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6-11-11 06:12
[기타] 고구려 국내성 천도 시기 산상왕·신대왕때가 유력?
 글쓴이 : 두부국
조회 : 2,940  

일제시기 환도산성 전경
[고구려사 명장면-6] 고구려 건국 시조 주몽왕이 처음 도읍한 곳은 졸본(卒本)이다. 졸본의 위치는 오늘날 중국 요령성 환인시(桓仁市) 일대로 보는데 거의 이견이 없다. <광개토왕비>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전한다. "시조 추모왕이 북부여에서 남하하여 비류곡(沸流谷)의 홀본(忽本) 서쪽에 있는 산위에 성(城)을 쌓고 도읍을 세웠다." 여기서 서쪽 산위의 성이 지금 환인시 오녀산성임은 분명하다. 그리고 이 일대에는 고구려 초기 적석총이 많이 있어, 첫 도읍지였음을 충분히 보여주고 있다.

 그후 고구려는 국내성(國內城)으로 도읍을 옮겼다. 국내성은 지금 중국 길림성 집안시 일대이다. 집안에 가보면 국내성과 산성자산성을 비롯하여 7000여 기의 고구려시대 고분이 온 도시 여기저기에 흩어져 있어 가장 오랫동안 도읍지였던 역사의 내력을 실감나게 전해주고 있다. 그러면 언제 고구려가 국내성으로 도읍을 옮겼을까? <삼국사기> 고구려본기에는 유리왕 22년(기원 45)에 천도했다는 이런 내용을 전하고 있다.

 유리왕 21년에 제사에 희생물로 쓸 돼지가 도망치자, 담당 관리가 이를 뒤쫓아 국내 위나암에 이르러 잡았다. 그가 돌아와 유리왕에게 보고하기를 "국내 위나암은 산이 험하고 물이 깊으며, 땅이 오곡을 기르기에 알맞고, 사슴과 물고기가 많이 납니다. 그곳으로 도읍을 옮기면 백성에게 크게 이롭고 병란도 면할 수가 있을 것입니다"라고 했다. 이에 유리왕이 직접 국내 지역을 시찰했고, 이듬해에 수도를 국내로 옮기고 위나암성을 쌓았다.

 이 이야기는 아마도 국내성 천도를 합리화하기 위해 꾸민 듯한 느낌이 든다. 왜냐하면 제사에 쓸 희생물인 돼지를 등장시켜 마치 국내 천도가 하늘의 계시라는 점을 은근히 강조하고 있기 때문이다. 아무리 건국 초기의 어수선한 상황이지만 도읍을 옮기기란 그리 쉽지 않았을 것이기에, 이렇게 무언가 그럴싸한 천도의 이유를 밝히는 게 당연해 보인다. 그럼 위나암성은 어디일까? 지금 집안시 일대에서 찾는다면 산성인 산성자산성일 수밖에 없다. 그런데 이는 다음 기록과 그리 맞지 않는다.

 대무신왕 11년(서기 28)에 한나라의 요동태수가 쳐들어 오자 대무신왕은 위나암성으로 들어가 수십 일 동안 굳게 지켰으나, 점차 적의 포위에 군사들이 지쳐갔다. 이때 신하 을두지가 꾀를 내어 말하기를 "한나라 군사들이 우리 성안에 샘이 없다고 생각해 우리를 포위하고 궁핍해지기를 기다리고 있으니, 연못의 잉어를 잡아 수초에 싸서 술과 함께 보내는게 좋겠습니다" 하였다. 그렇게 하자, 한나라 장수는 성 안에 물이 있어 금방 함락시킬 수 없다고 생각해 군사를 이끌고 돌아갔다.

 위 이야기 정황을 보면 성안에 샘이 있는데, 이를 한나라 군이 잘 알 수 없는 상황이어야 한다. 그런데 집안시의 산성자산성은 성밖에서 성안이 훤히 다 들여다보이는 구조라서, 위 이야기가 성립할 수 없다. 더구나 <삼국사기>에는 산상왕이 198년에 환도성을 쌓고, 209년에 환도로 도읍을 옮겼다는 기록이 있는데, 여기 환도성이 바로 산성자산성이 된다. 즉 위나암성과 환도성이 같은 곳이 되어 서로 모순이 생긴다. 오히려 위 이야기의 정황과 잘 맞는 곳은 바로 졸본의 오녀산성이다. 그렇다면 유리왕 때 국내성으로 천도했다는 <삼국사기> 기록을 그대로 믿기는 어려운 면이 있다. 게다가 2000년대 들어 중국에서 집안시 국내성을 발굴 조사해보니 3세기 초 이전의 흔적은 찾아볼 수 없다는 것이다. 고고학적으로도 유리왕대 천도는 부정된 셈이다.

 그럼 언제 국내성으로 천도했을까? 여기서부터 여러 견해가 제기되어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 먼저 태조대왕 때라는 견해가 있다. 모본왕과 태조왕 사이에 왕계가 단절되는 면이 있는 등 태조왕이 시조적 모습을 갖고 있으니 이때 국내성이 졸본을 대신하여 도읍지 역할을 했다는 주장이다. 여러 정황으로는 가장 그럴 듯하지만, 앞서 고고학적 조사와는 맞지 않는다.

 그래서 209년에 산상왕이 환도성을 쌓고 도읍을 옮겼다는 <삼국사기> 기록이 바로 국내성 천도를 가르킨다는 주장도 나왔다. 더욱이 중국 역사책 <삼국지>에는 산상왕이 "새로 나라를 만들었다"라고 기록하고 있어 산상왕 때 천도설을 뒷받침하고 있다. 고고학적으로도 근사하게 맞는다. 그런데 <삼국사기>에는 산상왕의 아버지인 신대왕 때, 그 다음 고국천왕 때에 졸본에 가서 시조묘에 제사지냈다는 기록이 명확하다. 이미 졸본이 도읍이 아니라는 이야기로 산상왕 이전에 국내성으로 천도해야 앞뒤가 맞는다. 그래서 최근에는 신대왕 때 국내로 천도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아직 논거를 충분히 갖추었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새롭게 검토해볼 만한 견해이다.

 이렇게 언제 국내성으로 천도했는지조차 그리 쉽게 단정할 수 없는 정도이다. <삼국사기> 기록은 많은 부분이 역사적 사실에 기초하지만, 어떤 부분은 정치적인 목적이나 정통성을 위해 변개된 기록도 함께 담겨 있다. 커다란 정치적 사건일 수밖에 없는 국내성 천도 기록이 바로 그런 사례의 하나이다. 역사의 진실을 찾는 작업은 바로 그런 변개를 걷어내는 작업으로부터 시작한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9&aid=0003834346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Total 117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17 [한국사] 현 요하 하류 해안선 변화 관련 정보 (138) 감방친구 06-20 7742
116 [중국] 중국 피라미드 왜 침묵하는건가 ???? (19) 모름 04-26 4636
115 [한국사] 이완용이랑 일진회가 노선이 좀 달랐다더군요. (8) Centurion 07-06 3907
114 [기타] 한국에 주는 피해 - 중국과 일본의 비교 (11) 넌몰라도되 03-13 3877
113 [한국사] 임진왜란을 여덟달 만에 끌렀으리라 했던 송구봉과 … (2) 스리랑 07-15 3814
112 [기타] 고구려의 華夷觀 : 광개토왕비문과 중원 고려비를 중… 두부국 02-18 3704
111 [한국사] 말갈 (16) 관심병자 08-17 3493
110 [기타] 차이나는 도올 12강 - 아쉬운 마지막 수업- 고구려 패… (4) 두부국 07-06 3417
109 [세계사] 수세기 동안 찬란하게 빛났던 베네치아 공화국.JPG (15) 흑요석 12-19 3339
108 [기타] "발해인 개고기 즐겨 먹었다" (1) 두부국 02-20 3310
107 [한국사] 연 장수 진개는 고조선을 점령했는가 ? 낙랑=요동 (9) 도배시러 10-05 3204
106 [북한] 김정은의 요리사, '후지모토 겐지'씨가 말하… (1) Shark 10-05 3132
105 [한국사] 조선시대 선비들의 개고기/동물권 토론 (8) shrekandy 10-23 3083
104 [한국사] 인류 최고(2만 9천여 년 전) 그물추 강원도 정선 매둔… 감방친구 08-12 3079
103 [한국사] 최근 일본과 미국에서 발견된 임란이전의 조선궁궐… (2) 햄돌 11-28 3008
102 [한국사] 고대사 오랑캐 잡설 (4) 관심병자 05-22 2991
101 [한국사] 가야의 어원에 대한 단상 (9) 백운 06-21 2974
100 [기타] 고구려 국내성 천도 시기 산상왕·신대왕때가 유력? 두부국 11-11 2941
99 [한국사] 수(隋) 임유관(臨渝關, 臨榆關) 과 고구려 서계 (1) 감방친구 10-23 2929
98 [기타] 한중일 용의 차이점 (8) 두부국 06-11 2918
97 [한국사] 요해제군사(遼海諸軍事)에서의 요해(遼海) 고찰 (3) 감방친구 11-23 2781
96 [한국사] 발해인들 귀후비던 귀이개가 세상에 나왔다 (1) 인류제국 09-09 2757
95 [세계사] 역사상 가장 끔찍했던 질병 Top 10 (3) 레스토랑스 10-19 2608
94 [기타] 고구려 사람들은 무엇을 먹고 살았을까? (2) 두부국 04-13 2484
93 [기타] 삼국시대 식생활풍습 두부국 07-05 2425
92 [한국사] 요택과 거란 동경 (3) 감방친구 03-21 2272
91 [한국사] 강동 6주의 위치와 고려의 서북계 (13) 감방친구 11-04 2252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