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8-06-29 16:45
[한국사] 고구려-발해-고려 전기 압록강은 어디인가?
 글쓴이 : 감방친구
조회 : 3,626  


1. 거란ㅡ고려 접경지로 본 압록강의 위치

8814a6d2d1262809097437df2595fe2c_vALmFQw5AsCBaGH.jpg

8814a6d2d1262809097437df2595fe2c_fYl1RNT2sukh5.jpg

8814a6d2d1262809097437df2595fe2c_rKb2K74jac.jpg

8814a6d2d1262809097437df2595fe2c_Dt8yU1il.jpg



2. 요사 지리지 동경도 일부 속주 교치상으로 본 압록강의 위치

8814a6d2d1262809097437df2595fe2c_6GVsalnG7CHSnG5Fu.jpg



3. 거란 병경 수병 배치 기록을 토대로 본 압록강의 위치

8814a6d2d1262809097437df2595fe2c_sB1XCiTXR.jpg



4. 요사 지리지 동경도 분석을 토대로 한 11세기 거란 동경도의 실제 영역

거란동경실체.jpg



5. 무경총요 숙여진 18주 기록과 요사 지리지 동경도 기록을 교차하여 본 압록강의 위치

숙여진.jpg



6. 지형도를 통한 거란ㅡ고려 접경상의 이해

요동지형도와지명.jpg



7. 1125 선화을사봉사금국행정록 기록을 토대로 한 고려 서북계의 위치

선화을사신라산.jpg



8. 가탐 도리기 제 2도 고찰 분석을 통한 8세기 압록강의 위치

(교차 분석 자료 : 신당서, 금사, 성경통지, 청사, 도서편, 주해도편 수록 지도, 명/청 시대 고지도 등)

8814a6d2d1262809097437df2595fe2c_ImOYLIyc.jpg

8814a6d2d1262809097437df2595fe2c_VPfnLAdUNZzvV.jpg

8814a6d2d1262809097437df2595fe2c_Mb2aymPgGmZrbeN9AcprujbA.jpg

8814a6d2d1262809097437df2595fe2c_pcNWdTC7oODVOv5sG8I.jpg



9. 요택의 위치로 본 압록강의 위치

8814a6d2d1262809097437df2595fe2c_NAN4Bjlfg5M88C3d5rG3FRX.jpg

8814a6d2d1262809097437df2595fe2c_F1dVnv4LNgiVyb1Px1o55fckQhmB.jpg

8814a6d2d1262809097437df2595fe2c_oBEWqci5NpQ9WKQ7EyIIl8rkO.jpg

8814a6d2d1262809097437df2595fe2c_kUG5p7YS3iRi.jpg

적봉파림요택.jpg

요하요택명청.jpg


#수/당 고구려 침략 당시 영주(유성군)와 저들이 건넌 요수의 위치 고찰 (1)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도배시러 18-06-29 16:51
   
하천지도에는 표시하지 않지만...
위성지도로 보면 말갈 백산(부락) 지역에서 혼하로 이어지는 물길의 흔적이 보입니다.
有馬訾水出靺鞨之白山,色若鴨頭,號鴨淥水,曆國內城西,與鹽難水合,又西南至安市,入於海。신당서
     
감방친구 18-06-29 16:55
   
혼하의 상류는 요원 근처까지 올라갑니다
즉 혼하와 동요하의 수원지가 서로 비슷한 지역인 것이죠
          
도배시러 18-06-29 16:59
   
위성 사진을 잘 활용해야 합니다. 사라진 물길의 흔적이 선명한 경우가 있습니다.
그리고 당시 강수량을 짐작케 하죠.
               
감방친구 18-06-29 17:03
   
위성 사진으로 보고서 말씀 드리는 거예요
               
감방친구 18-06-29 17:07
   
고려ㅡ거란 접경으로서의 사서에서 말하는 압록은 요하 하류

여진ㅡ거란 접경으로서의 사서에서 말하는 압록은 동요하

마자수는 서북으로 흐르다 염난수와 합류, 서남으로 흘러 서안평에서 바다로 들어감
감방친구 18-06-29 17:02
   
고려의 서북계 압록강은 현 요하였다
숙여진 (지도상 초록색 표시) 지역의 여진족들을 쫓아내거나 포섭하며 숙여진 지역을 잠식,
광종 시기에 요하 하류까지 진출,
성종 시기에 거란의 986~987 여진족 대정벌로 인한 어부지리로 혼하까지 진출
이 시기 요하 중하류~혼하에 이르는 서북계 완성

그러나 거란 성종의 10세기 말~11세기 대여진, 대고려 정벌 사업으로 태자하 이남까지 후퇴

그러나 또한 강동6주 개척을 통하여
장춘ㅡ요원ㅡ혼하상류ㅡ요하 하류 동쪽 잇는 선까지 국경선 성립
감방친구 18-06-29 17:04
   
가생이에 사진 올리며 긴 글 쓰기 진짜 불편하다
 
 
Total 722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722 [한국사] 현 요동지역의 고대 해안선과 서안평의 위치 (65) 감방친구 06-18 7703
721 [한국사] 현 요하 하류 해안선 변화 관련 정보 (138) 감방친구 06-20 7667
720 [한국사] 고구려 서쪽 강역 고찰의 완료 보고 (11) 감방친구 09-13 5339
719 [한국사] 요서 백제 추적(bc 3세기~ad 5세기) (23) 감방친구 06-16 5260
718 [한국사] 경작지 면적 1결이 어림잡아 어느 정도 크기인가요? (12) 감방친구 12-27 5080
717 [한국사] 오키나와(沖縄)의 전통복식을 통해 본 류구(琉球)와 … (9) 감방친구 03-03 4924
716 [한국사] 고조선부터 삼국시대(5세기)까지 역사영토 시각화 (15) 감방친구 06-17 4613
715 [한국사] 러시아 아무르 평원에서 발해 토기 발견 (5) 감방친구 07-15 4543
714 [한국사] 수/당 고구려 침략기 영주 추적의 서광 (25) 감방친구 10-04 4417
713 [한국사] 중국 분열에 대비해야 합니다 (30) 감방친구 05-31 4375
712 [한국사] 고수/고당 전쟁 시 고구려와 수/당의 주요 접경지 지… (20) 감방친구 06-24 4227
711 [기타] 장차 일본 난민 수용에 대해서 (23) 감방친구 07-10 4179
710 [한국사] 요택의 위치(시각화 지도) (10) 감방친구 04-30 4111
709 [한국사] 만주족(여진족)의 선 이해 (2) 감방친구 12-05 4101
708 [한국사] 고구려 안시성 위치에 대한 추정 (3) 감방친구 04-20 4067
707 [한국사] 발해 유적 발굴과 발해 영토 추정 변화 (19) 감방친구 10-22 4049
706 [한국사] 발해 멸망과 동단국 사민의 전말(顚末) (7) 감방친구 04-18 3965
705 [한국사] 고구려 비사성의 위치(시각화 지도) (11) 감방친구 04-18 3956
704 [한국사] 서안평(西安平)의 위치 (8) 감방친구 12-04 3848
703 [한국사] 잘 사는 나라가 못 사는 나라한테 전쟁에서 털리는 … (6) 감방친구 02-03 3780
702 [한국사] 947년, 석중귀와 황룡부 (6) 감방친구 04-01 3759
701 [한국사] ‘임금’ 왕호(王號)의 어원 및 왕검(王儉)과의 연관… (10) 감방친구 08-03 3743
700 [한국사] 고구려 안시성, 오골성, 신성, 남소성 등의 위치 고찰 (13) 감방친구 12-17 3726
699 [한국사] 발해 ㅡ 사서 기록을 통한 홀한성 위치 접근 (9) 감방친구 07-06 3700
698 [한국사] 각 시대 사서에 기술된 압록강의 위치 (15) 감방친구 04-29 3693
697 [한국사] 지게가 도로사정의 낙후성 결과다? (10) 감방친구 10-07 3656
696 [한국사] 고구려-발해-고려 전기 압록강은 어디인가? (7) 감방친구 06-29 3627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