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2-08-24 17:14
많은 의견 부탁드립니다. (세종대왕급 이지스함)
 글쓴이 : 스마트MS
조회 : 3,364  





kd-3의 한국형 국산 이지스함.

세종대왕급. 이지스함의 화력. 수직발사관120개 이상이 장착되어 있어.

하드펀치를 지닌 강자의 면모를 보여주는 수상함입니다.

물론 놀라운 위력을 지닌 기종이긴 하지만. 반대로. 취약점을 생각해 본다면.

이  세종대왕급의 약점은 무엇이라 생각들 하시는가요?

1. 자함 방어는 가능하지만 함대방어는 힘들수 있다?

:초음속 대함미사일  대응을 위한 ESSM 미비함. 독자적인 위성정보체계를 운용하는 국가와는 달리.
미국의 위성과 데이터연동 관계(..거부 당했다는 설도)...함대의 정보지원도 힘들뿐더러. 미군의 의존도.
정보차단의. 족쇄가 될수도 있지...않을까...생각됩니다.

sm2블럭3 의 방공영역/요격 고도 는 sm3에 비해 부족한 점이 있으며.  가격대도 비싸고. 미/일이 판매의향이 있을지도. 의문이네요. 있다하더라도. 시스템 호환이 안되어. 이에 맞게 업그레이드도 진행해야 한다는군요.

뿐만 아니라. 화력집중형인지라. 이외로 대잠능력이 부족하다고도 합니다.
(함수 소나. 미/일 보다 성능이 약한 연안형 소나. 함미의 예인소나 역시.능동형 예인소나가 아닌. 수동형 예인소나 국산형.흑룡 이라고 합니다)

게다가 미국이 보유한 대잠전 정보. 음문데이터. 일본은 제공받지만. 한국은....제공 받지...(아시는분.)
대잠헬기의 성능의 차이.도 대잠전에 중요하죠.

골키퍼를 채용한 세종대왕함은. 생각외로 에러현상이 발생하는수가. 팰링스에 비해 많다고도 합니다.
(팰링스는. 채용.사용하는 군이 많아 개량이 많이 이루어져서 그렇다는 이야기도...아. 미군도 골키퍼를 제거하고 팰링스로 교체 진행중이란..).........골키퍼의 장점은 사거리와 구경이였지만..팰링스는..근래에 미사일 요격시험에서 성공했다는군요.(음속?)

레이더의 위치가 유럽 미/일등은 높은 지점에 설치하는데 한국은 낮다고 합니다.이에 다른 단점이 존재한다고 하네요...흠...

이런저런 방어적 능력부문의 취약점은 존재한다 생각됩니다.

2.수직발사관. 입니다.

한국형 이지스함의 수직발사관은 120개 이상이죠. 일본은 90여개 라고 합니다.

응? 한국이 더 많은데 무슨 문제냐고요?

으음...120이상의 발사관(셀)중. 40여개 이상은.국산 수직발사관입니다....덩달아서 한국 개발형 미사일만 장착이 가능하고. 미국형과는 호환이 되지 않는다는군요.

일본것은 1셀에 4발이 들어간다는데. 미국제 토마호크 가능한지 알고계시는분. (추가 설명 부탁드립니다.)
일본은. 크루져미사일을. 주일미군으로 부터. 지원받는것이 가능한지도.(알고계시는분)

.
.
.
.
.
뭐. 이글의 내용을. 미/일 짱조아  라는 글로 받아들이신다면. 오해가 없으시길. 미리 부탁드리겠습니다.

한국형 이지스함의 위용을 잘알고. 장점을 알고 있다면 보완 강화해나아가야할 부분. 단점역시. 직시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이 들어서 작성한 글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많은 추가설명 부탁드립니다.


덧글.
미군과의 위성 데이터 연동과 미사일 공급문제가 제일 의문이군요.


ㅡ출처:네이버 '아름다움' 님의 블럭ㅡ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호랭이님 12-08-24 17:17
   
이번에 단종되는 spy-1 레이더가 문제라면 문제겠네요. 더구나 이지스함이 중추 방공미사일함임에도 불구하고 돈이없어 달아놓은게 sm2 미사일이라는 것도 좀 그렇구요.. 일본은 sm3놓고 자국 방어중인데 우리는 고작 sm2...
동급의 알레이버크급 이지스함 보다도 못한 수준이라고 봅니다.
Greed 12-08-24 17:30
   
이. . . . 이 기세로 가다간 그냥 초비싼 미슬 구축함으로 전락해버리겠음. . .
누가 좀 아니라고 말해줘 ㅡㅅㅡ; ; ;
깔끄미 12-08-24 18:07
   
이순신급 방공능력 향상이 선결과제
스마트MS 12-08-24 18:39
   
많은 의견이 안 모이는군요..아하하하하
     
제르빙요 12-08-24 18:46
   
제생각인데 이거 누가 신랄하게 반박하면 짬통에나 들어가야할 내용같은데요;;
제르빙요 12-08-24 18:43
   
MD문제도 있는거같고.. 유언비어도 있는거같고.. 이지스와 관계없는 내용도 있고...
스마트MS 12-08-24 18:51
   
정확히 지적 추가 설명 보완해 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오류에 대한 정보 교환은 많이 이루어지길 바라는 생각인지라.ㅎㅎㅎ
(뭐 그래도. 짬통을 언급하시면서 말씀하시니 썩 좋은 느낌은 들지 않는군요.흠)
카라 12-08-24 19:12
   
1.ESSM가능안달렸다고 함대방어 불가면 개발되기 전에 미국 이지스함들은 죄다 깡통이였나요?
이지스함에 미국말고 자국 위성쓰는 나라가 있음?. 죄다 미국꺼 쓰지. EU에서 갈릴레오 작년엔가 발사된거 아님? GPS말고 항법체계 다른거 쓰는 이지스함이 뭔질 모르겠음. 일본이 음문데이터 수집하고 제대로 이지스함 운용하는데 10년 걸렸다는데 음문데이터를 미국이 넘겨줬다라.. 미국이 언제 골키퍼를 썼죠? 왜 자국이 개발한 팰랭스 놔두고 골피퍼를 썼을까나..??? 미사일 요격시험 성공이라... 미사일 요격이 월래 골키퍼,팰랭스가 하는일인데. 실패하면 그게 문제아님??? 둘다 수도없이 요격시험 성공했을껄요???
     
스마트MS 12-08-24 19:56
   
하하하 뜨겁네요.멘트가.
글을 읽어 보시면. 님께서 언급 하신 '불가' 라는 절대적인 표현은 하지 않았습니다. 힘들수도 있다 표현하였지. 방어적 불가라는 극단적인 표현은 하지 않았습니다. 오해가 없으시길 바랍니다.
"1.ESSM가능안달렸다고 함대방어 불가면 개발되기 전에 미국 이지스함들은 죄다 깡통이였나요?"  하하 누가 이지스를 강통으로 겁없이 표현할수 있을까요? 이 문구는 시대적 기준이 모호하지 않는건 가요?  대함병기의 발달. 방공능력의 향상의 흐름은  essm으로도 발전한 것이지요
말씀하신 미개발시기에는 당시에 적합한 대응체계가 있었을것이고 현대에 와서는 발전된 대응체계가 essm이 이쑈는것이지요. 현 체계에서는 essm의 성능이 더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이 되는군요.
근접방어체계 골키퍼. 흐음.  사거리와 대구경의 장점등을 지닌 좋은 병기이죠.
하지만. 미군의 추세는 골키퍼를 제거하고 팰렁스로 새로이 도입하고 있답니다. 성능도 예전엔 부족한 단점을 계속 업글레이드 진행하면서 말이죠. 뭐 FFX 사업의 인천급 부터 는 다시. 팰렁스를 도입했다는 점과.  팰렁스 도입국/골키퍼 도입국간의 비중을 생각해봐서도. 뭔가 더 장점이 많으니 사용하는게 아닐까요?
미사일 요격 실험은. 제글을 다시 잘 읽어 보시면 (음속)이라 적혀있을겁니다.골키퍼와 달리 개량진행이 꾸준하여. 음속미사일도 요격에 성공 음속미사일의 대응능력은 골키퍼를 상회하는게 아닐까요?
첨단 병기인 초음속대함미사일 2.25이상의 속도를 미사일에는 essm없이는 대응이 힘들다는점을 염두해 주실길 바람니다(ㅎㅎ 미개발 시절의 대함 미사일과 초음속대함미사일의 차이가essm의 탄생을 만든거라 생각되네요)지대함 이건 미사일의 고속정의 함대함 미사일이건 위혐이 존재하는 이상 이에따른 대응체계역시 충실하길 바람분입니다^^

음문데이터는 미국 입장에선 해군능력의 병기의 성능/수량등 한국과 비교해.일본이 해상전력적으로.높아. 미/일 간 정보의 교류 가 활발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였습니다.


sm2블럭3로는 북한이나 중국이 지닌 탄도미사이릐 요격이 힘든점도 알아두셨으면 합니다.


위성의 더이터 연동은. 미군 의존도가 높은 상황에서. 가상으로 한/일 모두의 연동을 차단을 하면, 한국에 비해 일본의 위성운용능력이 더 클거란 제 견해였습니다^^
(흠. 글을 전부 똑.바.로.읽으시지 않으셨나 보네요. 저도 분명 글의 꼬리에 의문을 표현했는데 말이죠.이건뭐.ㅎㅎㅎ)
카라 12-08-24 19:14
   
2. 세종대왕함 무기가 국산인데 당연히 국산쉘 장착해야 발사가 되겠죠?
함대함 ,함대지, 함대잠 무기 죄다 국산이외다.
일본 토마호크 장착안됨(평화헌법 위반-공격무기금지)
미군으로 부터 양도도 당근 안됨
카라 12-08-24 19:17
   
결론적으로 세종대왕함은 무장 충실하고 가격 저렴하게 잘 뽑은 함임.
방어상 문제 있을수 있다는건 모든 이지스 함이 그러함
이지스함이 모든걸 막을순 없음. 그래서 함대를 구성하는 거고.
이지스함은 그 함대의 눈이자 방패임. 다만 다굴 당하면 침몰하는거야 당연한거임.
일빠싫어 12-08-24 20:03
   
모든 무기가 그렇겠지만 100% 완벽이란 있을 수 없겠지요. 그치만 확실히 단점을 파악하고 그를 개량하던가 보완하는 작업은 필요하겠지요.
     
스마트MS 12-08-25 02:36
   
네 물론입니다.  좋은 말씀이십니다. 그 말씀처럼
지속적인 개량 발전 보완을 통해. 장점을 최대화 시키면. 단점을 최소화 시키는. 강군육성의 모습을
그려봅니다
참치 12-08-25 00:30
   
일본이 sm3 운용하죠?;;; 그럼 한국에서 죽창 사거리1000km탄도미사일 있다고 해도 효과는 의문인거임?? 뭐 없는 것 보다는 낫겠지만...

세종대왕함은 sm3 영원히 못다는 건가요?? 개수를 많이 해야하나요??
     
스마트MS 12-08-25 02:14
   
장착도 가능하면. 소프웨어 같은 시스템 업그레이드를 하면 사용가능하다네요
하지만. 사용할려면 md에. 한국이 참여하는 정치의 연장선상에서 움직임을 보여할거라는군요
뭐. 가격도 문제.
시스패로우 개량형인 essm도 여러번 교전가능한 물량을 장착하여. 강화되길 바라고도잇습니다
램도 좋고 골키퍼도 조은병기인 하지만. 뭐 그냥 개인적인 견해 일뿐이비다 ^^

탄도미사일 요격 방어는 개인적으론 회의적이라. 또 초보인지라^^ 쉽게. 에스엠3의 성능과. 미사일디펜스 완벽론에 대해선 말씀드리기가 어렵네요
야르쿄 12-08-25 00:35
   
국산 수직 발사관은 일부러 장착한걸로 알고 있는데요..
미국제 수직발사관에서 우리나라 기술로 만든 국산 미사일을 발사하려면 미국에 국산 미사일에 관한 성능및 기밀들을 알려주고 발사할수 있다고 해서 일부러 수직발사관을 국산화 하여 장착한걸로 알고있습니다.
저는 그렇게 알고있는데.. 하하
     
스마트MS 12-08-25 02:20
   
아 그렇군요. 그런. 개발상의 사정이 존재햇는지 미처 몰랏습니다. 추가 의견 감사합니다
저는. 마크41과 국산 발사기와 차이점이 잇어. 하나로 통일시키지 않고. 두종류로 나누어 운용하는줄 알고 잇어서 말이죠

미제 발사기. 셀을 만드는. 록히드마틴과의 연관성을 생각하지못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