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특정 회원에 대한 반말,욕설 글(운영원칙 2,3항) 3회 위반시 접근 차단 조치 됩니다.(원인제공과 관계없이 조치)
하오니, 절대 유념해 주시기 바랍니다.

선거법 위반 및 정치관계법 위반행위 신고는 아래 중앙선거관리 위원회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중앙선거관리 위원회 http://www.nec.go.kr
HOME > 커뮤니티 > 정치 게시판
 
작성일 : 19-02-08 13:38
ijkljklmin 님도 답해주시길..
 글쓴이 : 진실과용기
조회 : 316  

김정일 김정은 김일성  조깟튼 족보 핏덩어리들입니다.

박정희는 반민족행위  독재파쇼정권의 수괴 맞죠?
분명히 대답해주시길  바랍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구급센타 19-02-08 13:40
   
즁샤한테는  마오쩌뚱이 효과적
winston 19-02-08 13:41
   
중사 오침 중~
토미 19-02-08 13:50
   
참 지능보면... 이러니 문빠소리 듣지요.
엄마좋아 아빠좋아 딱 지능수준...
     
진실과용기 19-02-08 13:51
   
응, 전원책한테 배운거야..전원책한테가서  거품물어..
ijkljklmin 19-02-08 13:53
   
박정희는 한 때 만주군과 일본군 근무를 했고 남로당에 적을 두었으며 구테타로 집권하여 독재를 행한 인물입니다. 그러나 그의 일생을 종합해서 과보다는 공이 훨씬 많으며 한국의 경제발전의 토대를 닦은 위대한 인물입니다. 아래의 세계의 지도자와 학자들의 평가를 참고하세요. 노무현도 있네.

[노무현 전 대통령, 봉하마을에서 김형아 교수(호주국립대)에게...]
 "외국에 돌아다녀 보니 외국 지도자들이 온통 박정희 얘기뿐이더라"
 - 재임기간 5년동안 23차례 49개국 역대 최다 해외순방 - 
 
[에즈라 보겔, 미 하버드대학교 사회학과 교수(저서: 네마리의 작은용)]
 "박정희가 없었다면 오늘날의 한국도 없다. 박정희는 헌신적이었고, 개인적으로 착복하지 않았으며 열심히 일했다. 그는 국가에 일신을 바친 리더였다."
  - 노무현 대통령과의 만남에서 -
  (보겔 교수는 과거 한국의 군사정권에 대해 매우 비판적인 입장을 취해온 인물이다)
 
[피터 드러커(현대경영학의 아버지)]
 "2차대전 후 인류가 이룩한 성과 중 가장 놀라운 기적은 박정희의 경제발전이다."
 
[엘빈 토플러, 세계최고 미래학자(제3의 물결) 뉴욕대 명예 박사/경제학자]
 "민주화란 산업화가 끝나야 가능한 것이다. 자유라는 것은 그 나라의 수준에 맞게 제한되어야 한다. 이를 가지고 박정희의 독재라고 매도하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 -2001.6.7-
 
[헨리 키신저 미국무장관]
 "민주주의와 경제발전이 동시에 이루어지기란 사실상 어려웠다. 러시아가 이 두가지를 동시에 추구하다가 어떤 결과를 초래했는지 다 알고 있지 않은가. 당시 박정희 대통령의 판단이 옳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오버 홀트(미국 전 카터대통령 수석보좌관)]
 "민주화운동을 억압했으나 역설적으로 민주주의에 필수적인 중산층을 대거 양산, 민주주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브루스 커밍스, 시카고대학교 사학과 석좌교수, 노스웨스턴대/워싱턴대 교수]
 "그는 진정으로 국력을 키웠다. 그는 다른 후진국 지도자와 달리 부패하지도 않았다. 1970년대는 박정희가 중화학공업 정책으로 국가기간 사업을 이뤄냈다. 1980년대도 박정희의 성공이 이어지는 시기였다."
 
 [폴 케네디. 예일대 교수, 옥스퍼드 대학박사]
 "세계 최빈국의 하나였던 한국이 박정희의 새마을 운동을 시작으로 불과 20년 만에 세계적인 무역국가가 되었음을 경이롭게 본다."
 
[앨리스 앰스던 MIT 정치경제학 교수]
 "박정희 역사적 큰 공헌은 그의 뛰어난 지도력하에 한국을 저개발의 농업국가에서 고도로 성장한 공업국가로 변모시킨 것이다"
 
[카터 에거트, 하바드대 교수]
 "박정희는 조국근대화에 확고한 철학과 원대한 비전을 바탕으로 시의적절한 제도적 개혁을 단행했다. 매우 창의적이며 능률적이었다."
 
[린든 존슨, 미 36대 대통령, 37대 부통령, CNN설문 미국 50년간 최고의 부통령]
 "한국의 박정희 같은 지도자는 일찍이 본적이 없다."
 
[영국 수상 제임스 캘러핸]
 "박정희로 인해서 소련의 남한 공산통일의 기틀이 좌절되었다."
 
[아이젠하워 미국 대통령]
 "박정희가 있었기에 한국은 공산권의 마지노선을 지켜낼 수 있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박정희는 성공했고 세계가 놀랐다. 그에 관한 자료를 모두 수집하라."
"박정희 대통령에 관한 책이 있으면 한국어든 다른 언어로 쓰였든 모두 구해달라. 박정희는 나의 롤모델이다."
 
[덩샤오핑(鄧小平 등소평)]
 "아시아 네 마리 용의 경제 발전을 따라붙어야 한다. 특히 박정희를 주목하라."
 
[원자바오 중국 총리]
 "박정희의 경제개발 정책은 중국 경제개발의 훌륭한 모델이었다."
 
[헨리 키신저(전 미 국무장관)]
 "박정희의 판단은 늘 옳았다."
 
[리콴유 싱가폴 총리]
 "아시아에서 위기에 처한 나라를 구한 위대한 세 지도자로 일본의 요시다 시게루와 중국의 덩 샤오핑 그리고 오직 일에만 집중하고 평가는 훗날의 역사에 맡겼던 지도자 한국의 박정희를 꼽고싶다."
 
[아로요(필리핀 전 대통령)]
 "1965년 필리핀 1인당 GNP 270달러일 때 한국은 102달러, 2005년 필리핀 1천30달러였을 때 한국은
1만6천500달러가 됐다. 절대빈곤 국가를 산업화가 완성된 국가로 만든 박정희의 지도력이 부럽다."
 
[인바오윈(중국 베이징대 교수)]
 "박정희식 발전 모델이 한국에선 이미 지나간 역사가 됐을지 몰라도 세계의 많은 개발도상국에겐 여전히 중요한 사례다.
 
[미, RAND 연구소]
 "중국의 덩 샤오핑의 개혁은 박정희 모델 모방이다."
 
[오버홀트, 미 카터 대통령 수석비서관]
 "박정희 근대화 성공으로 중산층 창출이 되고 이것이 한국 민주주의 토대가 되었다. 박정희야 말로 한국 민주주의 발전에 가장 크게 기여하였다."
 
[마하티르 말레이시아 총리]
 "박정희 대통령은 매우 강한 지도자였으며 기업을 일으켜 국부를 증진시킨 훌륭한 지도자이다."
 
 
[카리모프 우즈베키스탄 대통령]
 "한국의 경제발전 모델을 중요시하고 있다. 특히 박정희 전 대통령의 전기를 많이 읽으며 박정희식 발전 모델을 참고로 하고 있다."
 
[허버트 험프리 미국 부통령]
 "박정희는 적어도 한국에서 가장 작으며 가장 위대한 인물이다."
 
[페르베즈 무샤라프 파키스탄 대통령]
 "어렵던 시절, 한국을 이끌어 고도로 공업화된 민주국가로 변화시킨 역사적 역할을 담당한 박정희 전 대통령에대해 깊은 존경심을 가지고 있다."
 
[훈센 캄보디아 총리]
 "한국은 전쟁 후 빈 손으로 일어선 나라고 캄보디아 역시 내전 후 재건을 위해 노력 중이다. 캄보디아 경제 발전을 위해 여러 사례를 연구했는데 한국이 캄보디아와 유사했고, 박정희 전 대통령의 모델을 많이 따르고 있다."
 
[오리하 마사요시 일본 총리]
 "박정희의 업적은 동남아와 전세계 빈곤 국들에게 한가지 대안을 제시할 수 있다."
 
[리콴유 싱가포르 총리]
 "동남아 국가들은 70년대 한국을 거울로 삼아 경제개발을 해야할 것이다."
 
[뉴욕타임지]
 "신화를 만든 한국경제의 건축가."
 
[시사 주간지 타임지]
 "아시아에 가장 위대한 인물 20인"(한국은 박정희가 유일)
 
[북한 공산당 김정일]
 "요즘은 박정희 대통령이 좋게 인식되는 것 같은데, 옛날에는 유신이니 해서 비판이 많았지만 초기 새마을 운동을 한 덕택에 경제 발전의 기초가 되었던 점은 훌륭한 점이다. 나도 영화를 통해 서울을 보았는데, 서울은 일본의 도쿄보다 훌륭한 도시로 조선이 자랑할 만한 세계의 도시이다. 서울에 가면 박정희 전 대톨영 묘소도 참배하고 싶다. 그것이 예의라고 생각한다."
 -1999년 현대 정주영 회장과의 대화중에.-
 
[허만 칸, 미 허드슨 연구소장]
 "당신이야말로 한국의 박정희를 만나야 할 것 같다. 내가 보니 그는 대단한 사람이다.
 만나면 서로 의기투합할 것이다."
 
=> 이 권유로 리콴유 수상은 한국 방문을 수락하게 되었다
 
싱가포르 리콴유(李光耀) 수상은 기개가 높고 자존심 강한 인물이었다. 박 대통령과는 은근한 경쟁의식도 갖고 있었다. 그의 입장에서는 싱가포르가 한국보다 앞선다고 생각하고 있었고, 비교 자체에 거부감을 갖는 듯했다. 우리 외무부가 리콴유 수상을 초청하려 외교 경로를 통해 수차례 시도했지만 번번이 보류되었다.
 
[잔라빈 차츠랄트 몽골총리]
 "박정희 대통령이 많은 몽골의 엘리트들에게 자극과 용기를 주고 있다고 들었는데 많은 몽골인들은 박정희 전 대통령의 리더십과 개발모델에 상당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 나 또한 그렇다. 한국은 박 전 대통령의 지도 아래 국가적 위기를 극복하고 경제개발의 금자탑을 쌓아올렸다. 발전에 있어서 정치적 안정은 필수적 요건이지만 현재 몽골은 강력한 리더십이 부재한 상태다. 특히 몽골 공무원들의 부패 부정은 심각하다. 그렇기 때문에 몽골에는 박정희식 모델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황병태 주중대사]
 "중국 장쩌민 전 주석은 당시 황병태 주중대사에게 새마을 운동과 한국의 경제개발 5년 계획 등 한국의 발전모델을 전수해줄 것을 특별히 요청했고, 작 성장(省長)과 인민대표들에게도 황대사의 특별교육을 받도록 지시했다."
 
"아마도 제가 박정희 전 대통령 시절 경험한 우리나라 경제개발의 노하우를 아주 성심성의껏 중국측에 전수한 것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중국은 한국경제의 성공 배경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장쩌민 주석 등 고위관계자들이 주중대사 시절 저만 보면 장관들 토론회나 전 인민대회에서 한국 경제개발의 노하우를 얘기해 달라고 했습니다."
 
[독일 국정 교과서(고교 상급반 지리 92쪽)]
 "1960년까지도 남한은 성인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79달러로 가나나 수단과 지구상 가장 가난한 나라였다. 그 당시 세계은행 보고서는 버마와 필리핀의 앞날을 장밋빛으로 보았다. 천연자원이 부족하고 에너지원이 없는 남한은 경제적 전망이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남한은 오늘날 세계11대 무역국가며 1996년부터 OECD 회원국이다. (중략) 불리한 자연 공간적 전제에도 불구하고 남한은 경제기적을 이루어 냈다."
 
[독일 국정 교과서(중학교 지리 109쪽)]
 "남한은 세계경제로 통합되었다. 대통령 박정희(1961 - 1979)는 강력한 손으로 남한을 농업국가에서 산업능력을 가진 국가를 형성했다. 수도 서울은 비약적으로 성장했다. "
     
진실과용기 19-02-08 14:07
   
응, 남의말  듣지말고.. ㅋ
     
제낙스 19-02-08 14:19
   
주저리 주저리 개소리를 붙여넣기 했냐 ㅋㅋㅋ
     
구급센타 19-02-08 14:28
   
퍼오는거 말고 본인 생각좀 적으시오
이분들 토론  수준은 초딩인데 퍼오는건
교수 수준    그러니 개털리고 잠수타는거 아니요
     
sangun92 19-02-08 14:37
   
장찌니 (손성원) 왈,
남을 이해할 수 있도록 글을 쓰는 것이 아니라, 괜히 길제, 장황하게 쓰는 종자들은
"사기치려는 종자다."

장찌니가 너더러 사기꾼이라는데?
          
ijkljklmin 19-02-08 14:57
   
내 글은 요만치.
"박정희는 한 때 만주군과 일본군 근무를 했고 남로당에 적을 두었으며 구테타로 집권하여 독재를 행한 인물입니다. 그러나 그의 일생을 종합해서 과보다는 공이 훨씬 많으며 한국의 경제발전의 토대를 닦은 위대한 인물입니다. 아래의 세계의 지도자와 학자들의 평가를 참고하세요. 노무현도 있네.

그리고 전체 글에 대해 반론을 해 주세요. 이간질이나 해서 모면할 생각 말고.
               
sangun92 19-02-08 18:04
   
뭔 이간질?
그냥 장찌니가 니를 평하는 글을 올렸다고 적은 것 뿐인데?

그리고 뭔 반론?
니 글을 읽어야 반론을 하든지 말든지 하지.
니 글이 읽을 만한 가치나 있나?
니 글은 니 닉 네임만 보면 그냥 스킵하는데?
니 글을 읽지도 않은 채, 그냥 반론을 하라고?

니는 니가 읽지도 않은 것에 대해 평을 하나?
하긴 니가 하는 짓거리를 보면, 그러고도 남아 보이기는 하다만.
 
 
Total 218,60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3) 가생이 08-20 259098
공지 정게 운영원칙 Ver.2018.03.27 (1) 객님 12-03 835404
26077 자유 한국당 홍보좀 하겠습니다 nabae 09-07 317
26076 결국 기레기들과 왜구당 븅충이들만 현타오겠네 ㅋㅋㅋ 냐웅이앞발 09-07 317
26075 조국을 옹호하는 사람들을 모르겠다는 사람들에게...디… (23) 문삼이 09-07 317
26074 하나 묻겠다.. (10) Anarchist 09-07 317
26073 단독] 추적중인 근무직원이 사는 곳은? (1) 제냐돔 09-08 317
26072 조국 부인, 동양대 총장에 4일 오전 7차례 통화시도… 3차… (3) OOOO문 09-08 317
26071 기레기 세기들 장제원 기사 안쓰네 쓰레기들 갈마구 09-08 317
26070 의혹이나 기소, 수사만으로 장관 임명을 철회? 헛소리. 꾸물꾸물 09-09 317
26069 검찰 삽질에 혹뿌리 09-09 317
26068 윤석열 vs 조국..둘 중 어느쪽을 더 신뢰하십니까? (12) OOOO문 09-10 317
26067 여긴 진보틀딱들밖에 없네 (16) 솜브라 09-25 317
26066 보수와 진보가 검찰을 대하는 차이점 (5) 랑쮸 09-11 317
26065 혹시 0000이랑 왜개는 같은 사무실? (5) 냐웅이앞발 09-11 317
26064 자유고발당 (2) 칼까마귀 09-11 317
26063 아18..! X 밟었네...0000걸 보다니... (5) 김민주탱 09-11 317
26062 자유당 삭발쑈 동참 ㄷㄷㄷㄷ MementoMori 09-11 317
26061 정치인들의 고소 드립이 어이없는 이유 (4) MementoMori 09-11 317
26060 검색을 기자회견이 아니라 언론플레이로 바뀐게 잘된거 … 독고무린 09-11 317
26059 판레기가 그래도 정신차리네... 강탱구리 09-11 317
26058 에어머시기야 모르겟지 ㅋㅋㅋ (8) 피의숙청 09-12 317
26057 저번대선때 크게 이슈된게 몇가지 있지요?? (7) 어허 09-13 317
26056 위험을 피하고자 할땐 매우 비상식적이거나 필사적이 된… (3) 제냐돔 09-13 317
26055 제발 보수야 가보자 함께 가보자... (1) 피의숙청 09-13 317
26054 정신병자 개벌러지가 간첩티령 ㅋㅋㅋㅋㅋㅋㅋ (6) 냐웅이앞발 09-14 317
26053 공항에서 체포... 대간 09-14 317
 <  7701  7702  7703  7704  7705  7706  7707  7708  7709  7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