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1-08-18 20:17
[기타] 납 비스무트 원자로 개발 상황
 글쓴이 : singularian
조회 : 4,466  

납 비스무트 원자로 개발


현재 알고 있는 것을 공유하려 합니다.

 

Lead-Bismuth Eutectic 또는 LBE라고 하며, 냉각제로 사용되는 납(44.5%)과 비스무트(55.5%)의 알로이이다. 4세대 원자로의 일부인 납 냉각 고속로용 냉각제

 


한국은 기본적으로 원자로의 소형화, 형상 설계, 운영 등에 대한 완벽한 기술을 가지고 있다. 다만 납 비스무트 원자로의 운영이란 기본적으로 고체 금속 파이프의 안을 열을 품은 액체금속이 흐르는 것의 관리 이다.

 


이 액체금속의 문제점은 두 가지로 ;


. 기본적으로 이 LBE 알로이는 부식성이 강하다.


. 금속이 금속 파이프 내를 순환함으로 장기 사용시 파이프 내부를 마모시킨다. 쇠를 쇠로 자꾸 문떼니(문지르니) 당연히 마모되어 얇아질 수밖에..... 소련/러시아의 문제는 대부분 마모에서 기인한다고 함.

 

부식과 마모 외 다른 기술적 문제점은 없다. 그래서 국내외 특히 한국의 연구는 주로 내구성이 강하며, 부식이 안 되는 합금의 연구에 집중되고 있다.


Ref : High-Temperature Corrosion Behaviors of Structural Materials

for Lead-Alloy-Cooled Fast Reactor Application. -합금-냉각 고속 원자로 애플리케이션용 구조 재료의 고온 부식성상 연구

https://scholarworks.unist.ac.kr/bitstream/201301/50092/1/000627987000001.pdf 2021 한국 UNIST 과제 발표 논문

 

Ref : Corrosion Behavior and Surface Treatment of Cladding Materials Used in High-Temperature Lead-Bismuth Eutectic. 고온 납-비스무트 합금에 사용되는 (파이프)피복재의 부식성상 및 표면처리 연구

https://www.mdpi.com/2079-6412/11/3/364/pdf  2021 차이나 발표 논문

 

 

. 연료 : 20% 이하로 농축된 연료의 사용은 문제가 안 된다. 단 연료공급처가 미국의 경우는 동의가 필요하다. 한미협정은 미국 도입 원료만 제동을 걸 수가 있다. - 김현종 전 수석



납 비스무트 원자로 개발에 관한 문제는 설계 기술, 제조 기술, 운용 기술 등이 아니라 원자로 파이프 내부에 코팅하여야 하는 내 부식, 내 마모 소재를 연구하고 이를 확보해야하는 소재과학 분야로 넘어갔다. 이 소재를 확보하여야만 장기적 안전운영이 가능한 원자로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르거나 틀릴 수도 있으니 감안하시며, 참고 바랍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원시인BC 21-08-18 21:26
   
핵융합로 내 플라즈마를 초전도자석으로 이격시켜 가두는 것이나 물과기름이 섞이지 않는것을 이용해 장거리 원유수송파이프에 물을 같이 주입하는것처럼 근본적으로 두 금속간(파이프, 액체금속) 마찰이 일어나지않게 하는 방법들은 고려되지 않고있나요 아니면 해봤으나 불가였나요?
아무리 내마모성이 증가한다해도 마찰이 지속되면 결국은 구멍이 뚤리게되고 쉽게 정비가 되기힘든 원자로에서는 그럴경우 문제가 심각해질거같습니다.
떡국 21-08-18 21:35
   
줏어들은 바로는, 납-비스무트 원자로의 또 하나의 문제점이 더 있는 걸로 알고 있어요.
원자로를 한 번 끄면 그 원자로를 다시 기동하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원자로 자체가 소손되는 문제요.
이유는 납-비스무트 냉각재가 원자로 운용시에는 액체상태이지만,
원자로를 끄게 되면 냉각재 온도가 낮아져 고체화 되어 버리는데
이때 체적이 커지면서 고화되기 때문에, 냉각재가 흐르는 파이프가 터져버린다더군요.
마치 겨울에 수도관이 동파되는 것 처럼요.
그래서 한 번 끄면 원자로 자체가 폐기되어야 한다고 하더군요.
이게 지상의 상업용 원자로라면 상시운용하면 되니깐 상관없다고 할 수 있겠지만
잠수함 탑재 원자로라면, 어떤 비상 상황에서 원자로를 꺼야 하는 상황이 올 때
원자로가 가동불능 상태가 되면서 해당 잠수함은 동력을 완전히 상실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고 합니다.
심해에서 이런 일이 벌어지면 그 잠수함은 그대로 바닷속에서 동력 상실한 상태에서 전원 사망하게 되는거죠.
     
기가듀스 21-08-18 21:39
   
원자로를 꺼야할 정도의 상황이 뭐죠?
          
네모상자 21-08-18 21:48
   
소나 탐지를 피해 숨는 상황이겠죠
               
머리에꽃 21-08-18 23:12
   
작전 중인 핵추진 잠수함이 원자로 가동을 중지 하는 상황은 침몰, 단 하나밖에 없습니다.
방사능 유츨을 막기 위해 침몰 시에 원자로 가동을 중지 하고 폐쇄 하는 것이지..
탐지를 피하기 위해 원자로를 껐다 켰다 한다는 건 황당한 소리네요.
원자로가 무슨 리모컨으로 켜고 끄는 벽걸이 에어컨도 아니고..;;
                    
뜨Or 21-08-19 12:00
   
모 유튭에 원자력 권위자분(서균렬 교수)께서... 껐다 켰다 할수 있는 기술이 우리나라에 있답니다.
               
그루메냐 21-08-18 23:43
   
통상적으로 디젤잠수함이 원잠보다 정숙하다는 건 해저에 숨어서 정지시에 디젤은 엔진을 끌수 있어서 완전 무음상태를 만들 수 있지만 원잠은 원자로를 끌 수 없어서 완전 무음상태를 만들 수 없어서 하는 말입니다. 아시다시피 원자로의 연료인 핵연료는 자신의 수명이 끝날 때 까지 계속 핵분열을 하므로 냉각수를 계속 공급해주지 않으면 열이 팽창하여 결국 폭발하게 됩니다. 원자로에서 발생하는 에너지를 동력에 차단을 할 수는 있고 그걸 엔진을 끈다고 볼 수 있지만 냉각수는 계속 공급해 주지 않으면 원자로가 폭발하게 되므로 동력전달의 유무와 관계없이 냉각수 펌프는 계속 동작해야하고 아무리 소음을 잡았다고 해도 완전 무음 상태가 되지는 않습니다.
     
singularian 21-08-18 22:00
   
1. 원자로를 정지시켜야할 상황을 잘 이해하지 못하겠습니다.

2. 합금의 Freeze 팽창에 대한 연구 역시 많이 있습니다. 그런데 단일물질인 물의 Freeze 팽창은 응고 즉시 팽창이 일어나지만, LBE는 합금이라 단기적 응고에는 두 가지 물질의 상호간 물리적 성상변이가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장기응고(년 단위)와 단기응고가 있는데, 단기응고의 경우 두 물질이 상평형을 이룰 시간 동안에는 충분히 대처가 가능하다는 논문이 있습니다. 두 물질의 팽창 평형을 이루는 시간이 물과는 달리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간단히 쉽게 말한다면 굳는 동안 둘이 굳는 온도가 달라 서로 막 비벼댄다는 소문이...
이거 뭐 과학 시간이 되었습니다. ^^
          
뜨악 21-08-19 00:14
   
원자로 정지할 상황이라면...
대규모 창정비시에는 상황에 따라 끄고 싶겠죠.
문제는 그게 불가능할테니 다른 수단을 강구해야 하겠지만요.
          
뜨Or 21-08-19 13:37
   
꺼야할 상황이 좋은 경우가 있으니... 과학자들도 이런 발상을 했겠지요..
특히 핵잠이 24시간 돌아다니는것 아님...
어느 한포인트에 짱박힐때...  원자력 끄고...
전기모터를 작동시키는게 훨씬 안전함...
손이조 21-08-18 23:00
   
액상금속이 장시간 통과할때 발생하는 문제가 숙제네요.
누구나 싫어하는 꾸준하고 지속적인... 가벼운 마모가 쌓여서 파괴가 일어나는 상황.
견디는 재료가 개발된다해도 불량율은 존재하는법. 어케 관리하느냐도 큰 숙제.

액상금속으로 수은은 안될런지
     
singularian 21-08-18 23:16
   
수은은 물리적으로 관리가 가장 쉬운 반면에 쉽게 증발 합니다. 수은 기체를 마시면 바로 수은 중독이 걸림. 잠수함에서 수은 증발 기체는 극 독가스 입니다. 수은이 증발만 안한다면 열의 이동에 있어 최적의 물리적 성질을 가진 액체 금속입니다.
일경 21-08-19 00:01
   
러시아도 원자로를 정지 시켜서 고장 난 경우가 많았습니다.

잠수함 원자로를 왜 끄냐 할 수도 있는데

어떤 무기도 365일 24시간 작전을 수행하지 않고 상시 가동하지 않습니다.

거꾸로 해군은 교대로 기지로 복귀하여 휴식을 취하는데 그 기간에도 상시 가동을 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또한, 모든 무기는 정비를 합니다.

정비를 위해 원자로 가동을 멈춰야 할 경우도 있습니다.

또한, 갑작스러운 기계 이상으로 가동을 중지 시켜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무엇이 됐든 납 비스무트 원자로는 원자로를 정지 시키게 될 경우 큰 문제가 생기고 이는 무기로서 안전성이 떨어진다는 의미입니다.
괴개 21-08-19 00:28
   
조립식으로 잠수함 앞쪽은 계속 재사용하고 뒤쪽 또는 아래쪽은 원자로교체나 창정비시 빌트인된 원자로를 포함한 동체를 통짜로 교체하면 어떨까요?
비용이나 여러가지 문제가 있기는 하겠지만 그냥 무작정 까보는것보다는 안전하지 않을까 상상해봅니다
이름없는자 21-08-19 00:59
   
저거 가동하다 멈추면 금속이 굳어서 원자로를 못쓰고 폐기해야 되는 모델인 거로 아는데...
그래서 이 방식 원자로를 쓰는 러시아 잠수함은 항구에서 정비중에도
전기로 액체금속을 데워서 계속 순환시켜 주어야 함.
러시아도 더이상 이 모델 개발을 하지 않는 거 보면 별로 미래가 밝아보이지 않음.
나그네x 21-08-19 02:46
   
그럼 항시 가동중일 경우 기관정비를 어떻게..
ㅣㅏㅏ 21-08-19 09:37
   
우리나라는 소듐고속로와 초고온가스로를 개발하고 있는 걸로 압니다. 일부에서 용융염로도 시작했고요. 소듐고속로는 성과가 어느정도 있어서 상업용을 개발하는 중이고 가스로는 개발단계고 용융염로는 아직 초기개발단계인걸로...
     
ㅣㅏㅏ 21-08-25 12:08
   
뒤에 좀더 알아봤는데... 울산과기대에서 초소형 모듈형 납 비스무트 원자로(LFR)를 개발중이더군요.
자연대류냉각식으로 10MW급 초소형 모듈형 원자로를 개발중이더라구요. 결과적으로 우리나는 소듐고속로, 납비스무트고속로, 초고온가스로, 용융염로도 개발 중이네요.
새끼사자 21-08-19 12:30
   
원자로 정지 시 액체 금속이 굳는 것이 문제라면 아마도 굳기 전에 뽑아내는 방식 즉 별도의 탱크가 있어서 정지와 동시에 그 탱크쪽으로 아직은 액체 상태인 냉각제를 밀어내버려 별도 보관하게 하는 방법은 안될까? 란 생각도 해 보게 되네요.
cjongk 21-08-19 18:38
   
원자로를 켜니 끄니 이상한 이야기하고 복잡한 생각 할 필요 없습니다.

납-비스무트, 소듐, 증식로 이거 들어가면 반대하시면 됩니다.


어떤 기술이든 여러번 시행착오 겪어가며 방법을 찾아서 안정하게 검증된 물건 개발할 수는 있죠.
그런데....원자로는 그 시행착오 나오면 범 지구적 오염을 발생시킵니다.
저 키워드들은 서구권에서 잠깐 찔러봤다고 상용화 실패. 잠수함 동력으로도 배치 실패한것들 입니다.
동구권에서 잠수함 동력으로 예전에 실전배치해서 과부제조기 했던 위험한것들이구.
러시아는 증식로를 상요화 시도한다고는 하더군요. 요거 얼마나 믿을만한지야.....각자 신뢰 측정하시구.

잠수함 원자로는 경수로 외에 대안을 찾지 마세요. 원자력 마피아가 머라 떠들던...두들겨 패시면 됩니다.
......그리고 원자력 동력 자체도 골치 아픈겁니다.
영국은 퇴역한 원잠 해체도 못하고 도크에 보관하느라 비용만 엄청 깨집니다.
원자력은......치명적 사고가 없었다는걸 전제해도 사용 끝난 뒤 처리에 무한한 관리 비용이 깨지죠.
반 영구적으로 관리해줘야 하거든요. 대한민국이 존재하지 않는 먼 미래까지....
해체 및 처리 기술을 발전시키면 달라질 수 있을지도.....그런데 우린 그 분야 아직 시작도 안 했거든요.
     
뜨Or 21-08-20 11:57
   
여보세요... 납-비스무트 원자로를 사용할려고 하는 궁긍적 목적이 뭔지는 아세요???
그냥... 왜 납-비스무트 원자로를 할려고 하는지 직접 찾아보세요..
그럼... 범지구적 오염, 사고로 인한 방사능의 치명적 사고 이런말은 경수로 한테 물어보시고요..
          
cjongk 21-09-18 16:56
   
에혀ㅉㅉㅉ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