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종교/철학 게시판
 
작성일 : 21-08-21 00:50
불교신자가 살인, 자위, 욕을 해도 되는 경우
 글쓴이 : 유전
조회 : 530  

(2021.08.21)

불교신자가 살인, 자위, 욕을 해도 되는 경우

600권 대반야바라밀다경에는 "마하살품"이 있는데 '마하'는 '크다'는 뜻이며 보살 중에서도 큰 보살을 보살마하살 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마하살품의 설법으로는 큰 보살인 보살마하살의 위치에서 행해야 하는 6바라밀이 기존의 6바라밀과 다르게 설법되어 있는데 보시(베품), 지계(계율을 지킴), 인욕(온갖 어려움을 참음), 선정(정신을 집중함), 정진(끊임없이 노력함), 반야(지혜)에 대한 가장 큰(마하) 수행법이 설법되어 있습니다.

일단 보살이 정상적인 6바라밀을 수행해야 하며, 그러나 전생에 극락(아미타불의 불국토) 등의 불국토에 있던 보살이 하화중생(중생을 제도하기 위해 하생함)하여 아뇩다라삼막삼보리(무상정등각=위도없고 아래도없는 바르고 평등함 깨달음)를 행할 때 "얻을 바 없음(이무소득고)"을 깨닫고 다만 반드시 "중생을 위하는 마음"의 발로로 스님이든 재가신도든, 계율을 버리고 무고한 시민을 살해하는 강도에게 대항하여 살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여자의 몸을 받은 자가 거렁뱅이에게 대비심(큰 슬픔-연민의 마음. 슬플 비悲)을 느껴 몸을 허락하는 육보시로 위로할 수 있으며, 대자심(큰 사랑의 마음. 사랑 자慈)을 느껴 처음부터 한 몸이었던 영원한 반려자의 인연임을 깨달아 환속하여 결혼을 할 수도 있습니다. 

5정심관 중의 하나인 부정관(不淨觀)을 수행할 때 구상(九想: 사람의 시체가 부패되어 가는 모습을 생각, 관찰하며 수도하는 9종의 관상)도 행하며, 또한 보살은 몸뚱아리에 불과한 자신의 육신을 찢어 짐승의 먹이로도 주는 보살본행경의 설법도 있어, 거렁뱅이를 비천하다고 느끼는 불평등심이나 자신의 몸이 청정하여 몸을 더럽힌다는 마음의 아상과 집착을 버려야 합니다.

다만, 대자심으로 영원한 반려가 이미 있음에도 욕심이 아닌 대비심이 지극하여 제 3자에게 몸을 허락하는 일은 기존의 반려가 영원한 반려가 아니어서 한 때의 인연으로 맺어졌거나, 영원한 반려인 경우 그 반려자의 뜻에 반하기 때문에 스스로의 양심에 따라 선택해야 합니다.

다시 강조하지만 위와 같은 행은 자신이 전생에 수 많은 공덕을 쌓아 보살의 신분에서도 가장 큰 보살인 보살마하살의 위치에서나 행할 수 있는 것으로 보통의 성문, 연각(독각, 벽지불)은 물론 대승의 마음을 낸 입장에서도 행하기 어렵고 오직 최상승 이상의 경지에서 가능한 것으로 함부로 판단하여 행하지 않아야 합니다. 함부로 판단하여 행할 때 잘못 되었을 경우 가장 큰 악업이 되기 쉽습니다.

이러한 내용은 다시 아촉불국경에서 아촉불의 45대 서원으로 다시 증명이 되고 있는데 아촉불국토는 동방정토로 서방정토인 극락이 서쪽으로 (중생의 욕심이 흐르는 방향에 맞춰 - 지구 역사와 동일) 계속 이동하는 불국토인 것에 비하여 원래부터 동방에서 자리를 지켜 움직이지 않는다 하여 부동 또는 무동 불국토라 하며 불국토 이름을 "아비라 제"라 합니다. 성철스님이 "아비라 기도"를 평생 강조한 이유입니다.

아촉불국토에서는 이러한 내용으로 보살마하살들을 가르치는 설법이 대부분으로, 그러한 설법에 따라 행할 때 대반열반경(40권 본)에서 설법된, 석가모니가 아촉불의 제자로 있으면서 "금강과 같이 깨지지 않는 법신의 몸"을 증득했다는 것과 같이 "마하승나승렬" 이라는 새 옷의 갑옷을 착장할 수 있게 됩니다.

아래의 내용은 본문의 제목과 관련하여, 마하살품에서 6바라밀 중 보시바라밀과 지계바라밀에 대한 내용 일부와 아촉불국경의 45대 서원 중 일부인데 천천히 정독하여 그 뜻을 잘 헤아려야 하고, 오직 아래로 중생을 위하는 마음인 하화중생의 방편과, 위로 진리를 추구하는 상구보리의 뜻에 어긋나지 않아야 합니다. (하화중생의 방편과 상구보리의 방편은 방향성은 다르지만 뜻은 다르지 않습니다.)

-마하살품 (아래 내용에서 정계바라밀은 지계바라밀입니다.)

또 사리자여, 모든 보살마하살이 보시바라밀다를 수행할 때에 일체지지에 걸맞는 마음으로 보시바라밀다를 수행하되 얻을 바 없음을 방편으로 삼아 온갖 유정들과 함께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회향하며 보시의 행에서 부지런히 닦으며 쉬지 않나니, 사리자여, 이러한 것을 보살마하살이 보시바라밀다를 수행할 때에 정진바라밀다의 큰 공덕의 갑옷을 입는다고 합니다.
 
또 사리자여, 모든 보살마하살이 보시바라밀다를 수행할 때에, 일체지지에 걸맞는 마음으로 보시바라밀다를 수행하되 얻을 바 없음을 방편으로 삼아 온갖 유정들과 함께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회향하며 보시의 행에서 일심으로 일체지지에 회향하며 성문이나 독각의 뜻 지음에 섞이지 않나니, 사리자여, 이러한 것을 모든 보살마하살이 보시바라밀다를 수행할 때에 정려바라밀다의 큰 공덕의 갑옷을 입는다고 합니다.
 
또 사리자여, 모든 보살마하살이 보시바라밀다를 수행할 때에, 일체지지에 걸맞는 마음으로 보시바라밀다를 수행하되 얻을 바 없음을 방편으로 삼아 온갖 유정들과 함께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회향하고 보시의 법에서 마치 요술 같고 꿈 같고 형상 같고 메아리 같고 그림자 같고 허공의 꽃 같고 신기루 같고 변화로 된 일 같다는 생각에 머무르며 보시하는 이와 받는 이와 보시하는 물건을 보지 않나니, 이러한 것을 모든 보살마하살이 보시바라밀다를 수행할 때에 반야바라밀다의 큰 공덕의 갑옷을 입는다고 합니다.
 
사리자여, 이것이 보살마하살이 보시바라밀다를 수행할 때에 여섯 가지 바라밀다의 큰 공덕의 갑옷을 갖추 입은 것입니다.
사리자여, 만일 보살마하살이 일체지지에 걸맞는 마음으로 보시바라밀다를 수행할 때에 여섯 가지 바라밀다의 모양을 취하지도 않고 집착하지도 않으면 이는 보살마하살이 큰 공덕의 갑옷을 입은 것인 줄 알지니, 사리자여, 이러한 것을 보살마하살이 온갖 유정들을 이롭게 하고 안락하게 하려고 큰 공덕의 갑옷을 입은 것이라 합니다.
 
또 사리자여, 모든 보살마하살이 정계바라밀다를 수행할 때에, 일체지지에 걸맞는 마음으로 정계바라밀다를 수행하되 얻을 바 없음을 방편으로 삼아 온갖 유정들과 함께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회향하며 정계를 지키기 위하여 모든 지닌 것에서 도무지 그리워하고 집착하는 일이 없나니, 사리자여, 이러한 것을 보살마하살이 정계바라밀다를 수행할 때에 보시바라밀다의 큰 공덕의 갑옷을 입는다고 합니다.
 
또 사리자여, 모든 보살마하살이 정계바라밀다를 수행할 때에,일체지지에 걸맞는 마음으로 정계바라밀다를 수행하되 얻을 바 없음을 방편으로 삼아 온갖 유정들과 함께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회향하며 정계의 행에서 오히려 성문이나 독각조차도 구하지 않거든 하물며 범부 자리겠습니까, 사리자여, 이러한 것을 보살마하살이 정계바라밀다를 수행할 때에 정계바라밀다의 큰 공덕의 갑옷을 입는다고 합니다.
 
또 사리자여, 모든 보살마하살이 정계바라밀다를 수행할 때에, 일체지지에 걸맞는 마음으로 정계바라밀다를 수행하되 얻을 바 없음을 방편으로 삼아 온갖 유정들과 함께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회향하며 정계의 법에서 욕락을 참나니, 사리자여, 이러한 것을 보살마하살이 정계바라밀다를 수행할 때에 안인바라밀다의 큰 공덕의 갑옷을 입는다고 합니다.
 
또 사리자여, 모든 보살마하살이 정계바라밀다를 수행할 때에, 일체지지에 걸맞는 마음으로 정계바라밀다를 수행하되 얻을 바 없음을 방편으로 삼아 온갖 유정들과 함께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회향하며 정계의 행에서 부지런히 닦으면서 쉬지 않나니, 사리자여, 이러한 것을 보살마하살이 정계바라밀다를 수행할 때에 정진바라밀다의 큰 공덕의 갑옷을 입는다고 합니다.
 
또 사리자여, 모든 보살마하살이 정계바라밀다를 수행할 때에, 일체지지에 걸맞는 마음으로 정계바라밀다를 수행하되 얻을 바 없음을 방편으로 삼아 온갖 유정들과 함께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회향하며 정계의 행에서 오로지대비(大悲)를 으뜸으로 삼으면서 2승의 뜻 지음에도 섞이지 않거든 하물며 범부 마음이겠습니까. 사리자여, 이러한 것을 모든 보살마하살이 정계바라밀다를 수행할 때에 정려바라밀다의 큰 공덕의 갑옷을 입는다고 합니다.
 
또 사리자여, 모든 보살마하살이 정계바라밀다를 수행할 때에, 일체지지에 걸맞는 마음으로 정계바라밀다를 수행하되 얻을 바 없음을 방편으로 삼아 온갖 유정들과 함께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회향하고 정계의 법에서 마치 요술 같고 꿈 같고 형상 같고 메아리 같고 그림자 같고 허공의 꽃 같고 신기루 같고 변화로 된 일 같다는 생각에 머무르며 청정한 정계에서는 뽐내지도 않고 집착하지도 않으며 파계의 악(惡)에서는 싫어하지도 않고 취하지도 않나니, 지님[持]과 범함[犯]의 본 성품이 공한 까닭입니다.
 
사리자여, 이러한 것을 모든 보살마하살이 정계바라밀다를 수행할 때에 반야바라밀다의 큰 공덕의 갑옷을 입는다고 합니다.
사리자여, 이것이 보살마하살이 정계바라밀다를 수행할 때에 여섯 가지 바라밀다의 큰 공덕의 갑옷을 입은 것입니다.
사리자여, 만일 보살마하살이 일체지지에 걸맞는 마음으로 정계바라밀다를 수행할 때에 여섯 가지 바라밀다의 모양을 취하지도 않고 집착하지도 않으면 이는 보살마하살이 큰 공덕의 갑옷을 입은 것인 줄 알지니, 사리자야, 이러한 것을 보살마하살이 온갖 유정들을 이롭게 하고 안락하게 하려고 큰 공덕의 갑옷을 입은 것이라 합니다.

-마하살품 끝

--

-아촉불의 45대 서원 중 일부 (서방정토가 화생으로 태어나는 것과 달리 동방정토 아촉불국토는 태생 즉 어머니의 태를 빌어 태어남)

(43번째 서원) "만약 꿈속에서 정액을 누설하면서 최상의 바른 깨달음을 이루려고 한다면" 

(유전: 최상의 바른 깨달음 즉 상구보리의 더 높은 진리를 깨닫고자 한다면 꿈속에서만이 아닌 평소의 상태에서도 왜 인간은 애욕의 마음을 버리지 못하도록 현상계가 이루어졌는가에 대한 화두 수행과 방편으로 자위를 할 수 있으며 이것을 행하면서 전생 보살이 스스로 원하여 자신의 몸을 찍어 올린 영상을 볼 수 있는데 이러한 것은 누구를 해치는 것이 아니지만, 만약 강제이거나 몰래 찍어진 영상은 그 자체가 악업이기 때문에 피해야 합니다.)

(11번째 서원)첫째 만약 제가 뜻을 일으키되 험담하는 것을 염하고, 

(12번째 서원)둘째 만약 뜻을 일으키되 거친 말 하는 것을 염하며, 

- 아촉불의 45대 서원 인용 끝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유전 21-08-21 00:58
 
https://cafe.naver.com/lyangsim/1047 아촉불의 45대 서원
유전 21-08-21 01:10
 
MEECL 08/21 01:03 살인, 자위, 욕 중에 살인과 욕은 알겠는데 자위는 어딨나요. 살인과 욕은 자비를 위해서지만 자위는 스스로를 위해서 아닌가요.

유전 08/21 01:06 본문 하단에 있죠. 43번째 서원.
유전 21-08-21 01:30
 
MEECL 08/21 01:24 자위는 스스로를 위하는 행위입니다. 더 높은 진리를 깨닫기 위해서 평소만이 아닌 꿈 속의 상태도 다스릴 수 있어야 하지 않나 짧은 생각 올려 봅니다.

유전 08/21 01:27 불교에서 몽중일여 라는 사자성어가 있는데 꿈 속이나 일상이나 다름이 없다는 뜻입니다.
유전 21-08-21 02:55
 
납테일게코 08/21 01:31 아..읽는데 넘힘들었어요
반야심경 국민학교 2학년때 다외웠는데
뜻은 이제 알았네요
     
유전 21-08-21 03:05
 
[유전] [오전 3:03] 반야심경이 대반야바라밀다경을 압축하여 핵심만 설법한 것이어서 어렵지만 대반야바라밀다경 전체를 읽으면서 반야심경 내용과 비교하여 이해하면 더 빠르게 알 수 있게 되죠.
 
 
Total 4,900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종교/철학 게시판 규정 가생이 04-29 46098
4300 (대보적경, 대반열반경) 의지와 자비심 (2) 어비스 08-28 333
4299 남방불교 스리랑카 니까야 경전의 누락 (2) 유전 08-27 438
4298 이슬람 만큼 미움받는 한국 개신교 이름없는자 08-27 488
4297 공사상에 함몰된 자들의 유형 (2) 어비스 08-27 438
4296 출애굽기는 순수한 허구의 창작물 신화 (2) 이름없는자 08-26 728
4295 한국의 이슬람화 가능하다고 보시나요? (6) 송하나 08-25 617
4294 제법실상은 체험의 영역이다. (2) 어비스 08-25 608
4293 (금강경) 제법실상을 알아야 올바르게 보이는 경전 (2) 어비스 08-24 835
4292 대규모의 아프칸 난민 한국 수용에 대하여 (1) 유전 08-24 581
4291 있다고 하기에는 중생이 모르고, 없다고 하기에는 뭔가 있으니 (1) 어비스 08-23 602
4290 상윳다 니까야 - 자아는 있는가? (3) 유전 08-23 580
4289 세계적인 소년 부처 밤잔의 법문 (4) 유전 08-22 609
4288 [1인용종교] 모세는 히브리인이 아니다 그 첫번째 (1) 임정 08-22 592
4287 종게 제안 나비싸 08-22 423
4286 듣보잡 정신병자 하나 등장하니 알랑가 08-22 413
4285 앉아서 (세상을) 인도한다. 유전 08-22 374
4284 불경 천권 가까이 읽고 쓴 수행자의 자세 어비스 08-22 397
4283 (대보적경) 모든 계율은 자비심으로 완성된다. (2) 어비스 08-21 445
4282 불교신자가 살인, 자위, 욕을 해도 되는 경우 (5) 유전 08-21 531
4281 (펌) 내가 경험한 저승 (7) 유전 08-19 837
4280 사명대사의 한반도 예언 (1) 유전 08-19 1251
4279 코로나 사태가 한국의 미래를 위해 좋은점 이름없는자 08-19 444
4278 코로나시국 딱 한가지 좋은점 (1) 백전백패 08-18 516
4277 한국에서의 이슬람교 전파 (2) 유전 08-18 721
4276 (관무량수경) 모든 부처님의 마음이란? (2) 유전 08-17 635
 <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