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특정 회원에 대한 반말,욕설 글(운영원칙 2,3항) 3회 위반시 접근 차단 조치 됩니다.(원인제공과 관계없이 조치)
하오니, 절대 유념해 주시기 바랍니다.

선거법 위반 및 정치관계법 위반행위 신고는 아래 중앙선거관리 위원회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중앙선거관리 위원회 http://www.nec.go.kr
HOME > 커뮤니티 > 정치 게시판
 
작성일 : 13-12-06 20:05
복지 재정, 이젠 지역 주민이 나서야
 글쓴이 : Boysh
조회 : 706  

괜찮은 칼럼이 있어 옮겨왔습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많은 사람이 우리나라의 빈약한 복지를 한탄한다. 늦은 밤까지 폐지를 줍는 어르신을 만나거나 생활고에 목숨을 끊은 집안 가장의 소식을 들을 때면 이게 ‘사람 사는 나라가 맞느냐’는 분노가 일어난다.

아직도 곳곳이 복지 사각지대이다. 그래도 근래 복지가 빠르게 확장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아이나 노인이 없는 집은 그다지 느끼지 못하지만 급식, 보육, 기초노령연금 등에서 의미있는 ‘복지 체험’이 진행되고 있다. 이웃에 사는 엄마들을 만나면 이구동성으로 무상보육의 혜택을 강조한다. 집에서 돌봐도 20만원까지 양육수당을 받는다. 복지공약 위반의 상징으로 여겨지는 기초연금 역시 내년 7월에는 대다수 노인에게 20만원씩 제공될 예정이다. 공약 후퇴 논란으로 동네북이 되었지만 대한민국 복지 수준이 꾸준히 향상되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보편복지 세력이 일군 소중한 열매이다.

의도한 것은 아니었지만 보편복지가 크는 과정에서 생겨난 짙은 그림자도 주목하자. 가장 절박한 사람들이 더 추운 겨울을 맞고 있다. 이명박 정부 기간 복지 예산 증가율은 정부총지출 평균증가율 5.3%보다 높은 7.3%이다. 보육·여성분야는 거의 3배로 늘었고 약 400만명의 노인에게 기초노령연금도 지급되기 시작했다.

그런데 기초생활보장예산은 평균 3.5% 증가에 그쳤다. 내년 예산안에서도 복지예산 평균증가율이 8.7%인데 기초생활보장예산은 3.1% 늘어날 뿐이다. 예산은 정치적 힘이 작은 사람들에게 냉정하다. 지역 복지관에서 일하는 사회복지사, 복지를 연구하는 교수들과 이야기해보면 오히려 보편복지 논의에 소극적인데, 보편복지 바람이 불었지만 정작 빈곤계층, 장애인 등 전통적인 복지에는 찬바람만 맴돌았고 복지현장 종사자의 열악한 처우도 개선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지자체 역시 보편복지가 확대될수록 속이 탄다. 주민들에게 복지를 제공하는 게 뿌듯한 일이지만 이로 인해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거의 할 수 없게 되었다.

전국적으로 유치원, 중학교까지 확산되고 있는 무상급식은 지자체와 지방교육청이 사실상 재정을 전담하고 있다. 무상보육의 경우 수혜 대상이 늘어나고 양육수당이 도입되어 지출 총량이 크게 늘어남에 따라 지자체가 감당할 대응 몫도 덩달아 증가했다. 기초연금도 20만원으로 오를 경우 지자체의 부담도 거의 2배로 커진다.

청와대와 국회가 복지 확대를 결정하고 생색을 내지만 정작 복지를 실행하는 지자체 재정 지원에 소극적이고 예산 부족을 이유로 취약계층 복지를 방치한 탓이다.

지난 몇 년 우리나라 보편복지가 역동적인 성장을 보여주었지만 빠른 도약만큼 ‘아래로부터’ 토대가 충분치 않다는 약점도 지닌다. 지금은 복지공약 후퇴로 박근혜 대통령이 수세에 몰려 있는 듯 보이지만 보편복지 쪽에게 유리한 지형도 결코 아니다. 여전히 부자 노인에게 기초연금을 제공해야 할까라는 질문이 제기되는 상황, 즉 ‘모두가 받고 소득에 따라 누진적으로 세금을 내는’ 보편복지 담론이 아직 뿌리를 내리지 못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복지가 시혜에서 시민의 권리로 자리를 옮겨가고 있지만 복지를 담당하는 사회복지사와 복지관들은 저만치 서 있고, 복지를 지지하는 주민도 별다른 참여 계기를 얻지 못한 채 관람자로 머물고 있다.

지금까지 급식, 보육, 기초연금 등 복지 요구가 논쟁의 주제였다면 앞으로 지방복지 재정도 뜨거운 논점이 될 것이다. 지자체가 보편복지 대응 예산을 순조롭게 마련하고 기초생활보장, 장애인복지를 강화하면서 사회복지사들의 근로조건도 개선하기 위해서는 중앙정부에 재정 책임을 압박하는 아래로부터의 힘이 절실하다. 지역에서 일하는 사회복지사, 보편복지를 누리는 주민들의 역할이 중요한 이유이다.

지금까지 주민참여예산제를 비롯해 지역 주민의 예산활동은 지자체를 대상으로 세출분야에 한정돼 왔다. 이제는 지자체를 넘어 중앙정부를 상대로 예산 확충 활동도 필요한 때이다. 비록 어려운 과제이지만 지방자치를 꽃 피우기 위해선 중앙정부와 승부를 가려야 한다. 중앙정부에 돈이 없다는 핑계로 뒷걸음만 치지 말고 재벌 대기업에게 세금을 거두고 탈세자들을 잡아내며 복지를 위한 증세도 추진하라고 복지 당사자가 외쳐야 한다. 광역단체장들의 성명서만으로는 이룰 수 없다. 지역주민, 사회복지사, 지자체 기초의원들이 여의도 국회를 둘러싸는 날을 그려본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탈곡마귀 13-12-06 20:08
   
증세 없이 할수 있다고 호언장담했으니 아마 잘 해낼수 있을 겁니다.
그럼요. 공약한 사람이 누군대...
     
알kelly 13-12-06 20:11
   
본문 안보고 댓글 적었다에 제 돼지저금통을 겁니다. ㅋㅋㅋ
          
탈곡마귀 13-12-06 20:16
   
빨리 돼지 잡으세요. 계좌 불려드려요?
 
 
Total 218,60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3) 가생이 08-20 259015
공지 정게 운영원칙 Ver.2018.03.27 (1) 객님 12-03 835327
43127 한국 GPD 대비 국방비 연도별 (47) 로코코 12-07 3343
43126 무조건 종북으로 몬다는 님들게 (4) 누누 12-07 592
43125 탈곡마귀님이나 아님 같은 주장하시는분 (11) 멀티탭 12-07 499
43124 그들에겐 눈에가시같은 존재! (1) 댜블로3 12-07 590
43123 美, 한국 방공구역 확대 '동의' 시사…"의견 같이… (3) 알kelly 12-07 831
43122 장성택이 실각한 이유..... (26) 바쁜남자 12-07 1657
43121 카툰이나 즐기시죠. (11) 바쁜남자 12-07 7168
43120 국방비 증액이 시급하네요 (10) 알kelly 12-07 683
43119 한국놈은 믿을수없으니 장관을 빌려다라. (8) zxczxc 12-07 1032
43118 外信이 본 三星의 놀라운 事實 13가지 (4) Boysh 12-06 1135
43117 국회의원 연봉이 137,961,620 헉 !!! (9) 알kelly 12-06 676
43116 김대중 노무현 배타적경제수역때문에 이어도 먹히게 생… (26) 알kelly 12-06 1284
43115 반세기 동안 일본에 대한 청구권을 행사할수 없었던건 … (8) 함해보삼 12-06 631
43114 좌파 정치인중 어릴때 가장 잘생겼던 사람 (10) 로코코 12-06 1040
43113 김대중님 리즈시절 (9) 로코코 12-06 4796
43112 神으로 추앙받는 핵팽귄 (4) 알kelly 12-06 1033
43111 박정희 세째형 박상희는 (2) zxczxc 12-06 722
43110 친일인명사전은 종북입니다. (7) 골ㅁ 12-06 660
43109 박정희는 5천년 한민족역사에 흔지않은인물이죠 (21) zxczxc 12-06 685
43108 보수들 (46) 함해보삼 12-06 870
43107 어떤분의 종북옹호글 (37) 찰나0무량 12-06 858
43106 진중권 교수 정의당 입당 첫마디는 ??? (11) 알kelly 12-06 958
43105 국정원의 뛰어난 수사력 모범 케이스 (2) 비교불가 12-06 839
43104 복지 재정, 이젠 지역 주민이 나서야 (3) Boysh 12-06 707
43103 비리 종합선물세트 (12) 함해보삼 12-06 573
 <  7011  7012  7013  7014  7015  7016  7017  7018  7019  7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