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종교/철학 게시판
 
작성일 : 18-02-12 08:40
불교에 대한 착각 둘 - 불교의 목표는 깨달음이다
 글쓴이 : 타이치맨
조회 : 568  

한국 불교의 병폐 가운데 가장 큰 것이 깨달음에 대한 오해다. 붓다의 가르침이 오로지 깨달음이고 깨닫기만 하면 마치 신이 되는 것처럼 생각한다.

그러나 깨달음은 목표에 도달하는 수단일 뿐이다. 붓다께서 깨달음이라 교통수단을 말씀하시니 이걸 우리가 갈 곳으로 착각한다. 그러나 깨달음은 그저 갈 곳에 이르는 수단일 뿐이다. 붓다께서 그 교통수단을 이용해서 가고자 했던 곳은 행복이며 안락이다.

이고득락(離苦得樂).

'고'는 괴로움이라고 번역되지만, 원래의 뜻은 좀 더 다양하다. 육체의 고통, 정신적 괴로움뿐만 아니라 불만족함, 고정된 실체가 없다는 뜻까지 포함한다. 그 ‘고’를 떠난 행복은 작게는 육체적으로 편안하고 마음이 평온하고 만족하는 것이고 가장 크게는 윤회의 종식이다.

붓다의 가르침에 어려운 것은 없다. 누구나 아는 평범한 내용을 평범하게 말씀하실 뿐이다.

법구경에 '칠불통게'라고 하여 과거세에 나투셨던 일곱 부처님이 말씀하신 바를 요약한 구절이 있다.

나쁜 짓 하지 말고 착하게 살아라.

마음을 깨끗하게 해라.

이 단순하고 평범한 구절이 불교의 모든 것이다. 누구나 알지만 제대로 행하는 자는 열에 하나도 드물다. 이런 마음으로 살아갈 때 우리는 마음의 평안을 얻는다. 육체적, 정신적 괴로움을 만날 때도 그것을 이유로 새로운 괴로움을 만들지 않는다.

붓다께서는 항상 보시와 계율을 먼저 설하셨다. 보시와 계율을 실천하면서 자신의 행복하게 만들고, 주위를 행복하게 만들라고 하셨다. 그리고 더 나아가 윤회를 끝내고자 큰 결심이 서면 출가하여 본격적으로 수행에 매진하라고 하였다.

자신이 행복하지 못하고 남을 행복하게 해주지 못하면서, 깨달으면 모든 것이 이뤄진다는 환상은 결코 붓다의 가르침이 아니다. 항상 자신의 행복한 모습을 떠올리고 주위의 사람들을 행복하게 하기 위해 노력하는 삶이 붓다의 가르침이다. 그렇게 실천하는 삶이 하루하루 진정으로 행복한 삶이기 때문이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Habat69 18-02-12 08:55
 
이세상엔 자신이 고통스러워야할 단 하나의 이유도 없죠.
그래서 "고집멸도" 는 어려운것이 아닙니다
다만 우리가 어떤 허상에 집착을 하니깐 고통에서 헤어나오기가 어려운거죠.
수행이란 자신에게 어떤 고통이 발생하면 그걸 맑히는 연습입니다
사마타 18-02-12 11:34
 
좋은 글 잘 읽고갑니다. 알음알이란게 이런거구나 하고 요즘 절절히 깨닫고 있습니다.  ㅎㅎ
레종프렌치 18-02-12 18:53
 
깨달음이 아니면 그냥 단체로 머리깎고 깊은 산속 경치 좋은 절로 엠티 갔니?
     
나무아미타 18-02-23 17:29
 
종교가 종교로써의 역할만 하면 됬었는데 정치를 했으니 탄압받게된거죠.
심외무물 18-02-12 19:14
 
깨달음이 뭔지도 모르는 양반이
불교를  논하다니

무식하면 용감하다는 말이 이경우 너무 살벌하게 적용이 되는듯

정확히 망언죄에 해당하는 사안이네요

불전에 무릅 꿇고 참회하고 참회하세요

그런다고 죄업이 모두 없어지지는 못하겠지만

최선은 참회와 더이상의 죄업을 짓는 것을 멈추는 것
 
 
Total 114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64 [불교] 설정스님 관련 오늘 PD수첩 방송예정 내용. (32) 아날로그 05-01 989
63 만약에 불멸(영생)하고 초인간이된다면 진리를 알 수 있을까요? (32) 별명뭐해 04-29 981
62 불교가 살벌한 종교인 이유 (24) 우주의 04-25 1134
61 깨달음의 조건 (4) 공무도하 04-11 435
60 [ 불교, 살생, 수행, 깨달음 ] 이거 한 줄로 꿰어주실 분~ (24) 아날로그 04-10 953
59 공(空)에 대한 이해 (26) ncser 04-09 755
58 금강경 마지막 장의 한 구절. (43) ncser 04-08 1546
57 불교는 무아의 실천 학문이죠. (21) ncser 04-04 613
56 불교의 우주관 1 (2) 심외무물 03-05 693
55 개불들 지령받고왔나 (5) 레종프렌치 03-04 516
54 요청입니다... (1) 팔달문 03-03 349
53 구업 쌓는 것을 감내하면서 하고 싶은 말 (11) 팔달문 03-03 449
52 영원불변 한것은 없다고 하는데... (6) 블루님 03-03 415
51 대승불교 소승불교의 목표는 하나입니다 (10) 심외무물 03-03 412
50 불교 근본주의 (15) 쉿뜨 03-03 617
49 열반.해탈에 들어다는 표현를 하는데 어떤 상태인건지 알려주세… (19) 블루님 03-03 455
48 반야심경에서의 공이란 (19) 팔달문 02-27 757
47 불교는 어떤 종교를 가리키는가? (8) 타이치맨 02-27 530
46 [궁금] 조상신은 귀신인가요 or 영혼인가요? 저승이 있나요? (24) 조국과청춘 02-19 1434
45 견성 체험을 해보신분 있나요? (20) 시골가생 02-19 1099
44 불교도님들과 대화를 나눠보고 싶습니다. (13) 아날로그 02-15 673
43 부처님이 이세상에 나오신 단 하나의 이유는 (67) 심외무물 02-12 1035
42 불교에 대한 착각 둘 - 불교의 목표는 깨달음이다 (5) 타이치맨 02-12 569
41 종교와 과학의 관계 (51) 심외무물 02-10 734
40 부처님의 깨달음과 진아 (34) 심외무물 02-04 819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