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종교/철학 게시판
 
작성일 : 18-02-05 18:10
칠불통게(七佛通偈)
 글쓴이 : 타이치맨
조회 : 493  

법구경 183번 게송을 칠불통게라고 합니다.

제악막작(諸惡莫作) 

중선봉행(衆善奉行)

자정기의(自淨其義)

시제불교(是諸佛敎)

모든 악을 짓지 말고, 

온갖 선을 받들어 행하라. 

스스로 그 마음을 깨끗이 하는 것이 

모든 부처님의 가르침이니라.

---------

과거의 모든 부처님들이 설했던 법을

가장 쉽고 짧게 정리한 문구라 생각됩니다.

누구나 다 아는 말이지만 실천하기는 어려운 말입니다.

'나쁜 짓 하지 말고, 착한 일 하면서 살아라.'

이와 같이 살기 위해 노력할 때

마음의 평화와 행복도 같이 할 수 있을 거라 믿습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사마타 18-02-05 18:15
 
오늘도 좋은 글, 잘 읽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우왕 18-02-05 23:06
 
선과 악이 매번 구분 힘들어요
그냥 보면 선이고 크게 보면 악인 경우도 있고...
어떤 경제 학자는 아프리카의 인구가 매년 3프로씩 성장하면 50년후에 인류에 재앙이 올 수도 있다더군요
그때 또 새로은 돌파구를 찾는게 인간이지만
현재로선 장수와 인구 팽창만으로도 종말을 야기 할 수 있다니 세상 복잡하죠
moim 18-02-05 23:45
 
밑에 정의라는것과 비슷하지만
선악은 딱잘라 말하기 어렵습니다
사람을 죽이는것은 흔히 악이라하지만
어떤사람의 전가족을 몹쓸짖하고 죽인 죄를 지어서
법률로서 그사람을 사형시킨다면
이건 악인가요?
사람을 죽이는 행위는 같지만
내용은 다르죠
그렇다고 그악인을 사형시키지않고
감방에 모시고 잠자리와식사를 대접하면
이건 선인가요?
아님 뭔 종교처럼 그런죄를짖고
회개하고 믿으면 착한이가되어 천국가나요?
애매모호합니다
도덕?
윤리?
어렵죠
무엇을기준으로 자신을 갈고닦느냐
그것또한중요하고요
     
사마타 18-02-06 00:04
 
그래서 행위로 나타난 결과도 중요하지만 업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의도'입니다. 신,구,의 세가지로 업을 짓지만 같은 행위라도 의도에따라서 선업이되기도, 불선업이되기도, 이도저도 아닌 무기가 되기도 하지요.

탐욕을 채우기위해 살인을 저지르는 것과 누군가를 지키고 보호하기위해  살인을 저지르는 것의 업의 과보는 다르지요.
          
moim 18-02-06 00:14
 
업이군요
선도 악도아닌...
               
moim 18-02-06 00:20
 
그냥 죄...
          
태지 18-02-06 18:48
 
업에서의 의?
인연으로 설명하면 어떻게 되나요?
 
 
Total 35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5 불교는 별로 할 말이 없는 종교이며 '와서 보라'는 종교… (4) 타이치맨 07-28 548
34 붓다, 벽지불, 아라한의 차이 (5) 타이치맨 07-24 824
33 인터넷을 하는 것도 탐욕이라 (7) 타이치맨 07-17 531
32 한국불교에 부처님의 가르침에 따른 깨달은 자는 없다 (2) 타이치맨 05-04 664
31 공(空)은 연기의 다른 표현일 뿐이지 별거 아닙니다 (7) 타이치맨 05-04 525
30 치과를 다녀와서 (2) 타이치맨 04-27 402
29 미륵부처님은 이 세상에 오시는 부처가 아닙니다... (18) 타이치맨 03-30 1456
28 집안일을 하며 짜증을 덜내기 위해서 (7) 타이치맨 03-28 504
27 대승비불설은 오늘날 보편적인 상식입니다.... (17) 타이치맨 03-02 548
26 삼법인의 하나가 일체개고인데 일체와 고가 무엇인가 (3) 타이치맨 03-02 1176
25 선불교(선종)의 가르침은 진정 붓다의 가르침인가 (13) 타이치맨 02-28 688
24 불교는 어떤 종교를 가리키는가? (8) 타이치맨 02-27 529
23 가장 맛있는 음식을 똥이라 아는 개에게 진수성찬을 차려줄 필… (22) 타이치맨 02-12 694
22 불교에 대한 착각 둘 - 불교의 목표는 깨달음이다 (5) 타이치맨 02-12 566
21 불교에 대한 착각 하나 - 붓다께서는 모든 중생을 구제하려 했다 (57) 타이치맨 02-09 1218
20 우리는 말에 아주 쉽게 속는다 (8) 타이치맨 02-06 495
19 칠불통게(七佛通偈) (7) 타이치맨 02-05 494
18 초전법륜경 (10) 타이치맨 02-03 838
17 석가모니 부처님의 오도송 (57) 타이치맨 02-02 2856
16 기독교도가 운영하던 불교카페들 (17) 타이치맨 02-01 1392
15 고정불변의 내가 존재한다는 이 뿌리깊은 착각 (10) 타이치맨 02-01 812
14 병사들이 깃발을 올려다 보며 두려움을 이겨내듯.... (31) 타이치맨 01-30 876
13 신은 자신을 믿지 않는 자가 아니라 다른 신을 믿는 자를 더 증… (2) 타이치맨 01-22 401
12 자애에 대한 가르침 (6) 타이치맨 01-19 326
11 감정도 습관이다.... (3) 타이치맨 01-17 481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