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3-10-31 15:44
[밀리 역사] 포클랜드 전쟁이 향후 독도분쟁에 주는 교훈
 글쓴이 : 필립J프라…
조회 : 3,821  

http://blog.daum.net/rione30/17105969 블로그에서 퍼왔습니다.



포클랜드 전쟁의 교훈(계속)

 ●맹방도 믿을 수 없는 냉엄한 국제정치 현실 직시해야

 두 번째로, 영국이 가장 믿었던 맹방인 미국도 자신들의 우방국인 아르헨티나를 의식해서 확실하게 영국을 지원하겠다는 의사를 내비치지 못했다는 점이다. 당시 미국의 레이건 대통령과 영국의 대처 총리는 정치적 불륜(不倫) 관계라고 할 정도로 밀접한 우호관계를 자랑하고 있었다. 그렇지만 막상 사태가 발생하자 미국은 같은 우방국가인 아르헨티나에 대해 직접적인 제재(制裁) 활동을 하지 않았다. 또한 영국군의 무기지원 요청에 대해 당혹스러워하다가, 대처 총리의 직접적인 요청을 받고서야 무기를 제공하는 태도를 보여줬다. 이것만을 본다면 미국의 동맹국이라 할지라도 전쟁이나 기타 분쟁이 일어날 경우 미국의 역할은 한계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생각할 수 있다. 특히, 미국의 동맹국끼리 분쟁이 일어나면 미국의 역할은 상당한 한계에 봉착할 수도 있음을 포클랜드 사태가 대표적으로 보여준다. 더욱이 당시는 냉전체제의 경직성이 국제정치를 좌우하고 있었음에도 구소련이 영국 함대의 방어능력을 확인하고자 대표적인 친미국가인 아르헨티나에 위성사진 정보를 제공했다는 사실을 생각하면 ‘국제정치는 그야말로 냉혹하다’는 말을 실감하게 한다.

 ●우방국의 배신(?) 대비 평소 독자적인 작전·정보 확립 체계 유지해야 

 세 번째로, 영국의 최대 우방국이던 프랑스와 독일마저도 영국에 비협조적이었다는 점이다. 당시 영국 원정함대를 위협하는 최대의 적은 독일에서 건조한 209급 잠수함 4척과 프랑스가 수출한 엑조세 대함(對艦) 미사일이었다. 그러나 독일 정부나 제작사인 HDW사는 고객정보 보호라는 명목으로 전쟁 초기에 아르헨티나에서 운용하고 있는 209급 잠수함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제공을 거부했다. 영국 해군은 209급 잠수함을 상대하기 위한 작전계획을 독자적으로 마련해야 했다.

 프랑스는 자국이 제작한 엑조세 대함미사일의 아르헨티나 판매량은 물론이고 운용 가능성에 대한 정보마저도 제대로 제공하지 않았다. 게다가 영국의 셰필드(Sheffield) 함을 엑조세 대함미사일을 이용해 명중시킨 전투기는 다름 아닌 프랑스가 아르헨티나에 공급한 해군 전투기 슈퍼 에탕다르(Etendard) 공격기였다. 당시 영국은 프랑스에 아르헨티나군의 슈퍼 에탕다르 운용 수준을 문의했는데 프랑스의 대답은 아르헨티나군은 아직 슈퍼 에탕다르와 엑조세 대함미사일을 제대로 운용하지 못한다는 것이었다. 

 이러한 정보 때문에 영국은 엑조세 대함미사일에 대해 충분히 준비하지 않았으며, 결과는 큰 희생으로 이어졌다. 영국의 희생이 더 커졌던 또 다른 이유는 아르헨티나 해군이 운용한 엑조세 대함 미사일이 나토(NATO) 해군의 주력 무장이었기 때문에 영국 함정은 이를 우군 무기로 판단했고, 제대로 경보를 발휘하지 못했던 원인도 있었다.

 ●원자력잠수함은 원정 작전에서 탁월한 전투력 발휘

 ◇원자력잠수함의 높은 기동성은 초기 해상 통제권 장악에 유리

 포클랜드 전쟁을 통해 자신의 가치를 가장 잘 인정받은 무기체계는 영국의 원자력 잠수함이었다. 원자력잠수함은 임무 자체가 고도의 비밀에 해당하고, 수행한 임무들 중 상당수가 불법적인 것들이 많아 대외에 공개하기 곤란하기 때문에 정확한 평가를 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하지만 공개된 자료와 성과만으로도 원자력 잠수함의 전략적·전술적 가치와 능력을 충분히 평가할 수 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 번째로, 원자력잠수함의 높은 기동성과 무제한 항속거리에서 그 가치가 증명됐다. 원자력잠수함은 고속으로 이동할 수 있는 기동함대보다 빨리 그리고 가장 먼저 작전해역에 배치됐다. 영국은 포클랜드에서 위기가 있을 것이라고 감지한 3월 29일 제일 먼저 원자력잠수함 스파탠(Spartan) 함을 배치하기로 결정했고, 다음 날에는 슈퍼브(Superb)와 스플랜디드(Splendid) 함에 현장으로 출동할 것을 명령했다. 한편 디젤잠수함은 작전해역까지 이동하는 데 5주라는 긴 기간이 소요될 것이라고 예상돼 그 활용도가 낮게 평가됐다.

 이 점은 우리에게도 약간은 심각한 교훈을 준다. 말라카 해협부터 한반도에 이르는 광대한 해역에서 해상교통로를 보호해야 하는 한국 해군이 속력 느린 디젤잠수함으로 위기관리를 하는 것은 시간적으로 부담이 될 수 있다. 일본의 독도 점령 사태를 가정해 볼 때도 디젤잠수함을 투입한다면 어느 정도 부담을 안아야 한다. 속력이 느리기 때문에 현장까지 장시간 소요되며 이동 중 스노클을 해야 하기 때문에 일본의 대잠세력을 특별히 경계해야 한다. 그렇다고 디젤잠수함이 위기관리에 부적합하다고 단언하거나 판단하는 것도 부적절하다. 물론 디젤잠수함도 위기관리와 억제능력을 어느 정도는 갖고 있고, 상황에 따라 훌륭한 능력을 발휘할 수 있지만 어느 정도 부담도 감수해야 한다는 말이다. 

 완전한 위기관리와 억제능력은 역시 원자력잠수함만이 발휘할 수 있다. 게다가 고속으로 기동하는 한국형 기동함대와 같이 작전을 수행하려면 높은 기동력이 기본인데 이것도 원자력잠수함만이 가능하다.

 ◇원자력잠수함의 은밀성은 디젤잠수함과 비교할 수 없어

 두 번째로, 원자력잠수함의 은밀성이 돋보였다는 것이다. 영국 해군은 분쟁이 발생한 해역이 본토와 멀리 떨어져 있고, 그것도 평화적 해결 가능성이 남아 있는 곳에 항공기와 수상함을 함부로 투입할 수는 없었다. 노출이 되면서 위기를 증폭시켰다는 비난과 책임을 면하기 어려웠기 때문이었다. 이에 영국 해군이 선택한 것은 은밀성을 가진 원자력잠수함을 분쟁해역에 미리 배치하고, 군사정보를 수집하면서 다음을 준비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선택은 영국에는 바람직한 결과로 이어졌다. 실제로 영국 정부는 원자력 잠수함이 수집해 보고하는 정보를 갖고 주요 작전계획을 수립하고 집행했다.

 우리도 주변국과 군사적 문제가 발생할 때 수상함과 항공기를 투입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눈에 잘 드러나는 전력을 먼저 투입해서 사태를 악화시킬 수도 있고, 상대에게 불필요한 자극을 줄 수도 있을 것이다. 디젤잠수함을 투입하는 것은 수상함과 항공기보다는 탁월하게 은밀성을 유지할 수 있겠으나 현장에 도착할 때까지 시간상으로 답답할 것이고, 항시 노출될 때를 대비해 대응책을 고민해야 할 것이다. 

 이와 비교해 원자력잠수함을 보유하고 있으면 현장에 즉각 이를 투입할 수 있고, 고도의 은밀성과 장기작전 능력을 활용해 미리 적 함대가 활동하는 해역 근처나 적의 군항 입구에서 상대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공격을 결심했을 때 곧바로 상대에게 결정적인 타격을 입힐 수도 있으며 공격 후 발각됐을 때도 신속하게 현장을 이탈할 수 있다. 

---------------------------------------------------------------------------------------


이상과 같은 내용에서 우리가 나아갈 길이 확연히 보입니다. Five Eyes 의 하나인 영국에게도
저런 취급을 했다면,  한참 등급이 떨어지는 한국에게는 말할게 없어보입니다.
현재 미국에 있어서 일본은 거의 Five Eye 수준이구, 한국은 거기에 미치지 못하는 중요도를 갖고 
있는 상황입니다. 

중.일 조어도 분쟁이나, 차후 있을지 모르는 이어도, 독도 분쟁에 대비해, 우리가 준비해야 할 
게 뭔지를 보여준다고 생각합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어벙이 13-10-31 17:02
   
이글도 조금 과장된건데
1 경우는  우방이라 그런게 아니라    그당시  남미에 대한 미국에 입장때문에 그런거지만
 결국에는  영국에 손들어줫고

2 같은경우 아르헨티나에 개 젖같이 한거 다 알껀데  무기 수출 금지하고  정보 다 공유해주고



그리고 현실성 없는 핵무장은  윗동네  돼지친척임?
한번 비슷한거 할려다 걸려서 씹창난거 모름?
     
스캘 13-11-01 00:53
   
결국 영국 손을 들어주고 아르헨티나에 개 젖같이 했는데 한국과 일본을 영국, 아르헨티나에 대입해 비교하면 한국이 영국이겠습니까? 아르헨티나겠습니까? 미국한테 한국은 2순위입니다. 비교상대가 일본이라면 두 말할 것도 없죠.
아마 아르헨티나한테 한 것처럼 한국에 X 같이 굴 가능성이 크죠. 당장 역사인식이 개판임을 일본이 스스로 증명하는 상황에서도 일본의 재무장을 찬성하고 한국에 한일정보보호협정을 맺기를 요구하고 있는 게 미국입니다. 정신 좀 차리세요.

그리고 핵잠수함은 연료가 핵인 잠수함이라는 거지 무슨 핵미사일을 쏘는 잠수함 말하는줄 아시나요? 핵잠수함 얘기하는데 뭔 놈의 핵무장 운운하면서 윗동네 돼지 친척이라는 거임? 그럼 어벙님은 뭐 쪽발이 친척입니까? 닉넴값 좀 적당히 합시다.
drone 13-10-31 17:20
   
독도를 공격하는 행위는 영토에 대한 침공이므로 전면전 가야됩니다. 싫던 좋던...
다른의견 13-10-31 18:38
   
일단 원잠의 필요성은 인정합니다.. ㅇㅋ..
약간 다른 의견은 잘 읽어보면 흡사 원잠만이 최선의 선택처럼 적혀있는데요..

1) 원자력잠수함은 은밀성/정숙성에서 디젤보다 떨어집니다.
2) 아르헨티나의 디젤잠수함은  오랜시간 영국배를 괴롭혔고,,
    3발 모두 유효사거리에서 잘 발사하거나, 가까이 접근했지만 ...
    어뢰정비가 개판이라 함성과 접촉했음에도 불발내지는 발사불가였습니다.

    우리들도 정말 이런 일 있으면 안되겠죠.. 힘들여 접근해서 쐈는데 불발.. -_- ;;

3) 영국애들이 빡쳐서 2주간이나 뒤졌지만 결국에는 찾지 못하고 아르헨잠수함은 회항했죠.
    (이거 영화화 했으면 해요..ㅋ)

실제적으로 원잠의 기동성은 탐나지만,, 디젤도 나름대로의 강점을 가지고 있죠.
     
drone 13-10-31 19:28
   
요즘 전기로가는 전기차가 화두인데..

우리가 가지고있는 디젤잠수함을 개조해서 전기배터리로 가는 식으로 만드는건 힘들까요?ㅎㅎ

요즘 기술 발전속도보면 2-3년(?)이면 잠수함 운용할정도로 큰 용량도 가능하지 않을까 싶은데 말이죠 더구나 배터리 기술이 lg화학같은국내 기술업체들이 보유하고 있어서  유리할거 같기도 한하구요.
          
샤락 13-10-31 20:32
   
원래 잠수함은 베터리로 갑니다.
          
신상신발 13-10-31 22:16
   
209, 214 다 축전지 사용이요.
     
스캘 13-11-01 00:52
   
근데 우리나라 디젤잠은 시끄럽다면서요? 뭐 고친다느니 어쩌니 하는 소리는 들었는데 이후에 어떻게 됐는지 모르겠네요. 잘 수리해서 디젤잠답게 조용해졌는지 아니면 아직도 소음이 '나 여깄소~'하는 수준인지..
          
점빵알바 13-11-01 03:42
   
???
스캘 13-11-01 00:52
   
어벙이 <-- 이런 사람은 대체 왜 글 쓰는지 모르겠네. 뭐 아는 것도 없고 그저 미국추종 일변도에 밑도 끝도 없는 빨간 딱지 붙이기 ㅉ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