, 또한 이에서 비롯하여 거란 동경도의 11세기 판도를 연구, 또한 이에서 비롯하여 요택을 추적, 또한 이에서 비롯하여 고구려 각 성의 위치를 추적하는 등 고려 서북계 연구 결과과 고(구)려 서북계 추적 결과와 만나게 하여서 최종적으로 위만조선 및 기원전 우리 역사강역의 서한을 고증하여 우리 역사의 대맥을 바로 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2) 본인의 사서교차분석 방법론에 의한 역사연구는 사서 원문을 직접 찾아서 읽고 그것을 여러 다른 사서와 교차분석하는, 본인의 직접 작업을 중심에 두고 있으며 중국과 우리의 가용한 모든 사서를 총망라하고자 하여 왔으며 그리 할 것입니다. 제 1원칙은 사서 교차 분석이며, 차제의 원칙은 고지도와 교차 분석, 또는 학계 통설과의 비교/대조입니다.>


영주(營州)와 고구려 서계(西界) 추적

1. 한중 학계 통설에서의 영주의 위치 

본인이 추적하는 영주는 수와 당의 고구려 침략시기의 영주와 8세기 정보를 담고 있는 가탐도리기 제 1도 상의 영주입니다

이들 영주의 위치는 고구려 강역의 서한선과 아주 밀접할 뿐만 아니라 고구려 서북 방어선의 주요 성의 위치 및 평양의 위치 고증과 아주 밀접하므로 이렇게 영주의 위치를 추적하는 데에 열성을 다해 온 것입니다

우선 한중 학계 통설에서 제시하는 영주의 위치를 살펴보고 이를 중국 역대 사서가 기술하는 내용과 비교하여 과연 한중 학계 통설에서 제시하는, 당시 영주의 위치 비정이 올바른지 살펴볼 것입니다

동반탐문자들께서 혼동해서는 아니 되는 것은 치소로서의 영주와 영주의 관할 영역으로서의 영주입니다. 지금 우리가 추적하는 것은 영주의 치소가 있는 위치, 즉 치소로서의 영주이며 구체적으로 6~8세기 영주의 위치입니다


1) 한국  학계 통설에서의 영주의 위치


여수전쟁(麗隋戰爭) ㅡ 한민족문화대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81177&cid=46620&categoryId=46620

여수c78ae300-2171-43.jpg

고구려-수 전쟁(1) ㅡ 김용만 우리역사문화연구소장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72919&cid=59016&categoryId=59023

수map02.jpg

고구려-수 전쟁(2) ㅡ 김용만 우리역사문화연구소장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72927&cid=59016&categoryId=59023

수map01.jpg

고구려-당나라 전쟁(1) ㅡ 김용만 우리역사문화연구소장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73445&cid=59016&categoryId=59023

당map00.jpg

고구려-당나라 전쟁(2) ㅡ 김용만 우리역사문화연구소장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73447&cid=59016&categoryId=59023

당map01_1.jpg
당map02_2.jpg


고구려, 수·당을 물리치다 ㅡ 살아있는 한국사 교과서/전국역사교사모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582473&cid=47322&categoryId=47322

수국교bh15_025_i2.jpg

당국교bh15_025_i5.jpg


네이버 지식백과

https://m.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m_kdic&sm=mtb_jum&query=%E7%87%9F%E5%B7%9E


2) 중국 학계 통설에서의 영주의 위치


후위(북위) ㅡ 중국역사지도집

http://blog.naver.com/storyphoto/viewer.jsp?src=https%3A%2F%2Fblogfiles.pstatic.net%2F20111022_125%2Fjhy8365_13192764488795ks0P_JPEG%2F20.jpg

북위.jpg

수 ㅡ 중국역사지도집

http://blog.naver.com/storyphoto/viewer.jsp?src=https%3A%2F%2Fblogfiles.pstatic.net%2F20111024_297%2Fjhy8365_1319456735945HTq4v_JPEG%2F9.jpg

수.jpg

당(7세기 말) ㅡ 중국역사지도집

http://blog.naver.com/storyphoto/viewer.jsp?src=https%3A%2F%2Fblogfiles.pstatic.net%2F20111024_19%2Fjhy8365_1319456740491CXHtE_JPEG%2F17.jpg

당7.jpg

당(8세기 중엽) ㅡ 중국역사지도집

http://blog.naver.com/storyphoto/viewer.jsp?src=https%3A%2F%2Fblogfiles.pstatic.net%2F20111024_111%2Fjhy8365_13194567415580NoGp_JPEG%2F18.jpg

당8.jpg

당(9세기 초) ㅡ 중국역사지도집

http://blog.naver.com/storyphoto/viewer.jsp?src=https%3A%2F%2Fblogfiles.pstatic.net%2F20111024_235%2Fjhy8365_1319456742542KQvEb_JPEG%2F19.jpg

당9.jpg

당(8세기 중엽 기준 하북도남부 상세)

http://blog.naver.com/storyphoto/viewer.jsp?src=https%3A%2F%2Fblogfiles.pstatic.net%2F20111101_234%2Fjhy8365_1320131068711uFWU3_JPEG%2F5.jpg


당(8세기 중엽 기준 하북도북부 상세)

http://blog.naver.com/storyphoto/viewer.jsp?src=https%3A%2F%2Fblogfiles.pstatic.net%2F20111101_299%2Fjhy8365_1320131159915nE6LK_JPEG%2F6.jpg


바이두백과

https://wapbaike.baidu.com/item/%E8%90%A5%E5%B7%9E/1795071


http://www.baidu.com/s?wd=%22%E7%87%9F%E5%B7%9E%22


중문위키백과

https://zh.m.wikipedia.org/wiki/%E7%87%9F%E5%B7%9E


<정리>

1) 한국 학계 통설 : 수나라와 당나라 영주는 현 요녕성 조양시, 요수는 현 요하, 압록강은 현 압록강, 평양은 현 서북한 평양

2) 중국 학계 통설 : 수나라와 당나라 영주는 현 요녕성 조양시, 요수는 현 요하, 압록강은 현 압록강, 평양은 현 서북한 평양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감방친구 18-10-16 12:33
   
이 추적은 한중 사학계 통설이 제시하는 수당 시기 영주의 위치와 고구려 강역의 서계가 과연 옳은지 그른지를 검증하는 연재 논설입니다
감방친구 18-10-16 12:36
   
추적 01편은 도입문으로서, 이를 통하여 한국과 중국 사학계 양측이 영주 위치 및 고구려 제반 위치에 공히 일치하는 입장임을 분명히 확인했습니다
바람노래방 18-11-23 23:20
   
영주가 어떤 의미인지가 먼저 궁금합니다.
 
 
Total 722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425 [한국사] 거란과 요택 감방친구 11-25 1860
424 [한국사] 요해(遼海)는 바다인가? (1) 감방친구 11-24 2364
423 [한국사] 수 양제의 612 년 고구려 원정 조서 다시 보기 감방친구 11-24 2202
422 [한국사] 동시대(서기 5~6세기 중심) 사서에서 기술한 고구려 … 감방친구 11-23 1785
421 [한국사] 5세기, 바다를 제패하고 북위를 압도한 고구려 감방친구 11-23 1612
420 [한국사] 요해제군사(遼海諸軍事)에서의 요해(遼海) 고찰 (3) 감방친구 11-23 2766
419 [한국사] 고구려왕이 중원계 왕조로부터 받은 관작 감방친구 11-23 1801
418 [한국사] 현수(玄水)와 로수(盧水), 그리고 유성현(柳城縣) 감방친구 11-20 2383
417 [한국사] 여전히 계속되는 도배시러님의 도둑질 (11) 감방친구 11-20 3405
416 [한국사] 영주(營州)와 고구려 서계(西界) 추적 1/3차 정리 감방친구 11-17 1684
415 [한국사] 수(隋) 기주(冀州) 인구상 (3) 감방친구 11-15 1791
414 [한국사] 임삭궁(臨朔宮)과 임유궁(臨渝宮) 감방친구 11-13 2111
413 [한국사] 수(隋) 임유관(臨渝關, 臨榆關)과 평주(북평군) 연혁 2 (18) 감방친구 11-04 2041
412 [한국사] 수(隋) 임유관(臨渝關, 臨榆關)과 평주(북평군) 연혁 1 감방친구 11-04 1331
411 [한국사] 수(隋) 임유관(臨渝關, 臨榆關) 추적 04 감방친구 11-02 1817
410 [한국사] 수(隋) 임유관(臨渝關, 臨榆關) 추적 03 (1) 감방친구 10-28 1646
409 [한국사] 수(隋) 임유관(臨渝關, 臨榆關) 추적 02 (1) 감방친구 10-27 1594
408 [한국사] 수(隋) 임유관(臨渝關, 臨榆關) 추적 01 (2) 감방친구 10-27 1524
407 [한국사] 수(隋) 임유관(臨渝關, 臨榆關) 과 고구려 서계 (1) 감방친구 10-23 2914
406 [한국사] 위운기의 거란정벌과 유성의 고구려국제시장 (6) 감방친구 10-18 2369
405 [한국사] 수나라 요서군의 실상 (6) 감방친구 10-17 1784
404 [한국사] 학계통설의 영주(營州)와 고구려 서계(西界) (3) 감방친구 10-16 2359
403 [한국사] 도배시러님께 (37) 감방친구 10-08 2440
402 [한국사] 수/당 고구려 침략기 영주 추적의 서광 (25) 감방친구 10-04 4418
401 [한국사] 고구려 침략기 수/당 영주 추적의 결과적 경과 (6) 감방친구 10-02 2800
400 [한국사] 영주와 요동의 지리정보가 뒤섞인 시기 (3) 감방친구 10-01 1813
399 [한국사] 고려와 고조선의 만남 감방친구 09-28 2685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