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20-04-10 23:35
[북한] 중국,수분하,삼차구조선족진의 동녕현 전투..
 글쓴이 : 돌통
조회 : 869  

삼차구조선족진(三?口朝?族?)



여러분은 조선족에 대해서 얼마나 알고 계시나요?
이제부터 조선족이라 쓰지 않고
재중동포라 하겠습니다!

재중동포라 하면 중국 요녕성,
길림성, 흑룡강성 등
동북삼성과 그 밖에 중국에
흩어져 거주하는
한민족 혈통을 지닌 중국 국적의
주민들을 말합니다.

 

대한제국 마지막 시기에
외세의 침략으로 국권이 흔들리면서
나라 안팎이 어지러워지자
중국과 러시아로 이주하게 되는
한인들의 수가 늘어납니다.

특히 일제가 한국인의 농토를 잠식하고
강제 수탈하자 농민들은 만주로 이주합니다.

이후 1945년 8월 15일 일제가 패망했지만
본국에 생활 근거가 없었던
조선인들은 만주에 정착합니다.

이들이 재중동포 1세대가 되고,
거기서 태어난 자손들이 2세대가 됩니다.

삼차구조선족진은


중국 흑룡강성 목단강 시 동녕 현에 속한
재중동포 마을입니다.

 

삼차구조선족진 입구
 

비 오는 날이나 내려서 여기저기
찍지 못했어요..

 

 

 

삼차구조선족진은
호포도강(瑚布圖江), 소오사구강(小烏蛇溝江)과
대두천강(大?川江)
세 개의 강이 만나는 삼차하구(三?河口)로
불렸었습니다.

삼차구는 동녕현에서 가장 토지가 비옥하고
제일 먼저 개발이 시작된 곳이었습니다.

1933년 1월 동녕현성이었던 삼차구를
일본 관동군이 점령하여
이 지역을 군사 특별구역으로 설정하고
마을들을 철거시킵니다.

1945년 광복 이후
변경에 거주하던 사람들과
목단강 지역에 집 없이 떠돌이 하던 재중동포들을
원거주지로 돌려보내는 정책이 실시되면서
다시 인가가 생기고
벼 생산을 위주로 비약적인 발전을 하게 됩니다.

1953년에 ‘
삼차구조선족민족자치구’라
개명되었다가
1984년 3월 ‘
삼차구조선족향’으로 개명되고,
1988년 3월에 ‘
삼차구조선족진’으로
명칭이 바뀌었습니다.



많을 때에는 재중동포 인구가
9,000여 명에 달했으나
현재는 6,000여 명으로 
삼차구 전체 인구의 45%를 차지하고
재중동포 중학교와 소학교가 있는데
학생 수는 200여 명이라고 합니다.

 

마을의 한 재중동포 할머니께서
반갑다고 직접 기르신 토마토를 주셨어요!

 

이 마을은 러시아와 접경되어 있는 마을이에요!
강 하나만 건너면 러시아입니다!

 

동녕현(東寧縣)전투

이어서 동녕현 전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재중동포 마을인 삼차구조선족진을
1933년에 일본 관동군이
점령했었다고 말씀드렸죠?

1933년 9월 한국독립군
중국인 오의성이 지휘하는
길림구국군(吉林救國軍)
그리고 중국공산당 소속인
왕청현(汪淸縣) 유격대의 일부 병력이 연합하여
흑룡강성 동녕현 삼차구에 주둔한
일본 관동군과 만주국군을 공격하여
승리한 전투입니다.



삼차구조선족진은
러시아와 접경되어 있다고 했죠?
그래서 군사적으로 중요한 요충지이기 때문에
일본 관동군은 국경 수비를 위해
500명의 수비대를 배치하고

만주국군 또한 1,500여 명의 수비대를
배치했습니다.

한, 중 연합군이 활동하는 중
식량과 무기 등 보급물자에 대한
문제가 생기게 되고
대규모 일본군이 주둔하고 있는
삼차구를 공격합니다.


주목할만한 점은
왕청현 유격대에서
김일성이 이끄는 왕청현 유격대도
연합했었다는 사실입니다!


1933년 9월 6일 총 공격을 실시하지만
일본 관동군과 만주국군의
격렬한 저항과 대포와 장갑차를 앞세운
부대의 지원으로
연합군도 수십 명이 전사하게 됩니다.

하지만 수백 명의 일본 관동군과

만주국군을 사살하고
대량의 전리품을 노획하는 전과를 거둡니다.

 
이상...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Total 7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73 [한국사] 황산벌 전투 위치 / 사비성 사하 백마강 백제황산 대… 하늘하늘섬 05-03 499
72 [한국사] [ FACT ] 역사학자 <임용한> , 고려거란전쟁 전투씬… 아비바스 03-04 642
71 [한국사] [ FACT ] 역사 교사 <안정준> 전투 민족 고구려가 … (2) 아비바스 03-03 576
70 [한국사] 《 양규.김숙흥 장군님의 전투경로와 전사하신 곳 》 에피소드 03-02 492
69 [한국사] [FACT] KBS 호평일색 "고려거란전쟁" ‘역사고증에 첨단… 아비바스 12-01 1759
68 [한국사] 봉오동전투의 홍범도장군 유해 고국품으로... 신서로77 08-13 591
67 [한국사] 한漢고조 유방의 흉노와의 백등산白登山 전투(구주… (1) 수구리 08-03 1364
66 [기타] [임진왜란41] 이게 진짜 진주성 전투다.(황진vs일본 역… (2) 관심병자 12-05 1239
65 [한국사] 일본인들은 임진왜란을 왜 자기들이 이긴 전투라고 … (7) 심문선 10-01 2350
64 [북한] 동녕현성 전투란.?? (1) 돌통 09-19 919
63 [북한] 동아일보 취재단이 북에 선물로준 보천보전투금인쇄… 돌통 07-08 895
62 [북한] 김일성의 항일투쟁중 올기강 전투.. 돌통 06-23 1238
61 [북한] 훙치허 전투.. 돌통 04-10 934
60 [북한] 중국,수분하,삼차구조선족진의 동녕현 전투.. 돌통 04-10 870
59 [한국사] 28톤 740매 말갑옷 비밀..삼국시대 전투마 조랑말 크기 (2) 러키가이 04-08 2232
58 [한국사] [펌] 개인적으로 고구려 전쟁사에서 안타까운 전투 (14) 고구려거련 02-14 2432
57 [한국사] 일본서기 고구려 백제의 전투기록 (12) 호랭이해 12-25 3912
56 [기타] 적장도 머리 숙인 정묘호란 안주성 전투의 주역 남이… 관심병자 11-11 2952
55 [기타] 백촌강 전투 당시 기록에 대해서 얻을수 없을까요 월하정인 11-06 1434
54 [한국사] 조선시대 전투 극과극 (8) 레스토랑스 10-30 3140
53 [한국사] 썩어도 준치라고 몽골족들의 전투력은 병자호란에서… (22) 촐라롱콘 10-05 5874
52 [세계사] 인류최초의 평화조약,,,,카데시 전투 (1) 보스턴2 09-04 2009
51 [기타] 부여성 전투 (2) 관심병자 05-31 1871
50 [기타] 병자호란 전투들(3) 관심병자 05-28 1407
49 [기타] 병자호란 전투들(2) 관심병자 05-28 1011
48 [기타] 병자호란 전투들(1) 관심병자 05-28 1213
47 [기타] 쌍령전투 관련 (5) 관심병자 05-27 1190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