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특정 회원에 대한 반말,욕설 글(운영원칙 2,3항) 3회 위반시 접근 차단 조치 됩니다.(원인제공과 관계없이 조치)
하오니, 절대 유념해 주시기 바랍니다.

선거법 위반 및 정치관계법 위반행위 신고는 아래 중앙선거관리 위원회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중앙선거관리 위원회 http://www.nec.go.kr
HOME > 커뮤니티 > 정치 게시판
 
작성일 : 12-08-28 08:56
무디스에대한 음모론....ㅎㅎㅎ
 글쓴이 : 귀괴괵
조회 : 1,179  

bbbbvvvv.png
 
최근 한국의 신용등급을 올렸다는 피치에대한 한국의 기사. 엉뚱하게도 피치는 서브프라임 시대와 경제위기를 만든 주원인인 파생금융상품을 적극장려했다. 물론 노무현대통령 제임시절 신용등급을 강등한 무디스역시 서브프라임사건이후 청문회에서 주가조작과 횡령으로 비난을 받았다는 사실 그와 더불어 모건스.S and P (스텐다드렌투어스)와 같은 회사들 역시 마찬가지 아이러니컬하게도 미연방준비제도이사회는 신용파생상품의 평가와 관리가 복잡하다는 이유로 규제를 이와 같은 경제평가신용회사에  넘겨버렸다.그런데 FRB이사회장이 바로 핸버랭키라는 사실 신용등급평가는 무디스나피칭과 같은 화사가 맞게 되었고 이후스페인,이탈리아와같은 구제금융위기놓인 국가들의 신용등급을 모조리 강등 시켰다. FTA하면 A플러스 올라가는 것이고 안하면 F로 내려버리면 그만인것 더욱더 웃긴것은 서브프라임 사태로 사라져야 마땅한회사 지만 세계 3대신용평가 회사로 불린다. 덧붙여서 한국에도 진출한 그유명한 보험회사인 AIG보험 역시 미국인들의 세금으로 보너스잔치를 벌였던 월스트리트 악덕자본중하나.
 
-------------------------------------------------------------------------------------------------

무디스 · S&P 신뢰도 추락

트리플 A 등급매긴 CPDO 가치 크게 하락

지난 97~98년, 동아시아ㆍ러시아ㆍ라틴아메리카등 신흥자본시장이 통화위기에 허우적거릴 때 국제신용평가기관인 무디스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저승사자’라는 악명을 떨쳤다. 그들이 지나간 자리에는 반드시 패닉이 생겼다. 그들의 잣대(신용평가)에 따라 특정 국가나 기업, 금융기관이 파산 또는 경영위기의 나락에 떨어졌다.

하지만 이번엔 무디스와 S&P의 신용도가 바닥에 떨어지고 있다. 이는 신용평가사들이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 부실을 계기로 위험성이 높아진 확대된 파생상품의 평가를 올바르게 하지 않았다는 회의론이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블룸버그통신은 14일(현지시간) 뉴욕에 본사를 두고 있는 신용평가기관인 무디스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의 채권 파생상품 신용평가에 대한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월스트리트 저널도 신용평가사들이 서브프라임 부실을 확대하는데 기름을 부었다고 보도했다.

두 신용평가사들은 지난달 미 재무부 채권(TB)에 견줄만한 신용도를 갖춘 회사들의 채권 파생상품에 ‘트리플A (Aaa)’ 등급을 부여했는데, 투자자들이 평가하는 실제 신용도는 이에 미치지 못했다. 문제가 된 상품은 ‘고정비율의무지급 증권’(CPDO : Constant Proportion Debt Obligation)으로, 이는 여러 채권으로 바스킷을 구성, 디폴트(지급불능) 확률에 승률을 걸고 일정 프리미엄을 주는 채권이다. 미국 채권시장이 흔들리면서 CPDO의 현재 가치가 크게 하락하자, 월가 투자자들은 이 채권에 높은 평가를 부여했던 신용평가사들에 대해 불만을 터트렸다.

바스 크라그텐 ING인베스트먼트의 자산유동화증권(ABS) 담당 트레이더는 “신용평가사들의 평가등급이 파생상품들에 대한 신뢰도를 반영해주지 못했다”면서 “내일이면 ‘Aaa’ 등급에서 추락할 CPDO가 독일국채보다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게 말이 되느냐”고 불평했다.

CPDO는 지난해 중반 네덜란드계 은행인 ABN암로가 처음 개발해 내놓은 채권 파생상품으로, 지금까지 리먼브라더스와 HSBC 등을 통해 최소 40억달러어치 이상 판매됐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검증되지 않은 이 상품에 신용평가사들이 ‘Aaa’라는 높은 등급을 매겨 투자자들이 많은 투자를 하게 됐다고 지적했다. 무디스사의 경우 지난 한해 CPDO 등 각종 구조화채권들에 대한 신용평가 수수료로 회사 전체 매출의 43%인 8억8,000만달러라는 거액을 벌어들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신용평가회사들은 CPDO에 높은 등급을 매긴 이유가 바스킷에 들어 있는 채권 대부분이 우량채이고, 주기적으로 디폴트된 채권은 제거된다는 점 등을 꼽고 있다. 뉴욕 채권시장의 한 관계자는 “액면가 1달러짜리 CPDO의 현재 가치가 달러당 70센트 수준으로 떨어졌다”며 “헤지펀드처럼 상당한 돈을 차입해 덩치를 키우고 일반 채권처럼 100% 원금 보장이 없는 파생상품은 당연히 높은 수익 가능성만큼 리스크가 높다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
 
지난 25일 국제신용평가기관인 무디스가 2002년 3월 이후 5년 만에 한국의 국가 신용등급을 A3에서 A2로 한 단계 높였다고 발표했다. 이번 조치는 지난 3일 한국의 신용등급 조정 절차에 들어간지 불과 20여 일만에 전격적으로 이루어졌다.(90일 이내에 등급조정을 하는 것이 원칙이고 통상 2~3개월 걸린다) 모든 언론과 미디어에서 우리 경제상황이 호전되고 있는 증거라며 대서특필했고 한때 주춤했던 주가도 장 마감기준 2004포인트라는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정부도 앞장서 무디스의 발표에 큰 의미를 부여하며 홍보에 열을 올리고 있다. 재정경제부는 무디스의 상향조정이 “지난 4년간 참여정부의 안정적 거시경제 운영과 경제 시스템 업그레이드 등에 대한 국제 투자자의 신뢰 제고를 반영”하고 있다며 참여정부 경제정책의 성공과 적극적으로 연계시키고 있다.

물론 A2 등급은 최고 등급에 비하면 아직 6단계나 낮은 수준이고 외환위기 이전의 A1 등급보다도 한 단계 낮은 등급이다. 중국, 헝가리, 이스라엘과 같은 등급이며 싱가포르(Aaa), 홍콩(Aa3), 대만(Aa3)보다는 낮은 수준이다.
또한 이미 2005년에 다른 두 주요 신용평가기관인 S&P(스탠다드앤푸어스)와 피치는 각각 2005년 7월과 10월에 상향조정을 한 바 있고, 경기가 호전되고 있다는 점은 이미 시장에서 알려진 사실이므로 다만 보수적인 무디스가 드디어 신용등급을 올렸다는 상징적인 의미 외에는 별다른 긍정적 효과는 없을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1. 무디스의 신용등급 상향조정 이유가 한미FTA

우선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은 무디스가 왜 지금 시점에서 한국의 국가 신용등급을 상향 조정했는가 하는 점이다. 재정경제부가 발표한 등급상향 조정 이유는 ①무역, 금융, 자본시장 자유화 등에 따른 성장 잠재력 확충 및 거시경제의 안정적 운영 ②국가재정의 안정성 관리 ③6자회담 2.13 합의 이행 등에 따른 북한관련 불확실성의 감소 등이었다.
주요한 요인은 두 가지 정도라고 할 수 있다. 하나는 다른 신용평가 기관에 비해 지정학적 리스크나 정치적 변수를 중시하는 무디스가 북핵위기 해결 조짐이 보이자 지정학적 위험도가 감소했다고 평가한 점이다. 그러나 이는 시장 플레이어들도 다 알고 있는 얘기로서 무디스가 평가하지 않아도 이미 자본시장에 반영되었다.

그럼에도 굳이 의미를 찾자면 미국 금융자본의 이해를 대변하는 무디스의 이러한 평가는 곧 미국내에서 북미관계를 긍정적으로 전망하고 있는 흐름이 대세를 이루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시켜준다는 정도일 것이다.(지난해 10월 북한의 핵실험 직후에도 무디스는 한국의 신용도를 낮추지 않았다. 이를 증명하듯 핵실험은 파국이 아닌 대화의 국면으로 접어드는 길목이 되었다)

또 다른 이유는 역설적이게도 ‘무역, 금융, 자본시장 자유화’라고 표현했던 한미FTA 협상의 타결이다. 지난 4월 무디스 토마스 번 부사장은 “한미 FTA는 한국의 국가신용도 관련 펀더맨탈을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무디스의 신용전망이 한미FTA 타결로 인해 긍정적으로 바뀌고 있다고 주장한 바 있다.(코리아헤럴드 2007.4.6) 최희남 재정경제부 국제금융과장 역시 “최근 북핵관련 지정학적 리스크 완화, 한미FTA 체결 등 신용평가상의 긍정요인을 반영”한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무디스에게 한미FTA 체결은 한국의 신용등급을 상향조정해야 할 명백한 이유가 되고 있으며, 이는 곧 무디스가 미국 금융자본의 이해를 반영하고 있다는 확실한 징표이기도 하다.

2. 무디스는 어떤 기관인가?

그렇다면 한나라 경제의 명운을 좌우한다고 하는, 그래서 무디스 신용등급 평가 한마디에 나라 전체가 일희일비 할 정도의 막강한 힘을 행사하는 무디스는 어떤 조직인가?

무디스(Moody’s Investors Service, 미국), 미국 주식시장에서 SP500 지수를 발표하기도 하는 S&P(Standard & Poor’s, 미국), 그리고 1997년 영국 IBCA와 미국 피치인베스터가 합병된 Fitch IBCA는 세계 신용평가 시장을 거의 독점하고 있는 3대 신용평가 기관이다.
이들은 전 세계에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각 나라의 국가신용등급이나 채권신용도를 평가할 뿐 아니라 주요 기업과 금융기관의 신용도를 평가하면서 영향력을 행사한다. 무디스는 우리나라 3대 신용평가회사(한국신용정보, 한국기업평가, 한국신용평가)의 하나인 한국신용평가의 지분을 50퍼센트 소유한 대주주이기도 하다.

세계 3대 신용평가 회사들이 지금과 같은 막강한 위치에 오르게 된 것은 30여 년 전인 1975년 미국증권거래소(SEC)가 무디스와 S&P, 피치 등 3개 회사를 미국 증권거래소에 증권발행을 신고하기 위한 공식 신용평가 업체로 지정하면서부터다. 즉 ‘국가공인 통계평가기관(NRSRO)’ 시스템을 도입하고 부터다. 2006년 현재 국가공인 통계평가기관으로 지정된 회사는 3대 신용평가 회사와 캐나다의 도미니언 본드 레이팅서비스(DBRS), 그리고 AM베스트 등 5곳 뿐이다.

‘국가공인 통계평가기관(NRSRO)’ 시스템 도입 취지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기업이나 금융기관에 대한 이들이 신용평가를 실시하는 기본적인 목적은 미국증시에 상장한 업체에 대해 투자자가 투자 안전성을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는 데 있다. 때문에 각 평가회사마다 평가의 세부등급은 다르지만 ‘투자적격’ 또는 ‘투자부적격(투기등급)’을 기본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신자유주의가 도입되고 자본과 금융의 세계화가 진행되면서 이들은 미국 증시에 상장하는 회사뿐 아니라 전 세계의 주요 기업들과 심지어 국가들의 채권등급, 국가 자체의 신용등급을 평가하여 미국 금융자본의 투자활동을 지원해왔다. 30여 년 동안 미국의 공인 아래 확고한 독과점체제를 누리면서 한 나라 경제의 명운까지도 쥐고 흔들 수 있는 입지를 세워온 것이다.

그러다 보니 이들 신용평가기관이 국가신용등급을 낮추기라도 하면, 미국을 중심으로 한 자본 투자자들이 투자를 하지 않거나, 심지어 외국 채권자들이 신용 하락을 이유로 더 높은 금리를 요구하기도 한다. 또한 이들이 정한 신용등급은 해외 수출이나 무역거래시 고객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한 예로 국가신용등급이 한 단계만 올라가도 해외에서 빌린 차입금리가 0.35퍼센트 떨어져 상당한 차입비용 절감효과가 있다는 분석도 있다. 지금 이들 빅3의 신용 등급에 따라 움직이는 자금이 전 세계 국채 자금시장의 약 40퍼센트인 20조 달러에 이른다고도 한다.

한국정부도 외환위기가 터지자 무디스가 신용등급을 한 번에 무려 6단계나 내리는 바람에 큰 어려움에 처했던 뼈아픈 경험을 한 뒤, 신용평가 등급을 올리기 위해 엄청난 에너지를 쏟으며 범정부적인 로비를 해야했고 지금도 그러는 중이다. 2002년 초 정부에서 당시 Baa2였던 신용등급을 A로 올리기 위해 각계 전문가들로 ‘국가신용평가대책 협의회’를 구성하는 등 마치 시험성적이라도 올리려는 듯한 우스운 상황을 연출했던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3. 참여정부 친미노선 전환의 일등공신은 무디스?

취임직전까지도 미국에 대해 “당당하게 대응”하겠다던 노무현 대통령의 대미관이 취임 후 한 달도 지나기 전에 순식간에 역전되었던 배경에도 무디스의 ‘신용평가 강등’ 협박이 있었던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노무현 대통령 취임 직전인 2003년 2월 11일 무디스의 토머스 번 부사장은 재정경제부에 “북한 핵사태 진전을 반영해 한국의 국가신용등급(당시 A3) 전망을 ‘긍정적’에서 ‘부정적’으로 내리기로 결정했다”고 통보해왔다.(한겨례21, 2003.3.14) 무디스 평가단이 그해 1월 한국을 방문했을 때 4월까지 현재 등급을 유지한다고 밝힌 것을 감안하면 당시 신정부 출범을 앞둔 참여정부에게 큰 충격으로 받아들여졌을 것이 분명하다.

노무현 대통령은 서둘러 2003년 3월 9일 당시 재경부국장, 국방부정책실장 그리고 반기문 청와대 외교안보보좌관을 미국의 무디스 본사에 급파해 “제발 한국의 신용등급을 떨어뜨리지 말아달라. 노무현 대통령의 대미정책은 앞으로 확연한 변화를 보일 것이다. 노 대통령의 방미 때까지 두 달만 시간을 달라”고 사정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어 참여정부는 이라크전 지지의사를 밝히는 한편, 이를 대가로 북핵문제에 대한 평화적 해결원칙을 확인받았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곧바로 파병동의안을 가결시켰다.

그리고 2003년 5월 12일 처음으로 미국을 방문했을 때 존 루더펄드 무디스 사장 등과의 간담회에서 “개방, 규제완화, 민영화, 노동시장의 유연성 제고 등을 병행 추진해 나가겠다”며 4대 경제운용원칙을 제시하기도 했다. 막 출범한 참여정부가 전형적인 신자유주의적 경제정책 기조를 자신의 경제운용 원칙으로 삼겠노라고 월가 앞에 약속한 것이다.

다음 해인 2004년 추가파병에 대한 정당성 논란이 일던 와중에 청와대는 당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보고서 <한미관계가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2004)을 인용하여 이라크 파병과 북핵문제를 다시 연계시킨다. 그러나 그 배경에는 미국의 파병 요구를 들어주지 않을 경우 미국이 무디스 등을 앞세워 신용등급에 영향을 줄지 모른다는 강한 암시가 깔려 있었다.
보고서는 “한미동맹 관계에 대한 심각한 의문이 제기될 수 있는 요인이 발생할 경우 우리나라 국가 신용등급의 하락과 함께 외국자본의 증시이탈 및 이에 따른 주가하락, 우리나라 발행채권의 리스크 프리미엄 상승, 해외 단기차입의 연장 애로 등 금융, 외환시장이 크게 불안해질 수 있고 이 경우 가계와 기업의 소비 투자심리가 위축되어 외국인 직접투자 유입도 축소 내지는 중단됨으로써 실물경제에 큰 파급효과를 갖게 될 것”이라는 주장이 담겨있었다.
이는 참여정부의 대미정책 변화와 이라크 파병에 무디스가 무시할 수 없는 영향을 주었다는 증거다.

4. 미국에서조차 권위를 의심받고 있는 무디스

참여정부가 출범 초부터 지금까지 일개 민간 신용평가회사의 말 한마디에 쩔쩔매고 있는 동안 미국 내에서는 무디스를 포함한 3대 평가기관의 공정성과 신뢰성에 대한 의문이 지속적으로 증폭되어왔다. 엔론과 월드컴의 파산이 그 분기점이 되었다.

2001년 세계 최대 에너지 기업 엔론이 회계부정으로 418억 달러라는 엄청난 규모의 파산에 이르기 불과 나흘 전까지도 무디스는 엔론에 대해 ‘투자적격등급’을 부여했다.
또한 다음해인 2002년 다시 한 번 최대의 회계부정을 저지른 뒤 파산한 월드컴 역시 고속 성장 과정에서 이들 신용평가기관의 덕을 톡톡히 보았으며 파산 42일 전까지도 ‘투자적격’ 평가를 받았다. 결국 이를 믿고 돈을 맡긴 투자자들만 수십억 달러에 달하는 손해를 떠안아야 했다. 오히려 ‘국가공인 통계평가기관’ 공인을 받지 못한 소규모 신용평가 회사들이 발 빠르게 이들 기업의 재무위기를 알아채고 신용등급을 하향 조정하는 등 투자자들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 각광을 받기도 했다.
2003년에는 세계적인 낙농업체인 이탈리아 기업 파르말라트의 파산시에도 무디스와 피치는 내부평가를 실시해 놓고서도 이를 공개하지 않아 신뢰도에 심각한 타격을 받았다.

이런 상황은 지금도 이어지고 있다. 최근 미국에서 번지고 있는 ‘서브프라임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 위기와 관련하여 3대 평가기관들이 이들과 연동된 채권에 대해 투자위험을 제대로 알려주지 못했다는 이유로 현재 미국 오하이오주 검찰의 조사를 받고 있다.(문화일보 2007.7.10) 미국은 2006년부터 현재까지 최소 50여 개의 서브프라임 대출업체가 부실대출로 문을 닫거나 파산을 앞두고 있는데, 오하이오주 검찰총장은 “(3대 신용평가기관들이) 대출업체들이 부적합한 고객에게 신규 대출을 실시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신용등급을 부여해 주고 업체들의 잘못된 관행을 지속하도록 만들었다”고 주장한다.

이런 일련의 사건을 계기로 3대 평가기관의 신뢰성과 공정성에 대한 문제제기가 확대되어 왔으며 이들을 규제 감독하려는 움직임도 가시화되고 있다.

5. 무디스는 과연 객관적이며 공정한가?

국제금융시장에서 무소불위의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이들 신용평가기관의 평가는 정말 공정한가, 또한 이들의 영향력과 권한에 상응하는 감독을 받거나 책임을 지고 있기는 한가.“이들 신용평가회사의 신용은 누가 평가하는가?”

이들은 국제협약에 의해 만들어진 세계 표준조직이 아니다. 다만 투자자문과 신용평가를 하는 미국의 민간 기업일 뿐이다. 평가방식과 기준도 그들이 임의로 정한 것일 뿐 아니라 평가과정조차 공개하지 않는다. 우선 이들의 평가 공정성에 대한 몇 가지 원천적인 문제점을 지적해 보자.

첫째, 이들 평가회사는 제 3자적인 평가 의견그룹이 아니라 명백한 기업이다. 이들 신용회사 수입의 상당부분은 자신들이 평가하는 회사로부터 나오고 있는데, 자신들의 주 수입원인 고객사를 유지하고 확장할 필요성과 평가의 객관성 사이에는 상호 충돌하는 이해관계가 존재할 수밖에 없다. 그리고 이들이 수익을 추구하려는 한 객관적 평가에는 금이 가게 마련이다.

최근 파이낸셜타임즈가 무디스 등 신용평가 회사들이 단순히 3자적 입장에서 기업이나 국가의 신용정도에 대한 의사를 표시하는 수준을 넘어 “투자은행들의 금융상품을 구성하는 데 적극적인 역할”을 하며 “구조화 증권 발행에 협력하고 수입을 챙기는” 경우가 늘고 있다고 지적하는 것도 이런 맥락이다.(파이낸셜타임즈 2007.5월.11)

둘째, 이들은 내부 평가과정을 공개하지 않으며 평가시스템에 주관적인 평가나 평가 조작, 압력이 끼어들 소지가 다분하다. 신용평가회사 안에 평가위원회가 구성되어 있긴 하지만 대개는 수석분석가의 의견이 80퍼센트 정도 관철된다. 이때 수석분석가의 개인적 이해관계가 평가에 반영될 개연성이 상존하며 심지어 신용발표 불과 수분 혹은 수초 만에 심층 분석도 없이 급조된 평가를 내리는 사례도 있다.(워싱턴 포스트 2004.11.22)

셋째, 조직적으로 신용평가 회사들은 그들이 평가하는 기업들과 연계되어 있을 뿐 아니라 미국정부와의 커넥션도 존재할 수 있다.
가령 무디스의 경우 이사진 대부분이 그들이 신용을 평가하고 있는 고객 기업의 임원을 겸하고 있는데 헨리 매키넬 무디스 이사의 경우 2005년 현재 신용등급이 최상위 Aaa등급인 화이자와 엑슨모빌의 회장과 이사로 재직하고 있다. 또한 1990년대 미국 신경제를 이끌었던 루빈 전 재무장관도 2001년 11월 엔론이 파산하기 직전에 피터 피셔 당시 재무차관과 무디스를 상대로 엔론의 신용등급 조정을 늦춰달라는 로비를 했다는 의혹을 받았다.
또한 미국 국무성, 재무성, 백안관 등의 고위 관료들은 월가 및 미국 내 외교, 안보, 경제 전문가들과 직간접적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무디스와 같은 미국 신용평가기관이 개별국가의 정치, 경제, 안보상황에 대해 평가를 하는 과정에서 미국무성이나 재무성, 백악관과의 교감을 통해 영향을 받게 되는 것이다.

바로 이런 이유들 때문에 “이들의 평가에 따라 한 회사가 수백만 달러의 손해나 이익을 보고 있고 주식과 채권시장이 충격을 받기도 하며 국제 투자흐름이 바뀌는 현실에서 이들이 사실상 외부로부터 아무런 감시 감독도 받지 않고 있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는 지적이 미국 안에서 꾸준히 제기되어 왔던 것이다.
결국, 엔론과 월드컴 사태를 계기로 신용평가회사들의 독과점과 공정성 문제를 해결하고 이들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기 위해 미국 정가에서도 수차례 청문회를 개최하는 등의 눈에 보이는 노력을 하지 않을 수 없었다. 2002년에는 시바네드-옥슬리법을 제정하여 SEC가 신용평가사에 대한 업무감독 보고를 정규화했고, 2006년 9월에는 ‘신용평가기관 과점 완화법안’을 통과시키기도 했다. 이 법안의 요지는 미국증권거래위원회(SEC)가 소수 특정 회사에만 배타적으로 부여하는 ‘국가공인 통계평가기관(NRSRO)’ 시스템을 폐지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자본이 끊임없이 국경을 넘나드는 시대, 필요하지만 공정성이 절대 전제되어야 하는 국제신용평가기관들의 무소불위 지위에 대한 통제와 감시체제 마련을 위해 국제간 공조가 필요할 때”라는 지적은 전적으로 타당한 것이다.(한국경제 2005.9.27)
6. 무디스는 미국금융자본, 월가의 눈으로 세계를 볼 뿐이다

미국 정부로부터 권위를 부여받아 세계 각국의 신용등급을 평가하고 그 결과에 따라 해당국가 경제가 흔들리게 하는 무디스와 신용평가 기관들, 그들은 냉정히 보면 일개 민간 회사일 뿐이다. 그것도 미국 회사일 뿐이다. 이들이 일차적으로 자신들의 고객과 미국의 금융자본 그리고 미국정부의 이해관계를 우선하는 것은 너무도 당연하다. 이들이 신자유주의 금융 세계화 흐름을 타고 세계 금융과 경제에 막강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해도 그 목적이 미국 금융자본의 이익 실현에 있다는 사실은 조금도 바뀌지 않는다.

더욱이 이들이 평가 등급을 올렸다면 그것은 해당 국가 국민경제의 질적 개선이 일어났기 때문이라기보다 미국 금융자본이 투자할 환경이 개선되었기 때문이다. 이번 무디스 신용등급 상향조정의 주요 이유가 한미FTA 체결인 것은 이를 압축적으로 입증한다. 현재 한국경제의 어려움은 주지하다시피 미국 금융자본을 위한 투자여건이 미비해서가 아니라 이들 금융자본이 단기수익을 좇아 무제한적인 권리를 누리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명백한 상황을 도외시 한 채 그저 신용등급 상향조정에 감사하고 환호하는 것이 국내 언론매체의 현실이다. 나아가 참여정부의 경제정책 담당자들도 그 동안 국민의 비위를 맞추기보다 월가의 비위를 맞추기 위해 에너지를 쏟아왔다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그나마 25일자 연합뉴스가 시론을 통해 “수출 호조 속에 증시 활황까지 겹쳐 성장률을 밀어올리고 기업과 은행, 증권사들은 호황을 누리는지 몰라도 대다수 국민들에게는 딴세상 이야기”라며 이번 무디스의 상향조정이 “어떻게든 국가 신용등급을 올리려고 당국자들이 애면글면하며 매달린 결과물 아니냐”고 지적하고 있는 것이 전부다.

국가 신용등급 향상에 대한 환호에 앞서 미국의 금융지배력에 휘둘려 온 신흥국들 사이에 “왜 3개 평가기관은 모두 미국회사인가”라는 불만이 증폭되고 있다는 사실을 한번쯤되새겨야 한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호감만땅 12-08-28 09:57
   
무디스 아닌 다른기관이면 인정? 그럼 좀더 봅시다 또 다른기관 음모론 들고 올거면 두고볼 필요도 없고
     
귀괴괵 12-08-28 10:07
   
글읽어보시면 3대 신용평가기관 다까고있고 한국 신용평가기관도 50%지분을 그들이 가지고 있다고 되어있네요. 거기다 3대신용평가기관이 모두 미국인걸 세계에서도 불만이라고.....
더구나 이익을 창출하는 사기업.... 평가 자료공개에대한 투명성도 문제를 두고있네요.
도덕성에도 문제를 두고있고...

다읽어보시고 말씀좀,......;;; 8줄 첫글만봐도 3개 다까고 있는데...제목만보고와서 그러시는듯..;;;
수박 겉만 핧아보고 참 맛없는 과일이라 하실분....;;;
          
호감만땅 12-08-28 10:49
   
넘쳐나는 음모론에 너무 많은 노출이 있었네요...그런데 솔직하게 읽어보기가 싫습니다..가만 생각해봐요 이정권들어서 님이 비틀어서 보지않은일이 머있나....아마 거의 없을걸요?하나부터 열까지...그건 이정권이 잘못해서 그런것일수도 있지만 이정권이 그냥 주는거없이 싫어서 그런것이 더 클겁니다...
               
귀괴괵 12-08-28 11:09
   
전 야당편은 아니에요....단지 현정권이 마음에들지 않아서 깔뿐이고.....

또 이번정권(한당)의 장기집권이 아닌 물갈이가 필요하다 생각합니다.

그래서 그나마 상대할수있는 야당편을 들어주는거죠.

고인물은 썩으니까요.....

야당에는 인물이 없다고 생각해요. 하지만 지금정권의 장기집권보단 훨씬 좋은 영향을 줄거라 생각하고 있죠. 더구나 박근혜는 처음에는 지지했었는데 갈수록 실망스러워서......
박근혜도 솔찍히 대통령 인물은 아닌듯 생각합니다. 그저 인기에 의해서 보수대표로 나온 느낌?

전원책처럼 개념보수라면야 200000000000000000번 지지하죠!물론 정치인은 아니지만...

그리고 이내용의 목적은 솔찍히 한미FTA와 신용도 관계를 말하고 싶었어요.
하지만 알아두면 좋은 정보도 있답니다....;;

참. 보수를 깐다고 좌빨로 몰지 않았으면합니다.(편가르기)

당연히 야당보단 집권당에 불만을 더 갖는게 당연한거니까요.

모든결정이 집권당에서 대부분 나오고 거기에대한 입장차가 당연히 발생하는거니까요.
MB랑은 의견차가 참 많이 나네요.
대략난감 12-08-28 10:36
   
뻔한걸 가지고 음모론이라니...새삼스러운것 하나도 없네요.
우리가 모르는 국가간 외압과 다툼 그리고 경쟁은 장난아닐터...
     
귀괴괵 12-08-28 10:40
   
3대 신용평가기관이 모두 미국 것이고 배경에 문제가 있었던일은 뻔한일이 아닐텐데요....;;;
그대로카레 12-08-28 11:23
   
잘한건 잘한거라고 왜말을 못하노? 떨어졌으면 미친듯이 까셨을꺼면서. 좀 인정할껀 인정합시다 같지도않은 음모론 퍼뜨리지마시구요.
     
귀괴괵 12-08-28 11:31
   
음모론은 심증은 있는데 물증이 없는거죠....

모든 음모론이 틀렸다고 할수 없기에 참고 하시면 됩니다.
판단은 각자가 할뿐이고.

그저 추측이 아닌 사실을 바탕으로 말하고 있기에 신뢰성도 낮은편은 아니라 생각됩니다.
          
그대로카레 12-08-28 12:17
   
그놈의 심증 심증 ㅎㅎㅎ 물증 없는 심증은 거짓이나 다를바 없죠
          
그대로카레 12-08-28 12:19
   
물증이 없이 심증만으로 주장하시는 것자체가 신빙성 없는 음모론이라는 겁니다.
               
귀괴괵 12-08-28 12:47
   
물론 재판에서도 심증만있고 물증이 없다면....무죄를선거하겠죠.

MC몽사건. 디도스. BBK. 부산저축은행, 선거함문제 등....

이런사건부터.....

미국이 국익에 의해 신용평가가 영향을 받고있고 거기에 한미FTA가 포함된다.라는 물증이 필요한데 찾는 일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죠.  그래서 많은 국가들이 미국 국익에 의해 신용평가가 이루어지는거 아니냐는 불만을 토로하고 의문점을 제시하는거죠.(의문점들은 본문에 나옴)

ex)'두 신용평가사들은 지난달 미 재무부 채권(TB)에 견줄만한 신용도를 갖춘 회사들의 채권 파생상품에 ‘트리플A (Aaa)’ 등급을 부여했는데, 투자자들이 평가하는 실제 신용도는 이에 미치지 못했다. 문제가 된 상품은 ‘고정비율의무지급 증권’(CPDO : Constant Proportion Debt Obligation)으로, 이는 여러 채권으로 바스킷을 구성, 디폴트(지급불능) 확률에 승률을 걸고 일정 프리미엄을 주는 채권이다. 미국 채권시장이 흔들리면서 CPDO의 현재 가치가 크게 하락하자, 월가 투자자들은 이 채권에 높은 평가를 부여했던 신용평가사들에 대해 불만을 터트렸다'
'2005년 현재 신용등급이 최상위 Aaa등급인 화이자와 엑슨모빌의 회장과 이사로 재직하고 있다'

이런것 또한 그저 의혹에 불과하죠.
열쇠는 평가기관 본인들이 쥐고 있으니...

그래서 저도 최대한 심증이 아닌 사실을 근거로 무디스의 문제점을 집고 있고 거기에 한미FTA영향이 있었다는 것을 말하고 있습니다.
                    
그대로카레 12-08-28 14:18
   
유일한 물증은 그겁니다. 우리나라의 신용등급이 올라갔고 그 등급은 일본과 같다는 거지요. 굳이 더러운 음모를 파헤칠 필요 없는 진실입니다. 
설사 그 신용등급이 미국에 의해 좌우 된다 칩시다. 미국이 자국이익에 부합되는 3세계 국가에 그정도의 신용등급을 준 일은 없었습니다. 다시말하자면 미국 이익이라는 변수도 결국 대상 국가의 국력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죠
                    
그대로카레 12-08-28 14:23
   
게다가 신흥국가들이 왜 미국 금융권의 평가를 받아야 하느냐구요? 지금 세계 최대의 금융 자본 국가가 어딘지 알고서 저런소리를 하는건지 의문이군요 ㅎㅎ 그럼 중국 금융권의 평가를 받아야 한다는 소립니까? 미국이 주축인 달러화의 세계에서 당연히 미국의 평가를 받아야지 어느 나라의 신용평가를 따라야한다는 겁니까; 그냥 생각없는 반미적인 음모론으로 밖에 안보이네요
          
그대로카레 12-08-28 12:22
   
그런식으로 심증만으로 음모론 펼치면 세상 모든 것에 음모가 있는겁니다. 저도 심증만으론 이명박이 모든걸 조종하는 전지전능 갓카라고 주장해보죠
안대여 12-08-28 12:03
   
뭐 .. 진보진영측이 항상 그렇지만, 이번 정권에 안좋게 평하면, 신뢰할만한 절대적인 거고,, 좋게 작용되면

 음모론 의심스러운거다라고.. 평가하는거 하루이틀 보는 것도 아니고..

 무디스가 이번에 신용등급 내렸다면 좋다고 난리 났을듯 ㅋㄴㅋㅋ
     
귀괴괵 12-08-28 12:16
   
그거야 어짜피 개념없는 진보나 보수 사람들 똑같이 하는 짖이죠....

똥 묻은 개가 겨 묻은 개 나무라는 말에 불과하네요....

지적하면 너도 똑같으니까 나도 괜찮음.... 이런논리가 진리죠.....
          
안대여 12-08-28 12:22
   
그렇게 되면.. 님은 똥묻은 개가 되는거군요.

 점때 님이 한국 언론자유지수라는걸 당당히 올리셨던걸로 기억하는데..

 그 조사 또한, 한국 언론인들의 여론조사등 때문에 신뢰성의 의문이 있는 조사임이 틀림 없는데.. 그걸 진리적 조사로 올렸더군요.
 그렇게 따지면 이명박때 사상최대치로 오른 민주화지수는 어떻게 하실라고 ? ㅋㅋㅋ

 뭐.. 님 예전글 보기만 해도,  이런 조사에 대한게 나오는데.. 그럼 님은 똥묻은 개고

 개념없는 진보다라는걸로 퉁치죠. 님 글 대로니까요.  설마 난 내 글에서 적은 똥묻은 개가 아니고, 개념없는 진보가 아니다라고 생각하시는건 아니죠 ?
               
귀괴괵 12-08-28 13:01
   
아마 저는 맹목적(아무런 이유나 증거없는) 진보를 옹호하면서 보수를 깐경우가 없다고 생각하는데....

혹 있다면 인정해야겠지만요.

민주화 순위상승과 반대로 언론의 자유는 역행했죠.
http://www.gasengi.com/main/board.php?bo_table=politics_bbs&wr_id=96353&sca=&sfl=wr_name%2C1&stx=%EA%B7%80%EA%B4%B4%EA%B4%B5&sop=and
민주화에 대한내용
http://blog.naver.com/bcm0104?Redirect=Log&logNo=50101822261

정부기능 정치문화부분이 가장부족했고
좋은평가도 있지만 여전히 정치에 대해서는 부정적
진정한 민주주의를 이루려면 갈길이 멀다.무었보다도 지저분한 당파싸움이나 부정부패연고의를 종식시킬 수 있는 새로운 정치문화를 만들어야한다.
한나라당이 2011년 예산안을 졸속으로 강행처리한 것은 정치적 후진성을 보여준 사례다. 한나라당은 물론 야당의원들이 논란이 되는법안을 놓고 폭력을 일삼는 것은 수치스런 일이다.대화와 타협을 통한 정치가 없으면 의회 민주주의는 하나의 공염불에 지나지 않는다.
라는 비판도 있네요.

민주화는 국민이 만들어가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밀프리먼 12-08-28 12:34
   
음모론을 소개하는 당신의 의도가 다소 의심스러우나.

순수한의 소개글이라 생각하고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근데 음모론의 근거는 못되고  그냥 무디스를 바라고는 한쪽시선일뿐

논의할 가치는 없는글.
     
귀괴괵 12-08-28 12:57
   
한쪽시선들이 모여 다향햔 시선들이 만들어지게 되는거죠.

한쪽시선이라고해서 무조건 잘못되었다 말하기보단 나와다른시선에대해 재평가해볼수 있는거죠.

무조건 아니다 라고 하는건 편견이니까요.

음모론으로 볼수있지만 아직 확실히 증명되지 사건일 가능성도 있으니까요.


'이들이 사실상 외부로부터 아무런 감시 감독도 받지 않고 있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는 지적이 미국 안에서 꾸준히 제기되어 왔던 것이다. '

'자본이 끊임없이 국경을 넘나드는 시대, 필요하지만 공정성이 절대 전제되어야 하는 국제신용평가기관들의 무소불위 지위에 대한 통제와 감시체제 마련을 위해 국제간 공조가 필요할 때”라는 지적은 전적으로 타당한 것이다.'

'미국 정부로부터 권위를 부여받아 세계 각국의 신용등급을 평가하고 그 결과에 따라 해당국가 경제가 흔들리게 하는 무디스와 신용평가 기관들, 그들은 냉정히 보면 일개 민간 회사일 뿐이다. 그것도 미국 회사일 뿐이다. 이들이 일차적으로 자신들의 고객과 미국의 금융자본 그리고 미국정부의 이해관계를 우선하는 것은 너무도 당연하다. 이들이 신자유주의 금융 세계화 흐름을 타고 세계 금융과 경제에 막강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해도 그 목적이 미국 금융자본의 이익 실현에 있다는 사실은 조금도 바뀌지 않는다. '

확신할수 없는 부분이 많기에 의혹이 있는 것입니다.
          
밀프리먼 12-08-28 13:12
   
헐 . . . 기가 차는 군요.

지금 당신은 의혹과 의심을 개인적 수준에서 멈추지 않고 이런 커뮤니티에서 공론화시켜 증폭시키고 또한 그 목적이 상대는 깍아내리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음에도

그게 이러한 증폭작업이 정당한거라고 억지를 부리는 건요?????

상대를 비난하는걸 목적으로 한다면 그걸 제기하는 사람또한 무거운 책임을 가지고 근거를 내세워야지. -__-

꼴랑 음모론 내세우면서

난 정당한 의심이다. !!! 하고 주장하다니. ㅋㅋㅋㅋㅋㅋ


제가 여기서 님향해 음모론을 내세우며 ' 넌 빨갱이다 ' 라고 말하면 님은 어떤 기분일까요?

부끄러운줄아세요.
               
귀괴괵 12-08-28 13:35
   
반듯이 그렇다는게아니라 참고사항일 뿐입니다.

그래서 제목이 그렇다라는 제목이아닌...

그저 음모론이라는 제목을 썼구요.

다른 시점에 대한 관찰 내용일 뿐입니다.

음모론이라 했지 완전한 확실성은 둔적 없지 않나요?
 
 
Total 218,60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3) 가생이 08-20 257877
공지 정게 운영원칙 Ver.2018.03.27 (1) 객님 12-03 834103
31677 용인의 초등학교 4학년은 부모가 데려온겁니다. (36) 무진장여관 07-07 1179
31676 김무성 참 대단하다.. 네이버하고 다음 대표 불러다가 따… (9) 칸타페쵸코 09-06 1179
31675 [전문]박근혜 대통령 국회 국정연설문 (56) 순수와여유 02-16 1179
31674 [독려문] 아직도 조선일보 구독신청 미루는 자가 있나? (17) 흔적 03-06 1179
31673 박근혜의 실수 (28) 너드입니다 11-29 1179
31672 국민의당 유세차량 분위기가 많이 침체되었군요 (1) Captain지성 05-08 1179
31671 이혜훈과 세월호 (12) veloci 07-30 1179
31670 종합병원’ 임종석, 임플란트?…김동연, 튼 입술·충혈된… (1) veloci 08-02 1179
31669 ㅋㅋㅋ 오늘 문통발언에 ... (2) 몰라다시 11-05 1179
31668 새해에도 변함없는 민노총 (3) veloci 01-07 1179
31667 유세장소 잘못 택해 뚜드려맞는 자유당 후보 (5) 묵객 05-12 1179
31666 지금 홍재앙이 뜨기 시작함. 검색바람. ㅋㅋ (5) krell 01-26 1179
31665 이스라엘의 여군이 생각하는 페미니즘이란... (18) 두개의시선 07-25 1179
31664 유승민 "문고리 3인방이 날 제일 무서워해" (22) MonaMi 07-27 1179
31663 또 상황이 불리해졌나 보구나 (12) 엎드려OO 08-30 1179
31662 자한당...황교안 면전에서 엉덩이춤 논란......ㅋㅋㅋ (23) 강탱구리 06-26 1179
31661 이언주 "대선 직전 민주당 탈당, 나만 할 줄은 몰랐다" (5) NIMI 07-29 1179
31660 ytn 집회 진행자 멘트 ㅋㅋㅋ (5) 냐웅이앞발 10-03 1179
31659 표창장 직인 포토샵(#누끼따기, #사진작가, #금박로고) (8) 라면공장장 11-12 1179
31658 보수들 멘붕하고 있는 태구민의 1호 법안 예고 ~ (8) 별찌 04-19 1179
31657 얘네들 부부라네요 (6) mymiky 07-16 1179
31656 나경원,최성해는 영원히 수사 안할거냐? (6) 개개미S2 10-04 1179
31655 아무 생각없는 국힘당, 주호영 법안에도 반대 (20) 보미왔니 12-10 1179
31654 백요셉,대학수업시간에 "北에서 왔다"고 하자 교수가 "그… (2) yarn 06-07 1180
31653 ‘박원순표’ 돌고래 생태설명회… “이게 뭡니까?” (2) exerciseaddict 06-07 1180
 <  7471  7472  7473  7474  7475  7476  7477  7478  7479  74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