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4-05-21 11:32
[잡담] 세계 무기 백화점을 꿈꾸는 한국..
 글쓴이 : 소담21C
조회 : 2,725  

한국 방산물자 해외 판매 목록 및 후보


<공군>

KT-1 훈련기 - 인도네시아 튀르키에 페루 세네갈 

T-50 / FA-50  - 이라크 인도네시아 필리핀 태국 폴란드 말레이시아
                      우즈베키스탄(관심) 페루(관심) 

수리온 - 이라크(유력) UAE(관심) 말레이시아(관심)

KF-21보라매 - 관찰수준으로 있는 국가.. 
                    인도네시아 사우디 폴란드 말레이시아 태국 필리핀 등..
 

<육군>

K-2 전차 - 튀르키에(기술수출) 폴란드 루마니아(유력) 이집트(관심)

K-239천무 - 폴란드 사우디 UAE 말레이시아(관심) 루마니아(관심) 필리핀(관심)

K-151현마(소형전술차량) - 투르크메니스탄 폴란드 칠레 필리핀 말리 나이지리아 등..
                                    다수국가 관심.. 
K-200장갑차 - 말레이시아

신궁(휴대 대공미사일) - 루마니아

현궁(휴대용 대전차 미사일) - 사우디 UAE 

천궁-2 (대공방어 미사일) - 사우디 UAE 말레이시아(관심) 루마니아(관심) 폴란드(관심)
                                인도네시아(관심)

K-808 장갑차 - 페루(사실상 확정)

레드벡 장갑차 - 호주 루마니아(관심)

K-9 자주포 -  폴란드 에스토나이 핀란드 노르웨이 튀르키에 호주 이집트 
                   인도 루마니아(유력) 베트남(관심)  등.


<해군>

잠수함 - 인도네시아 필리핀(관심) 캐나다(관심) 호주(관심) 사우디(관심) 폴란드(관심)

호위함 - 필리핀 페루 태국 사우디(관심)

수송함 및 지원함 - 뉴질랜드 영국 페루 등..

해성대함미사일 - 콜롬비아 필리핀


이외.. 각종 탄약 소총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땡말벌11 24-05-21 11:45
   
호주는 잠수함이 아니라 호위함 아닌가요? 근데 사우디도 잠수함에 관심이 있었군요.
     
소담21C 24-05-21 11:48
   
호주는 원자력 추진잠수함 도입이 너무 늘어져서..

그전에 전력공백 메우기 위한 디젤추진 잠수함 도입에 관심이 있기도 한듯함..
루넴폭스 24-05-21 11:52
   
의외로 품목이 다양한 것도 놀랍긴 하지만 미사일 방어 시스템들을 수출하고 있는 게 ㄹㅇ 의미 깊다고 봄
일중뽕싫어 24-05-21 16:12
   
일단 미사일쪽 분야에서는 레이더 기술에 올인해야함..
아무리 다 좋아도 레이더 기술 없으면 말짱 도루묵임
도나201 24-05-21 17:30
   
몇몇 국가가  많이 빠졌네요. 
kt-1  나이지리아  모잠비크. 
fa50  모잠비크, 세네갈,  과  관심국가 로는 에스와티니.  보츠와나  페루 콜롬비아, 멕시코 볼리비아,  베트남 까지  그외에는  아제르바이잔, 이집트 우즈벡  사우디  까지 포함합니다.  루마니아 슬로베니아, 헝가리 체코 스위스 스페인 영국 아일랜드  몇몇국가는 오퍼만 들어온 국가도 몇국가 더됩니다.

수리온은  이라크, 필리핀 uae 사우디  이고 베트남  말레이시아  등이 있습니다.
kf21 관련해서는  현재 추이를 지켜보고 있는 중이라서
fa50 관심이있는 국가들은 kf21 에 전부 관심을 표명하고 있습니다. 아직까지 가격이 나오지 않아서
관심국 과 도입근접국으로 나뉘야 하는
대부분 필리핀이.. 가장 관심을 표명하고 있고,  표면적으로 .  말레이시아.
uae  이라크 이집트까지.    폴란드,  루마니아.  이번에 스웨덴까지. 겹치고 있습니다. 
의외의 국가가.. 나타났는데  그리스가 조용히 관심을 표명하고 있습니다.
전력공백의 심각한 상황에서  오스트라아,  스위스 등에서 fa50 곁가지고 관심을 표명하는 수준입니다.
아직 본격적인 영업을 시작하지 않아서 . 의외로 전력교체로 삼는국가가 많습니다.
특히 중앙아시아 권에서  상당히 관심을 표명하는데.  대놓고 나서지는 못하지만,
관심을 표명하는 국가는 많습니다.
아마도 이번 말레이시아 방산박람회에서  본격적인 영업을 시작할것이라고 하는데.
그때 정확한 국가들이 나오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육군은 .. 이게  k2 관련해서는 지금 동유럽권국가  5개국에서 관심을 표명하는중입니다.
현재 프랑스 차관형식에서  목을 메어 있어서 .  눈치보기를 하고 있지만,
헝가리, 체코 를 제외한 국가들은  아직 결정하지 못하고 잇지만  관심을 표명하고 있습니다.
이들 5개국의 도입수량은 전체 500여대정도라서.  1차도입사업에 자체적으로 할지는 도고 볼일입니다.
이집트를 위시한 사우디도입건까지. 겸해서.  쿠웨이트 .. 까지  오만은 현재 진짜로 돈이없어서.
미루고 있는데  조만간 사업이 재계될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콜롬비아가 . 관심을 표명하고 페루까지 하는데  이쪽은 k1a2+  중고개량품이 들어갈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후 그공백을 k2전차로 증가생산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위에 물건에 . 베트남도 섞여 잇는데..  k2 를 원하지만,  k1a2+ 중고개량품과 k1e1의 공여물건으로 제공될 확률이 높습니다.  이두국가로 k1A2 500여대 전량을 판매할 계획이 있다고 합니다.
여기에 필리핀도. 애매한 상황으로 가는데..  두고 볼일입니다.
가장 구매에 근접한 국가는 현재 말레이시아입니다.  기존 폴란드 PT91 전차를 도태하기로 결정해서.
이전차 대용으로 K2 전차를 도입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천무... 현재 천무관련해서는 워낙 많은 국가가 자료요청을 해오는 상황이라서 
자세한것은  이번 말레이시아 방산박람회에.  대부분 국가의 실체가 나타날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중동지역에서 상당한 관심을 보이고 있어서.  최소 12개국에서 . 실제적인 사업을 추진할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현마는  현재. 우크라이나 관련해서 지원무기와 구매무기로 해서.  꽤나 많은 수량이 수출될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거기에 상당부분 관련해서 이번 여름에 . 확실히 자료요청만해도 몰릴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K200 장갑차는 말레이시아에서 .. 기존전력의 K200의 개량사업이지 추가 도입사업은 아니라고 합니다.
그러나 의외로 K200 은 터키쪽에서 많이 팔아서 . 의외로 경쟁상황에서는  K200 은 도태장비라서.
그 재활용성에 대해서 전술적인연구가 되고있지만, 그대로 도태로 갈듯 합니다.

KAAV 상장차량.  필리핀은 이미 도입해서 운영중입니다. 다만 이게 추가로 발주할지 상장차량2 로 새로구매하게 될재는 두고 볼일입니다.

KWAV 30톤급 차륜형장갑차...  폴란드  이건 폴란드하고 우리나라가 공동개발로 하는 것으로 이미 시제품이 나와서  폴란드에서는  현재 이물건을 바로 구매할것으로 보이고 있고,
이게 배치되는 곳이 중요함.  칼리니그라드  항..  앞의 상륙전용으로 장갑차량을 구매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이쪽 거의 습지 및 삼각주지대라서 . 상륙장갑차로 사용하려고 작정하고서 만든 물건입니다.
향후. 이물건에 대해서 상당히 관심을 표하고 있으나,  아직. 영업활동을 하지 않아서... 현재는 상담만, 하고 있습니다.

의외의 물건 닷지. 및 두돈반  중고판매 호조.  대부분 아프리카 국가 와 남미 등지에서 공여물품으로 가고 있고,
베트남에도 상당부분 들어간 상황입니다.  태국 도 운영하고 있고, 
현재는 북아프리카 몇몇 국가들이  사용중이고 공여물건으로 들여가기도 했습니다.

현재는 우크라이나에서도. 지원물품으로 제시했으나.  그닥 탐탁하게 생각하지 않고 있습니다.

신궁,  사우디. UAE 도 도입된것으로 알려졌으나 엠바고때문에 정확한것은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현재는 폴란드 루마니아,  등  구매했고,  태국 및 필리핀에서도 관심을 표명하고 있으나,
어디서 구했는지.. 북한의 화승총을 대량 갖추고 있습니다. 
참고로 맨패드 최대 수출국은  북한입니다.  ㅡ.ㅡ

현궁은  사우디에서 자체적으로 사거리연장형을 원해서 LIG 에서 사거리 연장형 사우디 맞춤형으로 개발되어서  조만간 수출될것으로 보여지고 있습니다.  이것도 엠바고라서... ㅡ.ㅡ
이와더불어서 UAE 도 구입을 같이 고려하고 있는 상황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현궁관련해서는  우즈벡에서 가장 관심을 표명하고 있고, 
루마니아에서도. 현재  위에 사우디 사거리연장형을 기다리고 있는듯합니다. 
워낙 전력이 미흡해서 대전차미사일의 대량도입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폴란드도.. 마찬가지고,  제블린 과 더불어서 추가로 도입할 생각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현궁은 알게 모르게 많이 팔아서  이라크에서 발견이 되었고, 
태국,  필리핀  인니.. 등에서도 가져간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그수량은 알려진 바 없습니다.

현재 베트남에서 상당한 관심을 보이고 는 있는데.. 과연 팔지는 ..두고 볼일입니다.
얘들은 심지어 북한의 불새 미사일도 구매하려고 움직이고 있다라는 말도 들립니다.

K808 페루..... 향후 콜롬비아. 도입관련해서 상당히 관심이 많음.
이것보다는 KWAV 관련해서 30톤급 차륜형장갑차량에.. 더관심들이 쏠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 인니는  두산 시절 만들어낸. 타란튤라를 운영중에 있으며.
한화의 차륜형장갑차량을 여기저기에 넣고 있지만 신통하지 않습니다 .
현재 오만 및 카타르 관련해서 여기저기 시험을 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팔렸다라는 이야기는 없습니다.

AS21 호주....  폴란드는  포탑이 보르숙포탑을 얹은 버전으로 수출할 모양새입니다.
여기는 관심을 표명하는 대표적인 국가는 루마니아 이고,    향후에  문의만 여기저기서 오고 있습니다만,
말레이사아 방산박람회때,  실제적인 오퍼가 들어올듯합니다.
     
소담21C 24-05-21 17:51
   
KT-1 은 나이지라아 모잠비크는 도입국 아니고.. 현시점 관심수준 국가로도 보기 힘들고..

개발한지 좀 된 기체라 우리나라도 차기 훈련기사업 생각중이고..

더이상 생산이나 판매 가능성은 없음..

현마(소형전술차량)는 우크라이나 수출 한적도 간적도 없고..

거기서 말하는 군용차는 민간용 SUV 중고차 수입해서 군용으로 개조한단 거고..

폴란드 레드벡은 초기관심있는듯 했으나..사실상 보루숙 1500대 자체 도입으로 물건너 간거고..

신궁은 사이디 UAE 가 엠바고 많아서 파악하기 어려우나..일단 흔적을 찾을수 없어 배제..

현궁은 사우디 엠바고 거는 국가치고.. 실전에서 사용하는게 유트브 공개된 영상으로 알수있고.

관심수준도 급이 다 다른거에요..

관심도 좀 진지하게 논의(군관계자성 인터뷰정도)되는것 정도로 추리고..

과거 관심가진 국가들도 제외.. 현시점 관심권에서 멀어지거나 타기종으로 선회한것 제외..

유트브에서 카더라성으로 나오는 수준은 대부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가능성이 있다고 보는것만 최소화 하려고 한거임..

장갑차 N-wave 도 마찬가지인데.. 저건 그냥 시제품 나온거고..

우리나라 육군에서 테스트 한적도 없고.. 우리나라 군 요구로 만들어진 제품도 아님..

현대에서 자체 테스트 중이며 개발중이라 언제 완료될지..

그리고 앞으로 계속 진행할지도 미지수인 미완성 제품임.

저거 우리나라 육군이나 해외판매시 수출하려면 향후 엄청난 성능테스트 요건을 다 돌파해야 됨..
          
도나201 24-05-21 18:05
   
KT1 은 단종된상황이 KT2  개발사업을 진행중입니다.
그런데 . 얼마전 C390이 수송기사업에 선정되면서
엠브라에르사하고 슈퍼투카노 관련해서  공동개발할 모양새입니다.

현마 는 아프리카 국가  필리핀 공여 이고 중남미 국가에 판매될 모양새입니다.
우크라이나 관련해서는  민간형 SUV 는 이미 계약하고 납품되는 고정이고,
폴란드에서 구매결정한 상황입니다 

현재 알게 모르게 들어간 상황은 맞습니다. 

폴란드 레드백은 ... 차체만 도입하고 포탑만 보르숙포탑으로 PZG 사하고 현재 논의중입니다.  이게 가장 정확한 팩트입니다.  오히려 폴란드측에서 요구한 상황이기도 하고,

보르숙장갑차량해서는 .. K2 와 함께 작전하고.    M1a2 와는 이물건이 들어갈거라고 합니다.    뭐 현지테스트과정에서.  상당히. 호감적이였으나,  보르숙관련해서 콩스버그사하고 뭔가 계약이 얽혀있는 모양입니다. 
그래서 포탑도입만 하기로 한상황입니다.  이건 협상중이라서  정확한 것은 시일이 걸릴듯.

n- wav 표기가 잘못되었네요.  죄송.
이것은 이미 k2 도입당시에 절충교역으로  차륜형장갑차량공동개발로 인해서
대부분 부품 및 생산라인 가동까지 .. 협력한 상황입니다.
그시제품이 등장한것뿐이죠.  절충교역 대상품목이라서.
도입은 확정입니다.  바로 현대자체 테스트 하면 폴란드에서 자체테스트를 시작할것으로 보여지고 있습니다.
               
소담21C 24-05-21 18:18
   
그러니까..폴란드 현마(소형전술차) 수출이지...

우크라이나 현마와 아무 관계 없는데..윗글에 우크라이나 현마수출이라고 썼잖아요..?ㅎㅎ

지금 저기 나온 제품군은(보라매 제외) 향후 나올거..이런게 아니고..

전력화되서 양산 배치 되었거나 양산 진행중인 물폼들 목록임..

Kt-2 사업 / 국산 수송기 사업도 도 향후 KAI 가 미래 먹거리 차원에서 던지거지..

이것들도 국방부에서 계획 확정잡거나 현재 군 자체 요구 사항도 아님..ㅋㅋ

폴란드가 K-808 백호 공동 개량 개발을 초반에 관심있는듯 보였으나..

지금은 폴란드 차륜형 장갑차 도입은 우선순위에서 밀리고..

주요관심사도 아님..
               
소담21C 24-05-21 18:33
   
N-WAV 가 무슨 폴란드 도입 확정입니까.??

자기들이 현대로템 기술축적차원 향후 차량형 장갑차 수요에 맞춰서 만든것일뿐..

폴란드와 합의되거나 판매 잡힌 물건이 아니에요.

N-WAV 차륜형은 개발자들이 K-808하고는 관계없다 말했고.전혀 다른거라 말했음.

인터뷰에서 개발자들이 밝혔는데..저거 자체 기술축적과 향후 수요에 맞춰 개발한거고..

우리나라 군대에서도 도입했음 좋겠고..우리군 테스트 받았음 하는 희망사항 나열했고..

저거 완성되고 군성능 테스트 받을수 있을지 없을지 미래를 모르는..

그냥 한화가 자체 808 장갑차 타이곤 만든거하고 비슷한거라고 보심됨..
                    
대팔이 24-05-22 16:07
   
냅두세요..
저양반은 반은 뇌피셜이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