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5-09-30 18:22
[기타] 백제 5층목탑의 복원(?)을 보며.
 글쓴이 : 방각
조회 : 4,423  

황룡사 9층목탑을 복원(?)한다고 하는데 당시의 모습을 전혀 알 길 없는 현재에 과연 "복원"이란 말이 적절한가는 논외로 치고.

2009년인가 백제문화단지내 복원(?)된 백제 5층목탑을 한 번 살펴보자.

우리가 당시의 모습을 전혀 알 길 없는 문화재를 어떤식으로 복원(?)했는지 한 번 살펴보면 앞으로 복원(?)할 황룡사 목탑도 참고가 될 것이다.

일단 백제 5층목탑은 그 형태를 일본 법륭사 5층목탑에서 따왔다. 외관을 전혀 알길 없는 현재 최선의 선택이라 보인다.

4.jpg
백제 5층목탑

그런데 위 목탑을 보면 외관은 둘째치고 단청을 발랐는데 초록색 범벅인 조선시대에 단청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조선시대의 단청이 과연 백제시대의 목조건물에도 사용되었을까?

무슨 생각으로 목탑에 저런 단청을 입혔는지는 복원(?) 당사자가 아니니 알 길 없지만 이건 좀 아닌 것 같다. 
아니 복원(?)하면서 거기에 대한 생각자체를 전혀 하지 않은 건 아닐까? 현재 남아있는 조선시대 목조건물에 사용된 단청이 삼국시대에도 사용되었다고 생각하는 건 상식적으로도 엄청난 무리다.

외관의 복원(?)모델이 된 일본 법륭사의 목탑을 보자.

1.jpg

2.jpg

3.jpg
법륭사 5층목탑

위 사진에서 보듯 단청이 사용되지 않았다. 백제인들이 세웠다는 설이 있는 저 목탑엔 전혀 단청이 사용되지 않았는데 과연 무슨 생각으로 능사 목탑을 복원(?)하며 조선시대 단청을 떡칠했는지 이해가 가지 않는다.

앞으로 복원(?)할 황룡사 목탑은 좀 생각을 하고 복원(?)했으면 한다.

황룡사라고 복원(?)해놓고 거기에다 초록색 범벅인 조선시대 단청을 그대로 칠한다면 그건 하지 않느니만 못 할것이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몽키헌터 15-09-30 19:11
   
단청..

아름답게 느껴 본적이 별로 없네요.

그나마 오랜 세월의 흔적이 묻어나는
그런 낡은 단청은 역사성 이라도 느껴지지만,

마치 페인트 바른것 같은
최근에 채색된 단청은 너무 원색적이라..
오히려 건물의 미 조차도 죽여버린다는..
     
방각 15-09-30 19:24
   
더 문제는 요즘 문화재 복원시 단청에 천연염료를 사용하는게 아니라 화학염료를 사용한다는 것. 문화재 복원이라 부르기조차 민망한 지경이죠.
          
몽키헌터 15-09-30 23:16
   
무늬만 단청이지
페인트 떡칠이나 다름없네요.
세끈한펭귄 15-09-30 19:46
   
잘은 모르겠지만 고구려 시절에 지어진 절에 단청이 있던걸 보았는데...
     
방각 15-09-30 20:02
   
삼국시대 목조건물중 현존하는 것은 없습니다.

북한에서 복원한 정릉사를 말하시는 거 같은데 목조건물이 아니라 시멘트로 복원한 겁니다.

정릉사에 칠해진 단청은 고구려 고분벽화를 참고했다고 하는데 물론 실제 고구려시대의 건물에 단청이 있었는지는 알 수가 없죠. 다만 문양과 색상을 참고했을거라 봅니다.

정릉사 사진은 인터넷에도 많이 있는데 보시면 조선시대 단청과는 확연히 틀리게 칠해졌습니다.

시멘트건물인건 아쉽지만 단청에 관한한 적어도 북한이 우리보다 고증에 좀 더 신경을 쓴 건 확실하죠. 물론 그게 실제 고구려시대 목조건물에 칠해졌는지는 그 누구도 알 수가 없지만.
          
세끈한펭귄 15-09-30 20:09
   
네 정릉사가 맞는 듯 합니다
근데 삼국시대에 단청이 있는 것은 유물로 확인된다고 합니다
고구려 백제 신라 전부요
그게 조선의 초록색 기와와 같은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비좀와라 15-09-30 19:56
   
문화재 복원이란것이 확실히 어렵지요. 더군다나 어떤 그림등등의 기록이 있는 것도 아닐텐데 말입니다.

그래서 원형보존이 중요 하다고 하지 않습니까? 아무리 많은 기록을 참조해도 원형의 모습을 구현하진 못 할 겁니다. 문화재 복원이라는 것이 문화재 복원이라는 목적보단 딴 목적도 있지만 원래의 모습에 충실 하는 것이 옳게지요.

단청에 관해선 잘 모르지만 삼국시대에 단청을 안 썼다면 안 쓰는 방향으로 복원하는 것이 옳은 것 같습니다.
첼파 15-09-30 20:25
   
원본 남아 있었어도 후대시대에 어차피 칠했을거예요....
 
 
Total 130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30 [한국사] '구구단' 적힌 백제 나무 문서 나왔다 (1) 고독한늑대 01-18 3152
129 [일본] 일본의 시작은 백제 담로 (1) 풍림화산투 01-13 2684
128 [한국사] 백제가 요서를 점거했다는 증거... (5) 버섹 01-13 3012
127 [한국사] 백제 요서 공략설은 거의 국뽕급이지 fm korea (10) 꼬꼼둥 01-12 2300
126 [한국사] 백제 요서 (1) 해달 01-05 1525
125 [기타] 백제사를 그대로 옮겨놓은 일본서기 (2) 고독한늑대 01-04 2188
124 [한국사] 삼국시대에 대해 궁금한게 신라가 백제-고구려랑 대… (13) 마인츠 12-28 2898
123 [일본] 일본 신국 건설과 백제 유민 (28) 해달 12-18 5306
122 [한국사] 역사에서 사라진 백제의 요서 점령 (1) 해달 12-18 2405
121 [기타] 고구려 백제 신라 고려 조선 의복 (9) 두부국 12-02 5689
120 [일본] 백제가 건설한 일본 초대 수도 (57) shrekandy 11-13 5854
119 [기타] 백제 22담로의비밀 (2) 두부국 11-09 3485
118 [일본] 역사스페셜 일본은 왜 백제 부흥에 사활을 걸었나 (1) 호랭이해 11-06 2367
117 [한국사] 백제에 대해 질문이요. (9) 흑요석 11-05 2019
116 [한국사] 고구려, 신라, 백제, 왜(倭) 사신을 묘사한 중국그림 (9) purenature 11-03 5379
115 [기타] 일본이 백제의 후신일까? (37) 컴플릿 10-27 5523
114 [기타] 백제 멸망의비밀 불명예와 오욕을 씻은 의자왕 2편 (3) 싸커보이 10-26 3524
113 [기타] 백제 멸망의비밀 불명예와 오욕을 씻은 의자왕 (7) 싸커보이 10-25 5814
112 [중국] 아래 백제글 관련해서. (8) sinox 10-22 2208
111 [기타] 백제가 전연을 멸망시킨 황당한 기록이 있네요 (51) 두부국 10-22 4741
110 [기타] 백제 해외진출 두부국 10-06 1973
109 [기타] 백제 5층목탑의 복원(?)을 보며. (8) 방각 09-30 4424
108 [기타] 문화대국 백제의 시조 온조대왕의 메시지 (1) 두부국 09-14 2539
107 [기타] 백제(百濟)의 수도 거발성(居拔城).. (5) 현조 08-23 4619
106 [기타] 백제사를 그대로 빼겨 놓은 일본서기 (5) 두부국 07-23 3154
105 [기타] 백제 상도실어 07-02 1230
104 [기타] 백제 羅城 6세기 초 쌓아.. 부여는 '계획 도시'… (1) 걍노는님 06-15 2512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