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종교/철학 게시판
 
작성일 : 18-02-12 08:40
불교에 대한 착각 둘 - 불교의 목표는 깨달음이다
 글쓴이 : 타이치맨
조회 : 567  

한국 불교의 병폐 가운데 가장 큰 것이 깨달음에 대한 오해다. 붓다의 가르침이 오로지 깨달음이고 깨닫기만 하면 마치 신이 되는 것처럼 생각한다.

그러나 깨달음은 목표에 도달하는 수단일 뿐이다. 붓다께서 깨달음이라 교통수단을 말씀하시니 이걸 우리가 갈 곳으로 착각한다. 그러나 깨달음은 그저 갈 곳에 이르는 수단일 뿐이다. 붓다께서 그 교통수단을 이용해서 가고자 했던 곳은 행복이며 안락이다.

이고득락(離苦得樂).

'고'는 괴로움이라고 번역되지만, 원래의 뜻은 좀 더 다양하다. 육체의 고통, 정신적 괴로움뿐만 아니라 불만족함, 고정된 실체가 없다는 뜻까지 포함한다. 그 ‘고’를 떠난 행복은 작게는 육체적으로 편안하고 마음이 평온하고 만족하는 것이고 가장 크게는 윤회의 종식이다.

붓다의 가르침에 어려운 것은 없다. 누구나 아는 평범한 내용을 평범하게 말씀하실 뿐이다.

법구경에 '칠불통게'라고 하여 과거세에 나투셨던 일곱 부처님이 말씀하신 바를 요약한 구절이 있다.

나쁜 짓 하지 말고 착하게 살아라.

마음을 깨끗하게 해라.

이 단순하고 평범한 구절이 불교의 모든 것이다. 누구나 알지만 제대로 행하는 자는 열에 하나도 드물다. 이런 마음으로 살아갈 때 우리는 마음의 평안을 얻는다. 육체적, 정신적 괴로움을 만날 때도 그것을 이유로 새로운 괴로움을 만들지 않는다.

붓다께서는 항상 보시와 계율을 먼저 설하셨다. 보시와 계율을 실천하면서 자신의 행복하게 만들고, 주위를 행복하게 만들라고 하셨다. 그리고 더 나아가 윤회를 끝내고자 큰 결심이 서면 출가하여 본격적으로 수행에 매진하라고 하였다.

자신이 행복하지 못하고 남을 행복하게 해주지 못하면서, 깨달으면 모든 것이 이뤄진다는 환상은 결코 붓다의 가르침이 아니다. 항상 자신의 행복한 모습을 떠올리고 주위의 사람들을 행복하게 하기 위해 노력하는 삶이 붓다의 가르침이다. 그렇게 실천하는 삶이 하루하루 진정으로 행복한 삶이기 때문이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Habat69 18-02-12 08:55
 
이세상엔 자신이 고통스러워야할 단 하나의 이유도 없죠.
그래서 "고집멸도" 는 어려운것이 아닙니다
다만 우리가 어떤 허상에 집착을 하니깐 고통에서 헤어나오기가 어려운거죠.
수행이란 자신에게 어떤 고통이 발생하면 그걸 맑히는 연습입니다
사마타 18-02-12 11:34
 
좋은 글 잘 읽고갑니다. 알음알이란게 이런거구나 하고 요즘 절절히 깨닫고 있습니다.  ㅎㅎ
레종프렌치 18-02-12 18:53
 
깨달음이 아니면 그냥 단체로 머리깎고 깊은 산속 경치 좋은 절로 엠티 갔니?
     
나무아미타 18-02-23 17:29
 
종교가 종교로써의 역할만 하면 됬었는데 정치를 했으니 탄압받게된거죠.
심외무물 18-02-12 19:14
 
깨달음이 뭔지도 모르는 양반이
불교를  논하다니

무식하면 용감하다는 말이 이경우 너무 살벌하게 적용이 되는듯

정확히 망언죄에 해당하는 사안이네요

불전에 무릅 꿇고 참회하고 참회하세요

그런다고 죄업이 모두 없어지지는 못하겠지만

최선은 참회와 더이상의 죄업을 짓는 것을 멈추는 것
 
 
Total 35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5 불교는 별로 할 말이 없는 종교이며 '와서 보라'는 종교… (4) 타이치맨 07-28 548
34 붓다, 벽지불, 아라한의 차이 (5) 타이치맨 07-24 825
33 인터넷을 하는 것도 탐욕이라 (7) 타이치맨 07-17 531
32 한국불교에 부처님의 가르침에 따른 깨달은 자는 없다 (2) 타이치맨 05-04 664
31 공(空)은 연기의 다른 표현일 뿐이지 별거 아닙니다 (7) 타이치맨 05-04 525
30 치과를 다녀와서 (2) 타이치맨 04-27 403
29 미륵부처님은 이 세상에 오시는 부처가 아닙니다... (18) 타이치맨 03-30 1457
28 집안일을 하며 짜증을 덜내기 위해서 (7) 타이치맨 03-28 504
27 대승비불설은 오늘날 보편적인 상식입니다.... (17) 타이치맨 03-02 548
26 삼법인의 하나가 일체개고인데 일체와 고가 무엇인가 (3) 타이치맨 03-02 1177
25 선불교(선종)의 가르침은 진정 붓다의 가르침인가 (13) 타이치맨 02-28 688
24 불교는 어떤 종교를 가리키는가? (8) 타이치맨 02-27 529
23 가장 맛있는 음식을 똥이라 아는 개에게 진수성찬을 차려줄 필… (22) 타이치맨 02-12 694
22 불교에 대한 착각 둘 - 불교의 목표는 깨달음이다 (5) 타이치맨 02-12 568
21 불교에 대한 착각 하나 - 붓다께서는 모든 중생을 구제하려 했다 (57) 타이치맨 02-09 1222
20 우리는 말에 아주 쉽게 속는다 (8) 타이치맨 02-06 496
19 칠불통게(七佛通偈) (7) 타이치맨 02-05 495
18 초전법륜경 (10) 타이치맨 02-03 838
17 석가모니 부처님의 오도송 (57) 타이치맨 02-02 2857
16 기독교도가 운영하던 불교카페들 (17) 타이치맨 02-01 1392
15 고정불변의 내가 존재한다는 이 뿌리깊은 착각 (10) 타이치맨 02-01 813
14 병사들이 깃발을 올려다 보며 두려움을 이겨내듯.... (31) 타이치맨 01-30 877
13 신은 자신을 믿지 않는 자가 아니라 다른 신을 믿는 자를 더 증… (2) 타이치맨 01-22 402
12 자애에 대한 가르침 (6) 타이치맨 01-19 326
11 감정도 습관이다.... (3) 타이치맨 01-17 483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