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6-04-13 14:29
[잡담] GFP 군사력순위는 이제 못믿겠네요
 글쓴이 : 아잏잏잏잏
조회 : 4,600  

 
한국이 11위로 내려갔는데..
 
터키, 이탈리아, 일본이 한국보다 군사력이 높습니다 ㅋㅋㅋㅋㅋㅋ
 
일본은 그러려니 해도. 터키랑 이탈리아가 한국보다 강하다는건 개소리죠
 
터키는 아직 개발도상국이고 군사력이 강하다고는 하나 한국보다 기술력 등 전부 딸리는데
 
이탈리아? 이탈리아뿐만 아니라 프랑스,폴란드 제외 전 유럽국가가 군비축소중인데 한국보다 강하다? 웃기는 소리
 
 
더 어이없는건
 
이스라엘이 인도네시아,브라질,이집트 보다 약함 ㅋㅋㅋㅋㅋ
 
이스라엘: 시무룩 ㅠㅠ
 
 
GFP 가 공신력 없다는게 결론입니다
 
한국군이 군비축소를 하는것도 아니고 오히려 군비증강을 하고있는데
 
1년만에 4위가 떨어짐? 방산비리 드립할거면 뒤로가기 누르세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스크레치 16-04-13 14:38
   
뭐 순위가 저렇다니 일단 인정하구요....

불과 2개월전 똑같은 GFP 순위에선 이탈리아는 16위로 대만(15위)보다 낮았거든요...

그런데 2개월만에 이탈리아는 순식간에 10위권 진입....

반면 2개월만에 한국은 7위에서 11위로 하락....


2개월 사이에 엄청난 군사력 증강이라도 이탈리아가 한 모양입니다.
     
아잏잏잏잏 16-04-13 14:39
   
유럽에서 프랑스랑 폴란드빼고 다 군사력 축소중입니다 영국은 축소했다가 다시 증강하려 하는중
스컬독 16-04-13 14:41
   
평가항목을 상당히 세분화하긴 했지만 아무래도 무기의 질이나 훈련정도같은 단순한 수치로 파악하기 힘든 것들을 배제하고 오로지 눈에보이는 보유량같은 것들을 기준으로 하는 절대평가라 그런 것 같네요.
     
스크레치 16-04-13 14:43
   
그런데 그게 2개월만에 급격한 변화가 발생하나요? 눈에 보이는 보유량이...
          
Marauder 16-04-13 15:12
   
2개월만에 변화가 발생한 것이 그런부분 때문에 한국군이 고평가되어있다가 그런부분을 고려하지않아서 저평가가된것이겠쬬.
yarn 16-04-13 14:44
   
저 순위가 뭐 그리 중요하다고 그러는지 모르겠습니다.

참고용일뿐이지 실전에서는 누가 이길지 모르는 일입니다.
9걸 16-04-13 15:11
   
아닌 언제부터 한국이 일본보다 위가요
전에 한국이 일본보다 군사력이 강하다 하면 와 ~뻥이다 하고 날리치선분들이
언제부터 미국에서 지금역전당했다고 ㅋㅋㅋ이리 ㅋㅋㅋㅋ

해군공군 당연히 위고  육군만 앞서니 하니
그리고 일본은 10년간 국방비가 거이 쭉쭉~~상승했고
우리는 당연히 ㅋㅋㅋ그놈에 무상복지때문에 국방비는 하락세 ~그럼 우리가 일본도바 설사 앞서따해도 지금쯤 역전당하는게 정답아닌가요 `
     
아잏잏잏잏 16-04-13 15:18
   
우리나라 국방비 하락한적 없고요 일본이 한국보다 강하지는 않는데요 알고 말해요
     
카오스 16-04-13 15:19
   
글쓰려면 제대로 조사나 한번 해보고 씁시다.
     
ultrakiki 16-04-13 15:31
   
무슨 ;;; 무상복지 드립 ;;;;
     
뭐랄까 16-04-13 18:07
   
글 쓰는게 쪽바리인가...?
     
헤밍 16-04-14 15:25
   
구걸이나 해라...
레로리 16-04-13 15:25
   
제 생각에는 스텔스기 도입 순위 때문에 그런 것 같습니다.
유럽,터키,일본에 비하면 f35를 꽤 나중에 직도입하는 지라 올해부터 받는 애들에 비하면 전략무기에서부터 전력차가 너무 나긴 하죠
ultrakiki 16-04-13 15:31
   
올해 추가 무기 도입분 예정된것 까지 수치에 들어갑니다.
경제, 예비전력등등...


그렇다고 뒤바뀐 순위가 어마어마한 전력차도 아니고...
그냥 참조만 하시면 됩니다.
무기 인도분 비축분등등으로 금방 뒤바뀌니까요.
0큰삼촌0 16-04-13 15:34
   
좋은거 아닙니까...?? 다시 국방력 증강에 매진해서 원래순위 찾아야죠....ㅎㅎ
붉은늑대 16-04-13 15:47
   
좋은 일 입니다..
앞으로 10년간 11~15권 해야죠..그래야 군사력 증강에 도움이 됩니다..ㅋㅋ
그리고 사실 7위로 국방비 증액은 어렵죠..
기동이 16-04-13 16:08
   
저건 도대체 어떤초등학생놈들이  평가했나보죠
 해군력이  북한이  1위  미국이 3위로 평가하는  한심한놈들인데  저걸  도저히 공감할수가 없네요
카인 16-04-13 17:09
   
미 CIA평가 정도만 믿는게 나을거 같네요...이건 뭐 주먹구구식 평가도 아니고
주글랭말랑 16-04-13 19:50
   
우리나란 육군 너무 치우쳐있달까 ..
12척 16-04-13 23:33
   
일단은 터키, 이태리를 너무 우습게 보시는 듯합니다.
GFP는 원래 국가 규모를 많이 봐서 군사력에 가중치를 둔 국력순이다 라고 많이 합니다.
우리나라, 이스라엘, 대만이 국가규모 보다 큰 군대를 유지하고 있어서 순위가 좀 높은 편이고 대부분 국력순이라고 보는게 타당할 정도로 GFP는 영토랑 인구빨을 많이 봅니다.
우리나라가 7위를 했던건 유럽에서 군축을 할 때 우리는 북한 때문에 대병력을 유지하고 있던 덕분이지 다른 이유 없어요.
우리나라가 7위 할 때도 그렇고 12위 할 때도 그렇고 독일, 이태리, 터키 같은 나라들은 우리나라랑 원래부터 0.25~0.29 사이를 오가며 엎치락 뒤치락 하던 나라들입니다.
다들 고만고만한 스코어에서 위 아래에 있던 나라들이라 언제 뒤집혀도 이상할 것 없었어요.
최근 이태리가 f35 생산하면서 순위가 많이 올랐고, 일본은 국력에 비해 약한 군대 보유하고 있다가 미국이 목 줄 풀어주면서 훅 오른거구요.
요즘 유럽쪽은 리비아, 시리아, 우크라이나 사태 때 군사적 대응력이 너무 떨어지는 통에 되려 군비 확장 중으로 알고 있슴니다. 특히 독일은 지나치게 군축한다고 대놓고 미국한테 한소리 들었죠.
우리나라도 지난 몇 년 거하게 삽질하는 통에 전력 차질이 좀 있어서 11위라면 기분은 좀 나쁘지만 충분히 납득되는 수준이라고 봅니다.
     
도나201 16-04-14 12:58
   
일단 터키는  f16의 배치로 인한 전력상승이 가장 주요원인으로 되어지고 있읍니다.
실상 알타이전차  k9 자주포는 아직 제대로 배치한 수량이 그다지 군전체의 상승으로 이어지기는 조금은 미비한 수준이죠.

현재 본체 장갑
     
스크레치 16-04-14 16:41
   
근데 그게 불과 2개월만에 바뀔정도로 큰 이유는 뭔가요?

2개월 사이에 국력이 그렇게 확확 바뀌나요?

만약 작년순위가 그러했고 올해 순위가 바뀌었다면 충분히 납득할 여지는 있습니다.

1년동안이라는 시간동안 변동요소가 있을수도 있는 시간이니까요


하지만 불과 2개월 전 2월에는 한국이 7위 이탈리아 16위에서

2개월 후인 4월에는 한국 11위 이탈리아 10위?


2개월동안 한국과 이탈리아 사이에 국력에 큰 전환이 올 사건이 있었던건가요?
          
12척 16-04-16 12:03
   
순위보다 점수 위주로 보세요.
마라톤 할때 1그룹 2그룹 3그룹 몰려다니는데 3그룹선두에서 3그룹 중반으로 간것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물론 4그룹 5그룹은 저쪽 뒤에 있어요.
          
고라니7013 16-04-30 12:29
   
ㄴ 이탈리아와 우리의 국력..

이탈리아가 더 높아요.
무슨 우리나라 외 다른나라을 핫바지 취급하나요?
     
고라니7013 16-04-30 12:31
   
ㄴㄴ 가생이닷컴의 극우xx, 국x
  성형 원래 알아주지 않나요?

  군사력이 다른나라들이 바보, 머저리라 우리만큼 증강 못하는 줄
아나 봅니다.
구름위하늘 16-04-14 11:43
   
모든 통계나 순위표가 그렇듯이 GFP도 한계는 있습니다.
이전에도 언급했던 사항이지만 GFP는 군사력이 아니라 국력에 가까운 지표 입니다.
- 국방력이 아니라, 국력(인구,자원,물류,금융,국토...)에 가중치가 높음
- 군인의 수가 아니라, 징집가능연령의 남자의 수를 중시함(군사훈련을 받았냐는 것은 고려하지 않음)
- 국방력 평가에서 무기의 질적인 요소는 포함하지 않음 (북한이 세계 해군력 1위 ^^)

참고는 할만 한 자료이지만, 실제 전투력을 반영했냐에 대해서는 예전부터 의문인 지표이지요.
그냥 우리나라 설문조사 정도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도나201 16-04-14 12:55
   
일본의 해상자위대 전력이 대충 보강된 전력이 상정된결과로 보여지네요.
특히 이즈모 강습상륙함의 배치가 큰 전력상승으로 이어지고,\
특히 잠수함의 신형배치 등등.. 상당한 전력구축을 한것이 영향을 미친것 같네요.\

거기에 f-15 j 카이 버전의 실전배치를 고려할때 상당한 전력상승으로 이어진것으로 보여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