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0-03-18 05:53
[잡담] 카와사키 C-2의 실체
 글쓴이 : TTTTTTT
조회 : 6,309  

https://japan-indepth.jp/?p=50589

원래이 대형기 2 기의 개발과 해상 자위대 US-2의 개발이 겹쳐있어 일본의 항공 산업의 인적 용량을 초과했다. 이것도 개발 지연과 비용 상승의 이유가되었다. 완전히 관 측면의 관리 능력의 부족에 의한 '인재' 이다.

또한 C-2는 기체 강도에 문제가 있고, 그 보강에 상당히 기체가 무거워지고있다. 게다가 설계 단계에서 날개를 앞에 달고 너무 위해 중심 뒤틀리게이 조정을 위해 기수에 무게 1 톤의 철판을 탑재하고 균형을 취하고있다. 이러한 요인에 따라 페이로드는 크게 떨어졌다. 이 때문에 중량물을 탑재하는 경우는 연료를 극단적으로 줄여 공중 급유를 할 필요가있다. 타카시는 탑재량이 어느 정도 하락했는지 구체적으로 밝히고 있지 않지만, 이륙시 연료를 극단적으로 줄여 페이로드를 확보하고있다 . 이것은 일종의 성능 위장이다.

성능면에서도 문제가있다. C-2 는 자위대가 부정지에서의 운용을 요구하지 않았기 때문에 포장 된 활주로에서만 운용 할 수 없다 . 이것은 PKO 등으로 비포장 활주로에서 이착륙 할 수 없다고 말한다뿐만 아니라, 항공 기지 폭격 등으로 응급 수리 된 경우 나, 동일본 대지진처럼 피해를 입은 공항에 내릴 수 없다. 군용 수송기로 완전히 실격이다. 평시 운영 밖에 상정하지 않는다

최대 페이로드로 나누어 보면 C-2 (표에서 36t으로되어 있지만 필자의 취재 한 한 사실은 26t 정도이므로 26t으로 계산한다. 제인 연감 는 30t이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드림케스트 20-03-18 06:21
   
왜 만든거냐....
     
대팔이 20-03-18 08:20
   
몰랐으니까.....
     
의자늘보 20-03-18 08:58
   
저 따위로 만들어도 나라에서 돈을 꼬박꼬박 입금해 주니까요.
아무도 책임 안 져도 되고....
꿀 떨어지죠.
의자늘보 20-03-18 09:00
   
비행기 만들면서 무게중심도 계산 안 하다니...
이뭐병...
어부사시사 20-03-18 09:19
   
위 일본어 기사 한국어 번역기 돌려보니

[C-2 의 개발 예산은 약 2220 억엔 (초도 비용을 포함하면 약 2500 억엔) 이다. 조달 단가도 100 억엔에서 215 억엔으로 이 또한 급증하고 있는...((잘 하면 300억엔 찍을 기세?)) 페이로드(탑재량)이 약 3 배의 미 공군의 C-17 수송기에 필적하는 가격이다.]
--------------------------------------------------------------//


탑재량이 3배인 미제 C-17에 필적하는 가격이라...... 대단해요~
게다가 수명주기 비용으로 계산하면 비용은 훨씬 더 늘어나 단위 탑재톤수당 비용이 C-130J, C-17  대비 무려 5.4배의 돈을 들여 저 그지같은 망작 수송기를 굴리는 셈임.
 
이게 한 때 일본이 성공작이라 자평하던(여기 가생이 밀게에서도 P-1은 좀 문제가 있지만 카와사키 C2는 잘 만든 기체라는 누군가의 댓글 본 적 있었음) 국산 아닌 국산 카와사키 C-2의 현실..ㅋㅋㅋ

매번 느끼는 거지만 일본발 ('기술의 일본'; 자뻑성) 쏘스는 믿을 게 못 됨.
그냥 대충 뒤집어 해석하면 맞을 듯. 말인 즉 "~라고 구라치고 있구나"로 해석하면 딱 맞는..
짬고냥이 20-03-18 10:15
   
생긴건 멀쩡해서 잘 돌아 가는줄 알았더만 하자 투성이네. 쪽본이 쪽본 했네.
크루즈777 20-03-18 10:45
   
우리가 20대 정도 가지고 있는
CN-235(스페인 인도네시아 공동 개발, 지난 번 일본 갔다 온 공군 3호기)와 같은 경수송기는
다음에 대체할 때 우리가 (공동)개발해봤으면 어떨지 하고 생각되는군요.

차기 경수송기로 20대 이상은 필요할 것이고
대잠 임무가 없는 해경용 해상초계기로도 활용 가능하며
이를 기반으로 민수용으로 40~50명 정도 수용할 여객기 버젼으로도
함께 개발하면 최소한의 경제성도 갖출 듯하고..

우리가 여객기 제조를 영원히 포기한 게 아니라면,
차기 경수송기를 기반으로 기초를 마련해보면 어떨까 하는 생각입니다.
네모상자 20-03-18 11:55
   
한국이었다면 방산비리라고 시끄러울텐데 일본은 보도통제라서 그런지 조용하네~
     
당나귀 20-03-18 16:44
   
고위층이 처먹는 건 “어쩔수 없다..“  라는 논리
벌레 20-03-18 12:29
   
무게중심도 안맞추고 설계하다니
무좀발 20-03-18 13:16
   
한국이 예전부터 일본하고 좋았다면....ㅋ

저런 중형수송기하나 만드는것,,, 합작하면 금방 끝낼텐데...ㅋ
일본은 하는것 마다 망쪼 !
사커좀비 20-03-18 14:31
   
아니.. 된장~ 하나 부러운 건 있네...
저 지랄해도 의회나 뭐.. 누구하나 딴지거는 놈이 없다는 거 아닌가요?

기가 막히는구만요...
국가든 민간이든 어떤 사업을 할때는 예산제약이라는 게 있고...
불가피한게 아니면.. 그 안에서 뭘 만들어내는 게 정석인데...
불가피하다고 해도.. 견제하는 쪽에선 그 지경이면 그거 왜 시작했냐?
이러고 멱살잡고 대들텐데...
쟤네는 뭐... 그런 눈치도 안보나?
죽여줘요 20-03-18 15:44
   
수출이 안되는데는 다 이유가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