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8-05-27 23:52
[기타] 쌍령전투 관련
 글쓴이 : 관심병자
조회 : 1,195  

1.jpg

.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촐라롱콘 18-05-28 00:03
   
[[실록 기록에 험천, 쌍령, 강도 전사자들 모두 합친게 2천 6백 정도라고 적고 있습니다.]]........???
.
.
전사자 2,600명이라는 언급은 아마도 아래 인용 부분에서 비롯된 듯 합니다.

충청 감사 정태화(鄭太和)가 치계하기를....
"남한 산성과 금화(金化)에서 전사한 군사들에게는 모두 급복(給復)하고 모조(耗租)를
주었습니다. 본도의 험천(險川)·쌍령(雙嶺)·강도(江都)에서 전사한 자들이 도합 2천 6백여 명이니, 똑같이 휼전을 시행하는 것이 온당할 듯합니다. 또한 전사한 군사 중에 부모가 있는 자는 마땅히 조정의 분부에 따라 모조를 지급해야 하는데, 수량이 부족합니다. 원곡(元穀)을 첨가해 각각 2석씩 지급하게 하소서."
하였는데, 상이 따랐다.

다시 말해 충청도 출신으로 험천, 쌍령, 강화도에서 전사한 이들이 2,600여 명이라는 표현입니다.

충청감사가 남한산성(한양-경기출신들), 금화전투(평안도출신들)에서 전사한 한양-경기-평안도 출신들은
국가유공자 취급해주면서... 험천,쌍령,강화도에서 전사한 충청도 출신 전사자들에게는 왜 국가유공자
취급 안해 주느냐는 것입니다.



그리고 쌍령전투 전사자를 4만이라고 언급한 이는 저를 비롯해서 아무도 없는 것 같은데요....???
학계에서는 쌍령전투 전사자 숫자는 일반적으로 2만 가량으로 추산하고 있습니다.
     
관심병자 18-05-28 00:19
   
누구를 비난하는글이 아니라 의문점입니다.
뻔히 당시 병, 행정을 직접 시행한 정부에서 기록된 실록의 기록을 제외하고,
야사를 기준으로 평가를 내리고 그게 유력한 '추측'이라고 일반적으로 퍼져있는것이요.

충청도 근왕병은 강화도까지 들어가질 못했습니다.
그럴 여유가 있었으면 인조가 먼저 남한산성이 아닌 강화도로 들어갔겠죠.
그러므로 실록의 2천 6백은 충청도 출신 전사자만을 말한게 아닙니다.
          
촐라롱콘 18-05-28 00:30
   
충청수사 강진흔의 충청도 수군이 강화도 전투에 참전했습니다.

그리고 충청감사 정태화의 장계에서 "본도"라는 표현을 눈여겨봐주시기 바랍니다.

본도란 충청도를 의미합니다
               
관심병자 18-05-28 01:12
   
그렇네요.
수군을 생각 못했네요.
입싱 18-05-28 01:34
   
일단 4만이 전사한 것이라 아니라, 와해되었습니다.
중세 전쟁에서 회전의 경우, 병력 소멸은 꼭 전사를 의미하진 않습니다. 패전으로 와해되고, 병사들이 재집결 할 수 있는 조직력, 시스템이 소멸된 상태입니다.

그리고 향토 사단은 상시대기 하지 않습니다. 징병됩니다.
군 편제에 대한 기본적인 상식이 좀 필요해 보입니다.
이름만 근왕군으로 거창하지, 조선의 근왕군 제도는 잡병입니다.

잡병 모아다가, 일타에 그냥 도주, 궤멸.
이렇기 때문에 원래 징집병은 기관총 사용이 시작된 러일 전쟁 때까지 주력으로 사용되지 않았습니다.
 
 
Total 7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73 [한국사] 황산벌 전투 위치 / 사비성 사하 백마강 백제황산 대… 하늘하늘섬 05-03 563
72 [한국사] [ FACT ] 역사학자 <임용한> , 고려거란전쟁 전투씬… 아비바스 03-04 655
71 [한국사] [ FACT ] 역사 교사 <안정준> 전투 민족 고구려가 … (2) 아비바스 03-03 588
70 [한국사] 《 양규.김숙흥 장군님의 전투경로와 전사하신 곳 》 에피소드 03-02 503
69 [한국사] [FACT] KBS 호평일색 "고려거란전쟁" ‘역사고증에 첨단… 아비바스 12-01 1766
68 [한국사] 봉오동전투의 홍범도장군 유해 고국품으로... 신서로77 08-13 599
67 [한국사] 한漢고조 유방의 흉노와의 백등산白登山 전투(구주… (1) 수구리 08-03 1373
66 [기타] [임진왜란41] 이게 진짜 진주성 전투다.(황진vs일본 역… (2) 관심병자 12-05 1245
65 [한국사] 일본인들은 임진왜란을 왜 자기들이 이긴 전투라고 … (7) 심문선 10-01 2356
64 [북한] 동녕현성 전투란.?? (1) 돌통 09-19 921
63 [북한] 동아일보 취재단이 북에 선물로준 보천보전투금인쇄… 돌통 07-08 900
62 [북한] 김일성의 항일투쟁중 올기강 전투.. 돌통 06-23 1247
61 [북한] 훙치허 전투.. 돌통 04-10 939
60 [북한] 중국,수분하,삼차구조선족진의 동녕현 전투.. 돌통 04-10 877
59 [한국사] 28톤 740매 말갑옷 비밀..삼국시대 전투마 조랑말 크기 (2) 러키가이 04-08 2237
58 [한국사] [펌] 개인적으로 고구려 전쟁사에서 안타까운 전투 (14) 고구려거련 02-14 2449
57 [한국사] 일본서기 고구려 백제의 전투기록 (12) 호랭이해 12-25 3915
56 [기타] 적장도 머리 숙인 정묘호란 안주성 전투의 주역 남이… 관심병자 11-11 2956
55 [기타] 백촌강 전투 당시 기록에 대해서 얻을수 없을까요 월하정인 11-06 1440
54 [한국사] 조선시대 전투 극과극 (8) 레스토랑스 10-30 3146
53 [한국사] 썩어도 준치라고 몽골족들의 전투력은 병자호란에서… (22) 촐라롱콘 10-05 5876
52 [세계사] 인류최초의 평화조약,,,,카데시 전투 (1) 보스턴2 09-04 2016
51 [기타] 부여성 전투 (2) 관심병자 05-31 1876
50 [기타] 병자호란 전투들(3) 관심병자 05-28 1410
49 [기타] 병자호란 전투들(2) 관심병자 05-28 1013
48 [기타] 병자호란 전투들(1) 관심병자 05-28 1216
47 [기타] 쌍령전투 관련 (5) 관심병자 05-27 1196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