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3-03-28 00:34
[공군] KF21 BulkHead 는 안녕할까?
 글쓴이 : zaku
조회 : 5,254  

 

1599129921231.jpg

1599129923186.jpg

1599129928522.jpg


동체 주요 기골인 벌크헤드는 고속비행 시 압력에 변형을 방지하는 뼈대인 주요 구조물임


 

589805_449852_2244.jpg


KF21 벌크헤드인데 보이는 바대로 Al... 그것도 기계가공


 800억대로 끊으려니 어쩔 수 없는 건 알겠는데

  


일단 가야할 방향은 알고 있어서 Ti 3D 프린팅 연구하고 있음


 DX Korea 보니 한창 연구 중이던데 양산형 낼 땐 어떻게 안되려나 싶음


  

확실한건 물라매 만들 땐 써야지 싶은데...


 아니면 F35B 꼬라지 나는거고

 


참고로 요즘 4.5세대이상 벌크헤드는 Ti 가 대세임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새우당 23-03-28 02:03
   
비행기 뼈대는 조각하듯 깍아 낸다더니만.. 진짜 였네 ㅎㅎㅎㅎ
벌레 23-03-28 02:14
   
판이나 봉형태는 단가인상을 소형의 크기보다 줄여주기 때문에 티타늄으로 앞으로는 제조되겠죠
당장 기술이 있어도 그 도입단가에 맞출 수 없습니다. 누가 제값 쳐주는 것도 아니고 일에는 순서가 있습니다
빅터리 23-03-28 09:45
   
물라매... 보라매를 까는 글인가?
     
merong 23-03-28 09:54
   
저는 KF-21N 으로 이해 했는데요.
문맥상 훨씬 기골이 튼튼해야 훅이라도 다는거 아닌가 싶네요.
          
경이파파 23-03-28 10:38
   
ㅎㅎ 금귀시네요.
               
빅터리 23-03-28 13:56
   
그런 뜻이였군요
부끄러워라
     
사다리공장 23-03-28 10:59
   
물라매는 해군형을 말하는거겠죠.
메니멀 23-03-28 11:38
   
그냥 간단히 설명하자면..

AI 라는건 알루미늄을 말하는 것임
Ti 는 티타늄을 말하는 거고..

하중을 근본적으로 버텨야 하는 벌크헤드는 내구성과 강도가 중요하기 때문에 …
비싸더라도 티타늄을 선택하는 게 좋기는 함

실제로 f-22나 f-35의 벌크헤드는 티타늄을 사용함
(다만, f-35의 경우는 모든 벌크헤드가 티타늄은 아님)

게다가 공군용보다 비교도 안되게 강력한 내구도와 강성을 요구하는 함재기의 경우 알루미늄 벌크헤드로 될까?
하는게 발제한 분의 의도임
     
archwave 23-03-28 15:09
   
함재기가 뭔가 대단한 것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은데..

티타늄 벌크헤드 쓰이기 전에도 알루미늄 벌크헤드로 함재기 잘만 만들었죠.

F/A-18E/F 의 벌크헤드도 티타늄이 아닐테고요.
          
zaku 23-03-28 18:28
   
함재기가 뭔가 대단치 않은 것으로 생각하는 것 같은데..

F18E 에는 Titanium 21% 쓰였고

대표적으로 동체와 윙을 고정하는 Bulkhead였음

함재기인 F35B의 Bulkhead crack 이슈부터 찾아보길..

본인의 희망말고 Fact를 가지고 써야..

물론 F18E의 Al도 31% 비중으로 중요도에 따른 사용임

그리고 Al 에서 Ti로 바꾸면 내구도에 유의미한 영향이 있지않은지?
               
archwave 23-03-28 19:30
   
부분적으로 쓰인 것이 아니라 전체적인 뼈대로 쓰인 부분을 벌크헤드로 생각해서요.

그런데 F/A-18E/F 는 부분적이라 하기도 힘들 정도로 티타늄 비중이 높아졌군요.

오래전 기종이라 생각했는데, 첫 비행이 1995 년.
F/A-18 이 1978 년.
디비디비딥 23-03-28 13:30
   
좋은거 다 때려넣고 가격도 몇배 오르면, 자위대 처럼 되는거 아닙니까?  1년에 1대씩 생산...
레이어드sl 23-03-28 15:03
   
아무래도 고성능 다품종의 소량생산이 많다보니 군이나 군수업체에서 3d 프린팅에 관심이 많다고 합니다.

단가만 해결되면 티타늄 벌크헤드가 상용되면 좋겠습니다.
기가듀스 23-03-28 15:38
   
예전부터 두랄루민은 항공기에 뼈대에 많이 쓰임.
잘 알고 잘 다룰 수 있는 검증된 자재를 쓰는게 뭐가 문제인지.
참고로 공개된 재료는 AL7050-T74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