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특정 회원에 대한 반말,욕설 글(운영원칙 2,3항) 3회 위반시 접근 차단 조치 됩니다.(원인제공과 관계없이 조치)
하오니, 절대 유념해 주시기 바랍니다.

선거법 위반 및 정치관계법 위반행위 신고는 아래 중앙선거관리 위원회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중앙선거관리 위원회 http://www.nec.go.kr
HOME > 커뮤니티 > 정치 게시판
 
작성일 : 20-04-04 18:27
(하얼빈 특종) 조선족 이민 여사의 증언. 04편..
 글쓴이 : 돌통
조회 : 164  

(하얼빈 특종) 조선족 이민 여사의 증언. 04편..


빨치산 출신 老(노)신사의 풍모


 
 
  敏(이민) 부인과 그 남편인 前(전) 흑룡강성 성장 陳雷(진뢰)가 나를 위해 베풀어준 화려한 저녁 모임은 하얼빈에서 유명한 식도락 궁전 雪酒家(설룡주가)에서 열렸다.


 
  모두들 내가 동북지방에 온 것을 환영해주었다. 지금은 은퇴하여 중국공산당 中央顧問委員會(중앙고문위원회) 위원으로 있는 省長(성장)과는 처음 만나는 자리였다. 몸이 장대하고 친절하기 그지없는 83세의 중국인 紳士(노신사)는 뿔테 안경 너머로 사물을 꿰뚫어보고 있었다.

 

어떻게 이런 분이 젊었을 때 용감한 항일 빨치산이요, 문화혁명 때 홍위병들에게 당한 비극의 주인공이요, 또 흑룡강성에서 가장 인기 있는 省長(성장)이었을까.

도저히 믿기지 않는 風貌(풍모)였다. 비록 연로했지만 분명하고 카랑카랑한 목소리로 조리 있게 환영사를 해주었다.


 
  중국 동북지방 최고의 요리사가 특별히 마련한 산해진미가 끊임없이 서브되는 동안 새 접시가 나올 때마다 乾杯(건배)(간빠이)를 계속했다. 우리들은 알코올 도수 38도짜리 白酒(백주)를 마셨지만 敏(이민) 여사는 중국산 붉은 포도주를 마셨다. 그러나 다른 젊은 손님들에게 지지 않는 省長(성장)의 酒量(주량)에 놀랐다.


 
  省長(성장)과 다른 손님들이 간빠이를 제의할 때마다 나도 다른 사람들처럼 재빨리 잔을 비우고 진짜 友情(우정)을 나누는 분위기에 동참하였다. 나로서는 省長(성장)과 (이)여사의 나에 대한 신뢰만큼 중요한 것이 없다. 그분들이 나를 믿으면 믿는 그 만큼 앞으로 사흘간 가질 인터뷰에서 솔직한 얘기를 끌어낼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人民日報(인민일보)와 영자신문 차이나 데일리에 난 내 기사와 중국 에드거 스노 연구회 명예이사 임명장 카피까지 그분들에게 보여주었다. 省長(성장)이 나를 좋아하는 빛을 보고 나도 그가 좋아졌다. 따뜻한 우정은 서로 오고가게 마련이다. 이번 취재 여행은 십중팔구 성공할 것 같은 육감이 느껴졌다. 못해도 50%는 성공한다는 자신이 들었다.


 
  다음날 아침 하얼빈 도심 省(성) 정부 청사에서 가까운 鞍山路(안산로)에 있는 省長(성장)의 저택을 찾아갔다. 거대한 저택의 정원 담은 漢詩(한시) 구절을 새긴 석판으로 장식되어 주인의 詩(시)와 서예에 대한 조예를 짐작하게 한다. 널찍하게 잘 가꾸어진 정원에는 한가운데 작은 亭子(정자)가 있어서 흡사 天(노천) 미술관 같은 분위기다. 도심 한복판에서 느끼는 자연과 예술의 완벽한 調和(조화)여!


 
  敏(이민) 여사의 한국어가 서툴고, 그 남편은 한국어를 한마디도 모르기 때문에 黨史(당사)연구소 소장 金宇鍾(김우종) 교수와 흑룡강신문사 太福(이태복) 부주임 두 분이 번갈아 가면서 나를 위해 통역을 해주었다.

 

사실 陳(진)성장이야 말로 만주 시베리아 항일 투쟁 운동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경력자이면서, 한국인 항일 빨치산들과 공동 작전도 펴왔고, 그러다가 (이)여사를 만나 사랑에 빠지기도 했으며, 무엇보다도 金日成(김일성) 부자와 각별히 친한 사이인 만큼, 나는 그와 먼저 인터뷰할 필요를 느꼈다. 아니, 내가 첫 질문을 떼기도 전에 陳(진)성장은 자신의 獨白(독백)을 읊어나갔다.
 
 
  조선족 反日(항일)투쟁 보고 中2(중2) 때 혁명 가담
 
 
  『나는 1917년 흑룡강성 佳木斯(가목사)시 서쪽 교외 火龍溝(화룡구)라는 고장에서 태어났습니다. 淸朝(청조) 말엽, 원래 산동성에 살던 증조부는 이 고장에 와서 말을 달려 금을 그어 백ha에 달하는 땅을 차지하여 제법 큰 地主(지주)가 되었지요.

 

말을 달려 땅을 차지하게 한 것은 그 당시 淸朝(청조)의 변방 개발 장려 정책의 하나였습니다. 우리 家門(가문)이 기울어진 것은 가족간의 訟事(송사) 때문이었어요. 종부 한 분이 증조부의 재산분배가 불공정하다고 관청에 고발하자 증조부도 맞고소하여, 아무튼 이 송사가 베이징의 大理院(대리원)까지 올라가면서 몇 년이 걸리는 동안 家産(가산)을 탕진하다시피 했지요.

 

결국 증조부는 땅을 열 몫으로 나누어 나의 조부에게만 부모를 모신다고 하여 20ha를 물려주고 나머지 일곱 아들에게는 11ha 남짓 되는 땅들을 쪼개어 주었답니다. 그때부터 우리 집은 가난해졌지요.


 
  1929년 열두 살 나던 해에 樺川縣(화천현) 중학교에 입학했습니다. 할아버지는 나를 무척 귀여워하셨고 내 장래에 큰 희망을 걸었던 모양입니다. 심지어 점쟁이까지 불러서 내 운명을 점쳤으니까요. 그 점쟁이는 기껏 좋은 소리 한다는 것이 내가 크면 管帶(관대) 벼슬에 오르겠다고 했다나요.

 

지금 대대장 급에 해당하는 당시 군대 계급이지요. 할아버지께서 그 말을 듣고도 몹시 기뻐했다는군요. 지금 생각하면 그 점쟁이 담이 작았던 모양이지요. 흑룡강성 省長(성장)까지 된 사람을 겨우 관대 벼슬이라니. 하하하』


 
 
이제부터 나는 질문을 시작했다.    (답변은 붉은색으로)


 
  ─당신이 아주 어려서부터 항일 투쟁을 시작했다고 들었습니다. 투쟁에 가담하게 된 動機(동기)는 무엇입니까?


 
  『내가 혁명운동에 참가하기 시작한 것은 일본제국주의자들이 이른바 滿洲事變(만주사변)을 일으킨 1931년 9월18일 이후였다고 기억합니다. 중학교 2학년 때였지요. 당시 동북지방에서 제일 먼저 反日(반일)의 기치를 높이 든 것은 조선족들이었습니다. 중국 사람들에게는 큰 충격이었지요. 조선족들은 나라를 잃고 이국 땅에 와서도 국권을 회복하고 나라를 되찾기 위해 저렇게 희생적으로 反日 투쟁을 벌이고 있는데 우리 중국 사람들이 어떻게 가만히 보고만 있을 수 있느냐. 우리도 일어나 日帝(일제)에 반대하여 싸워야 한다. 이런 생각에 나도 反日(항일) 활동에 참가한 것입니다. 거리로 나가 사람들에게 反日(항일) 사상을 선전했습니다.


 
  일본군이 가목사를 점령한 것은 1932년, 그 바람에 우리 학교도 문을 닫았습니다. 그 바람에 집으로 돌아가 1년 넘게 농사를 지었지요. 짧은 경험이었지만 농민들이 얼마나 힘들고 어려운 일을 하는가, 농촌의 깊숙한 面(이면)을 좀 깨닫게 되었지요. 이 귀중한 체험은 나의 진로 선택과 인생관에 상당한 영향을 주었습니다.
 
  만주사변 후 동북지방의 애국 將領(장령) 馬占山(마점산)이 嫩江(눈강) 다리에서 일본군과 전투를 벌여 크게 이겼습니다. 이 소식은 우리들의 항일 분위기를 더욱 고조시켰지요. 우리는 그때 선생님의 지도를 받아서 항일 운동을 선전하는 연극을 만들어 거리에 나가 공연하고 또 義捐(의연금)을 모아 항일 전선의 장병들을 도왔습니다. 뿐만 아니라 시골 농촌까지 내려가서 농민들에게 反日(항일) 애국 사상을 선전했습니다.


 
  1933년 화천중학교 사범반에 들어갔습니다. 학비가 면제되는 사범반을 지원한 것은 가정 형편이 어려웠기 때문이었지요. 1936년 졸업하자마자 나는 가목사 동문소학교 교원으로 취직했습니다』 
 

 

   이상..      05편에서 계속~~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Total 218,60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3) 가생이 08-20 257497
공지 정게 운영원칙 Ver.2018.03.27 (1) 객님 12-03 833724
31552 민주, 동교동계 원로 복귀선언에 "총선 전 허용여지 없어 (3) 너를나를 04-04 348
31551 (하얼빈 특종 인터뷰) 조선족 이민 여사의 증언.03편 돌통 04-04 173
31550 이낙연 "미워하지 않겠다" vs 황교안 "저주한다" (2) 초록바다 04-04 348
31549 (하얼빈 특종) 조선족 이민 여사의 증언. 04편.. 돌통 04-04 165
31548 웃긴거임. 다른 사람의 선택권을 대신 행사하는거 (23) 재앙이온다 04-04 250
31547 (귀한자료) 저우바우종 (주보중)과 김일성 일기.. 돌통 04-04 161
31546 부산에게 랑데뷰한 환상의 듀엣 (2) 초록바다 04-04 383
31545 왜 열린당이 필요한가? 공수처만 봐도 답이 나옴. 라면공장장 04-04 220
31544 김정일의 7가지 미스터리..01편. 돌통 04-04 179
31543 북한의 남침 지원 요청..등소평 거절.대화해야.. 돌통 04-04 228
31542 김일성 관련 역사중.. 잘못 알고 있는 역사들..上 편 돌통 04-04 205
31541 김일성 관련 역사중 잘못 알고 있는 역사들..下 편.. (1) 돌통 04-04 185
31540 비례논란 정리합니다. (5) 너를나를 04-04 380
31539 더시민 비례대표 3번 권인숙 그는 어떤 인물인가? (14) 라면공장장 04-04 506
31538 어제 그랬자나요. 장자니 혼자 처 웃고 있을거라고 (11) 아이유짱 04-04 354
31537 그나저나... 비례로 인해... 채널A에 대한 이슈가... (7) 굳민베자 04-04 489
31536 에휴....진짜 인물없다..... (12) 삼촌왔따 04-04 485
31535 한국, 진단키트 벌써 1조원어치 수출........ (3) 강탱구리 04-04 746
31534 태영호는 이것부터 해명.사과해야..... (1) 강탱구리 04-04 420
31533 더시민 비례2번 김경만 중소기업중앙회 출신, 소득주도 … (4) 라면공장장 04-04 401
31532 부산 북강서갑의 맞대결 전재수 vs 박민식 (2) 초록바다 04-04 428
31531 [여론조사]양평여주-최재관-김선교 동률 기록 (3) 초록바다 04-04 503
31530 선거 참 쉽습니다. (1) 탄드 04-04 351
31529 다음 대선에서 대통령을 배출하는 정당이 바뀔 것인가 ? (2) 그림자13 04-04 475
31528 [판세 분석]영남권, 통합당 60석 목표 vs 민주당 12석 수성 (4) 초록바다 04-04 647
 <  7481  7482  7483  7484  7485  7486  7487  7488  7489  74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