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7-08-05 10:58
[한국사] 위서동이전의 누락된 조선과 강역에 대하여 제 견해로서 붙입니다.
 글쓴이 : 현조
조회 : 1,230  

 
① 高句麗在遼東之東千里,南與朝鮮、濊貊,東與沃沮,北與夫餘接。
-
②-1 東沃沮在高句麗蓋馬大山之東,濱大海而居。
②-2 其地形東北狹,西南長,可千里,北與挹婁、夫餘,南與濊貊接。
-
 ③ 挹婁在夫餘東北千餘里,濱大海,南與北沃沮接,未知其北所極。其土地多山險。
-
④ 濊南與辰韓,北與高句麗、沃沮接,東窮大海,今朝鮮之東皆其地也。
-
⑤-1 韓在帶方之南,東西以海爲限,南與倭接,方可四千里。
⑤-2 有三種,一曰馬韓,二曰辰韓,三曰弁韓。辰韓者,古之辰國也。馬韓在西。
 
=====
 
eubru_002c.jpg

▷ 기록들에 따라서 읍루(邑婁)는 현재 하북성(河北省) 북부의 계주(薊州)와 어양(漁陽)이었던 심주(瀋州)와 심양(瀋陽)이라고 했기 때문에, 그 곳을 기점으로 해서 삼국지(三國志) 30권(卷)의 기록을 기준으로 지리적 관점 하에 찾아보는 지도 입니다.

===============
 
eubru_002d.jpg

▷ 현 산동성(山東省)이 대방(帶方)이라면, 해안선의 길이에 따라서 돌아가면서 현 한반도(韓半島) 남부의 구사한국(狗邪韓國)까지 이르는 거리가 약 7천여리가 되는 셈이지요.
( ※ 도배시러님의 지도를 인용했습니다. - [중국] 위서동이전 대방군-왜의 위치 글 참조 ]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도배시러 17-08-05 16:16
   
韓在帶方之南,東西以海爲限,南與倭接
이렇게 되면 대륙 왜국설도 함께 추가됩니다.
중국기준으로 倭의 위치도 비정해 주시지요.
 
 
Total 55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55 [한국사] 동옥저(東沃沮)의 지형적 조건.. (12) 현조 07-17 2695
54 [한국사] 중화인민공화국의 관점으로 보는 순주(順州) ' 평… (3) 현조 05-10 1395
53 [한국사] 근세 조선(朝鮮)의 압록강(鴨淥江 : 馬訾水)는 환인현… (4) 현조 03-26 879
52 [한국사] 낙랑군(樂浪郡) ' 수성(遂城) ' 무수(武遂) 등… (9) 현조 03-26 733
51 [한국사] 우공추지(禹貢錐指) 기록에 따르는 부여(夫餘 : 북부… (9) 현조 02-26 1748
50 [한국사] 송화강(松花江)' 요해(遼海) ' 토곡혼(吐谷渾)… 현조 02-07 1339
49 [한국사] 중화인민공화국의 관점으로 보면, 현도(玄菟) ' … 현조 01-03 1618
48 [한국사] 남제서(南齊書)의 기록에 따르는 실제 백제(百濟)의 … (4) 현조 01-03 1869
47 [한국사] 중화인민공화국의 입장으로 보는 [ 로현(潞縣)의 본… (14) 현조 12-20 1604
46 [한국사] 중화인민공화국의 관점으로 보는 요주(遼州) ' 요… (15) 현조 10-16 1581
45 [한국사] 강단사학계의 정설이 틀릴 수 밖에 없는 근본적인 이… 현조 09-17 1138
44 [한국사] 중화인민공화국의 관점으로 보는 기자(箕子) 조선(朝… (1) 현조 09-17 1375
43 [한국사] 중화인민공화국의 관점으로 보는 요서(遼西)의 위치. 현조 09-09 1167
42 [한국사] 중화인민공화국의 입장으로 보는 장백산맥(長白山脈… 현조 09-02 1581
41 [한국사] ※ 고조선(古朝鮮)의 국경과 직접 관련되는 난하(灤… (3) 현조 09-02 1664
40 [한국사] 진번(真番) 및 우리 고대 국가들의 영역.. (수정) (9) 현조 08-31 1656
39 [한국사] 알기 쉬운 고죽국(孤竹國)의 위치.. (19) 현조 08-31 2327
38 [한국사] 낙랑(樂浪)의 위치와 동일하게 놓여진 지명들이기도 … (11) 현조 08-25 1680
37 [한국사] 제 관점으로 보는 근세 조선(朝鮮)의 지리적 위치입… (10) 현조 08-25 1364
36 [중국] 중국 고대 지도를 가지고 있는 분 계십니까? (5) 현조 08-05 2171
35 [한국사] 위서동이전의 누락된 조선과 강역에 대하여 제 견해… (1) 현조 08-05 1231
34 [한국사] [재업] 강단사학계 관점으로 보는 읍루(邑婁)의 위치. (11) 현조 08-05 1342
33 [중국] 기록 관점으로 보는 조양(造陽) ' 유중(榆中)의 위… 현조 07-29 1890
32 [중국] 기록 관점으로 보는 소관(蕭關)의 위치.. 현조 07-29 876
31 [중국] 기록 관점 - 은천(銀川) 주위에 위치하는 지명들.. 현조 07-29 775
30 [한국사] 기록 관점으로 보는 부여(夫余)의 위치.. (1) 현조 07-29 1184
29 [한국사] 기록 관점으로 보는 낙랑(樂浪) 및 고조선(古朝鮮)의 … 현조 07-29 932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