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8-11-29 15:59
[사진] 연료탱크로 본 한국과 북한의 로켓기술 차이
 글쓴이 : 노닉
조회 : 6,618  


한국 연료탱크


북한 연료탱크


댓글 펌



군사적으로 성과물도 있고 현재 우리보다는 앞서고 있지만 기술적으로 뛰어나다고 하기에는 무리가 있음 기본적으로 기반기술이 부족해서 예전에 회수한 은하 잔해물을 분석하고 아 이렇게도 발사할 수 있구나 라는 느낌이였다고 함 한편으로는 성과물을 도출한것은 대단하다는 평가지만 냉정하게 타국과 비교하면 발사사업에 참가하기에는 문제가 많다고하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하나둘넷 18-11-29 16:38
   
자동차가 최고수준 고장력 강판 첨단 ECS  제어장치  뛰어난 연비의 엔진 내지는 전기구동 자동차가 아니더라도 일정수준 공업기술만 되면 굴러다닐 수 있는 자동차를 만들 수 있듯..

우리의 전후 시.발.자동차나 동남아 필리핀의 지프니 같은 것도 충분히 자동차로 굴러 다니죠.

세계최초의 비행기도 어쨌든 수십미터 수백미터 날았기에 비행기라 불리는 것 처럼 기준의 차이일 뿐이죠.

무식하게 투박해도 효율 무시하고 일단 멀리 쏜다는 관점만 본다면 일부 분야 기술이 떨어져도 발사체는 발사체인거죠.

다만 우리는 그런 걸 원하는 게 아니니 북한과는 접근이 다르고 효율성과 향후 상업성 확보를 위한 기반을 닦기 위해서라도 최대한 요즘 트렌드에 가까운 기술을 확보하려고 개발한 거고요.

마치 북한의 미그 21 과  우리 FA-50을 비교하는 거랑 같은 상황이고 전세계 시류가 5세대 6세대 전투기 개발하는 와중에 우리가 4.5세대 5세대 개발하는 상황인데 북한의 3세대 전투기와 비교하는 꼴이죠.

그러고선 북한 기술 죽여준다라고 감탄하는 상황이었죠. ㅋ
하나둘넷 18-11-29 16:52
   
로켓기술도 긴 개발역사 기간이  있어왔기에 요즘 로켓만 로켓이고 예전 구식기술의 로켓은 로켓이 아니라고 할 수 없듯  구식 기술에 효율성 포기하면 어찌되었든 날리는 것 자체만으로 고오급 기술이라고 하기 힘들죠.

그 구식 기술로 장거리를 쏘려니 가지고 있는 기술 안에서 해결하려면 덩치가 커지고 구조가 무식튼튼 구조여야 하고 엔진 추력한계 있으니 그 덩치에 비해 실을 수 있는 양이 적고..ㅋ

그에 비해 우리 로켓과 엔진은 최대한 가벼우면서 구조강성 확보하고 원형이 되는 참고 엔진이 비록 최신은 아니지만 요즘의 해석기술을 동원해서 되도록 효율 출력 내구도 등 확보하기 위해 독자개발했고 현시류에 맞게 75톤 엔진 이후 80톤급등 차기 엔진등에 쓰일 신기술의 기반기술도 같이 연구중인 상황입니다.

북한제 미사일이 멀리 날러봤다는 거 말고 딱히 우리보다 나은게 하나 없는데 북한기술 받아와야한다는 사람들 많았죠.ㅋ

마치 요즘시대에 일부 오타쿠들 빼고 별 관심도 없는 80년대 현대 스텔라 기술 가져와야 한다는 소리랑 진배없죠.
스워드 18-11-29 17:27
   
LNG 선박 저장고 격벽도 저런 형태로 가공 하더군요.
북측의 겸우는 아주 기초적인 강구조 보강방식이네요.
     
KCX2000 18-11-29 17:43
   
저도 그 생각햇습니다
LNG선도 초저온 상태의 액체를 외부 압력에 견뎌야해서 저런 구조겟거니 햇죠
근데 별거 아닌거같은 저런 알루미늄 굴곡구조가 특허까지있는 고급기술이란거죠
참치 18-11-29 17:41
   
이번 75톤 엔진 발사시험으로 이미 북한의 기술을 넘어 섰습니다.

국내발사체의 목표가 스페이스x 이니 만큼, 앞으론 발사체 재활용 기술과 엔진의 효율개선, 클러스터링 기술에 집중될 거에요.

이미 북한기술과 비교 불가 입니다.
누리호 18-11-29 19:01
   
별로 주목받지 않은 사실인데 우린 러시아로부터 앙가라 기본모듈(URM-1)을 통으로 입수했습니다.
엔진만 제외된 지상 검증용 기체(GTV)를 통째로 받았는데 이게 바로 앙가라 기본형이에요.
이걸 넘긴 러시아측 계약 담당자가 책임지고 해고됐다 하니 나름 횡재한 셈이죠..
앙가라를 기반으로 한 우리 1단 제작기술이 뛰어날 것임은 말할 필요가 없겠습니다.

미국 멀린엔진과 비교하면 미세하게 성능 차이가 있습니다만
우리 75톤급 엔진도 스페이스X가 주도하는 최신 사업모델에 최적화된 엔진입니다.
요즘 트렌드가 공정 최소화와 대량생산으로 제작 단가를 최대한 낮추는 거라
앙가라 엔진처럼 구조를 복잡하게 만드는 다단연소 기술은 필요없어요.

물론 그럼에도 우리가 미국과 대등하게 가격경쟁을 벌일 순 없을 겁니다.
미 정부의 기본 발주량이 워낙 많은데다 얘들은 재활용 기술까지 있으니까요.
하지만 미국측 발사체가 모든 위성발사를 다 처리할 수 있는 게 아니므로 가격경쟁력만 확보된다면
우리도 충분히 사업성은 갖췄다고 보고 있고, 이 경우 라이벌은 아마 인도가 될 거라고 합니다.
인도는 기이할 정도로 제작비를 낮추는 재주가 있어서 위협이 되죠.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78863&cid=58947&categoryId=58981

이렇게 경쟁력있는 KSLV를 북한 로켓과 비교하는 건 실례입니다. 어디서 본 표현인데
KSLV가 숙련된 장인의 솜씨라면 북한 로켓은 아마추어 대학생 졸업작품 수준이라고 하네요.
     
하나둘넷 18-11-29 20:10
   
ㅋ ㅋ
실엔진이 아닌 거 빠고 다 똑깉다고요?
정확히는 실 비행1단과 비교해서 엔진말고도
주요 시스템중 추진부 관련  하부도 목업에
가까웠는데 또 약파신다.

정확히는 러시아 제작 1단과 우리 제작 2단의
단 조립 테스트 및 1단 2단 사이의 체계 연동
신호점검 지상 이동 및 발사대 기립 부분 관련
시퀀스는 도움받은거죠.

누가보면 오해하게 ㅋ.ㅋ

1단부 GTV로 엔진 외 물고 뜯고 씹고 다 했으면

이번 누리호 시험발사체 개발 때 연료탱크 및 관련구조부
에서 그렇게 헤매서 8개월 개발 지연될 일 앖었어요.ㅋ
연료탱크 역시 그냥 생고생으로 개발했어요,

그리고 디단연소 엔진 개발필요 없다고요?
스페이스X가 안 쓴다고요?

말이야 방구야  스페이스X의 차세대 엔진인
랩터가 다단연소 메탄엔진입니다.

우리항우연도 기반기술 개발중입니다.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karipr&logNo=220893348866&proxyReferer=&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kr%2
항우연 공식블로그입니다.
          
하나둘넷 18-11-29 20:33
   
연소효율을 높이기 위해 다단연소를 개발하던
전기터보모터 사용하던 간에 차기엔진에 사용될
기반기술은 개발 중에 있고 개발결과
상단 추진체 킥모터로 쓰일지 하단 대추력에도
쓰일지는 개발된 엔진의 성능 내구도 사용목적에
맞게 취사선택할겁니다.

그리고 애시당초 발사체 재활용 구상으로 가면
회수 발사체중 엔진 내구도 신뢰성 검사가 확보되면
몇번이고 다시 쓰여야하는 게 엔진부인데

엔진효율을 높이는 신형엔진의 고난이도는 부차적
문제이고 스페이스X의 랩터엔진 역시 차차기 로켓에서
1단 재활용부에도 들어갑니다.
          
누리호 18-11-29 21:04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81&aid=0002274688
지상검증용 기체는 실제 러시아에서 조립하고 있는 1단과 엔진을 제외한 크기와 무게, 각종 전자장비 등 모든 것이 동일하다. 실물크기의 모형(목업·Mock-up) 엔진을 단 이 기체는 러시아에서 개발한 1단 로켓이 들어오기 전까지 실제와 같은 환경에서 나로호 발사 준비를 하는 데 쓰인다. 조광래 나로호 발사추진단장은 “지상 검증용 기체를 우리 센터에 남기는 문제를 두고 러시아와 실랑이를 벌였다.”면서 “우리 우주개발 기술 발전에 두고두고 보탬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81&aid=0002306007
양국 기술진은 원인 규명을 위해 파손된 고무 실을 갈아 끼우고 헬륨가스를 공급하는 시험을 3시간가량 수행한 결과, 어댑터 블록이 분리되는 현상을 발견했다. 이어 지상시험용으로 사용된 지상검증용기체(GTV)에서 쓰던 어댑터를 떼어내 동일한 조건에서 시험을 실시하자 어댑터가 분리되거나 헬륨가스가 새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 1단에 장착된 어댑터 문제로 최종 결론 내렸다.


약파는 게 아니라 진짜 실물과 동일한 기체이고, 러시아 측에서 넘겨주기 꺼려했던 거 맞습니다.
다른 기사에서도 확인 가능해요. 우리 기술진이 구체적으로 어디서 어떻게 애먹었는진 저도 알지 못하지만
설계도 보여주고 실물까지 건네도 직접 개발하면서 경험을 축적하지 않으면 터득할 수 없는 게 공학 분야라
그럴 것이라 짐작할 뿐입니다.

그리고 기술이 발전해 경제성만 확보된다면 다단연소 기술도 언젠간 탑재를 하겠죠..
미래기술로 지금부터 연구는 해야 하지만 현단계에서는 불필요한 기술이라고 말씀드린 겁니다.
그게 아니면 기술이 있는 스페이스x가 어째서 팰컨9에 개방형 엔진을 계속 쓰겠습니까?
랩터같은 재사용 메탄엔진이나 BFR은 미래에 적용될 기술이에요.. 너무 앞서가시는 거 같습니다.
너무 고깝게만 보지 마시고 그냥 이런 의견도 있구나 생각해 주셨으면 좋겠네요.
               
하나둘넷 18-11-30 00:16
   
하아  기껏 GTV관련 기사  가져온다는 게 저건가요?  예상했습니다.

저게 GTV가 실제 플라이트 모델과 엔진빼고 완전히 동일하다고 정말 전부 그렇다고 보는겁니까? 조광래 당시원장 입장에서야 비판 터지는 와중에 자기방어 해야하니 저런거고 정말로 도움이 되었다면 이번시험발사체에서 그런 고생 안했어요. ㅋ

그리고 저 어댑터가 추진기관 메인부인가요? GTV가 다 목업이라고 한 거 아닙니다.

랩터같은 엔진 미래에 작용하든 말든 지금 현재 개발 및 연소테스트 중인게 사실이고 주구장창 이야기하시는 첨단수준 기술은 지금 기반 기술 개발해야 차후 적용되는 거고 근 10여년 안쪽의 현실적 이야기입니다.

향후 발사체 시장 운운하시면서 다단계연소 사이클 엔진 등필요없다 이야기 하시는 시점에서 님글에 신뢰는 솔직히 힘드네요.

그리고 MTCR하 기술이전 가능 운운은 어찌 해명하실 건지요? 실무자들이 안되어서 스스로 하느라 힝들었다는데 아니라고 하실려고요? 그래서 러시아 기술 도움받았다고 이야기하고 싶으신거죠? 결론은..
     
새끼사자 18-11-30 00:40
   
멀린엔진하고 확연하게 수준 차이 가지고 있습니다. 멀린엔진 현재 90톤급 수준입니다. 터빈돌리는데 우리와 같은 수준의 연료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불필요한 연료 낭비도 우리보다 현저하게 적은 시스템이고요. 뭐 멀린엔진하고 수준이라면 10년이상의 차라고 보셔도 무방할 겁니다.
          
누리호 18-11-30 06:10
   
우리도 스페이스X처럼 경제성 있는 발사체를 가졌다는 걸 강조하려다 나온 표현이니 이해 부탁드립니다.
저는 현재 미국이 다른 국가들과 차이를 만들어내는 부분이 멀린엔진에 있다고 보지는 않습니다.
누리호 18-11-29 19:04
   
참고로 아무리 사업모델이 좋아도 첫단계부터 제작비를 바로 낮추진 못할 겁니다.
사업착수 단계부터 원가절감 노력을 해왔다고는 하지만
아무래도 첫 제작 시에는 가격보다 신뢰성 있는 부품을 우선하기 마련이거든요..
일본이 H2 에서 H2A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제작비를 크게 낮췄듯 우리도 한차례 개량은 필요할 겁니다.
워낙 사업모델이 좋아서 기대가 크지만 본격적인 가격경쟁에 나서기까지 시간은 좀 필요해요..
(리플 단다는게 수정을 눌러버려서 글을 다 날렸네요.. 다시 쓸까말까 한참 망설이다 기억을 되살려서 다시 씀 ㅠㅠ)
스크레치 18-11-29 19:17
   
기본 제조업 기술이 하늘과 땅 차이인데 당연한 일이죠

대한민국은 세계 5대 제조업 강국이고

북한은 경공업도 제대로 발달하지 않은 나라구요
쥬라기 18-11-29 21:48
   
조잡 하네요,  대충 만든  느낌, 그러나 날아는 가니까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새우당 18-11-30 09:20
   
연료통 무게 1톤 = 가격은 100만원
연료통 무게 0.1톤 = 가격은 1억
연료통으로써 성능의 차이는 없다해도 무게의 차이는 엄청난 결과를 가져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