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0-07-14 20:57
[잡담] 음 F-3에 대해서 재미난 생각이 났는데요.
 글쓴이 : 그린치킨
조회 : 2,623  

몇 년전에 F-3에 대해 이야기가 나왔을때 일본 정부 내에서 2가지 의견이 있었잖아요.

한쪽은 roc를 낮춰서 수출이 쉽게 가격을 낮추는 방안
한쪽은 roc를 높여 f-22 혹 은 f-35보다 상위 단계 기체를 확보하는 방안.

지금 일본이 하는 행세를 보니 후자인 f-22의 성능 혹은 그에 준하는 성능을 원하는거 같은데요..ㅇㅈㅇ

현재 일본이 f-35를 100여대 이상 구입을 할 예정으로 알고 있는데...
F-35가 유지 보수 비용이 비싸고 F-35를 사용할때 미국 때문에 함부로 띄우기 힘들다는 말을 들었는데(정확한지는 모르겠습니다.;)

일본이 이번에 만드는 F-3의 성능이 F-35에 준하게 나오고 이것 역시 유지보수비용이 상승해서 가동률이 떨어지면.... 일본은 어떻게 할까요??;; 돈 찍어 내는데 무서워 하지 않는 일본을 보니 그냥 운영을 할 것 같기는 한데요..ㅎㅎ

암튼 어떻게 운영하게 될지 궁금합니다.. 욕심을 거하게 부릴 것 같기는 한데 말이죠.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이케몬의혼 20-07-14 21:01
   
미국때문 함부로 못띄우는건 아닌걸로....다만... 비싸서...ㅠㅠ

그리고 니뽕은.. 잘만들던 못만들던 유지비용이 비쌉니다.

그래도 쓰는게 니뽕이고.. 그게 전통이니까..
     
그린치킨 20-07-14 21:04
   
아하 넵.. 미국의 영향으로 운영의 제약이 있다는건 아니 였나 보네요...

감사합니다..ㅇㅈㅇ
     
도나201 20-07-14 21:14
   
그게아닐걸요......

당장 연평도  당시 f15k의 운영에 미군의 허락을 받아야한다라는 국방부장관의말에
태클이 들어왔으니.....

어느정도  제약이 있는 것은 맞을겁니다.

특히 전략무기가 그냥 맘대로  전범국지위가 움직인다라는 것은..........
힘든상황이죠.

뭐 f2는 맘대로 운영을 하니.
          
달보드레 20-07-14 22:45
   
그건 전작권이 없어서 그런것 아님?
          
구름위하늘 20-07-15 12:00
   
연평도 관련 F15K 이야기는 처음 듣는데, 혹시 소스를 공유해줄 수 있습니까?
     
바람노래방 20-07-14 23:43
   
스텔스기는 함부러 띄우면 안되죠.
중국이나 러시아 정찰기들은 그걸 기대하고 굳이 도발성 정찰을 감행하는겁니다.

중국이나 러샤 정찰기를 제일 엿먹이는 방법은 f-4나 f-5처럼 정찰 할 가치가 없는 기체 내보내는 것이고
F-35내보내면 저들에겐 아주 아주 땡큐인거예요.

미국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전세계 f-35운용국에게 민폐 끼치는것임
booms 20-07-14 21:11
   
그정도면 그냥 운영합니다.. 돈이 비싸도 생산댓수를 적게하면서 조절하겠죠...

F-35급이라면 엄청난건데...
     
그린치킨 20-07-14 21:13
   
아 일본 정도는 그냥 운영하겠군요... 전 운영비가 비싸지면 비용 절감차원에서 다른 운영비 싼걸로 스크램블 돌릴꺼라고 생각했거든요..
메니멀 20-07-14 21:13
   
1. f-35가 미국때문에 띄우기 힘든 기체는 아닙니다
다만, 운영에 제약이 있는건 사실입니다. 당연히, 공개되거나 알려지지는 않고...알고 있어도 대외비이거나 비밀에 해당합니다
(과거 연평도 포격시 f-15k에도 이와같은 운용제한이 있다는(?) 국방부 고위인사의 언급이 사~알~짝....언론에 나왔었죠)
외국으로 보면...파키스탄이 f-16운용할때 제한이 있다는 사실도 공개가 된적이 있습니다

2. 일본의 무기가 견적이 비싸게 뽑혔을때 어떻게 할까?
이런건 그냥 과거의 사례를 보면 간단히 유추 가능합니다

f-2는 그 비싼 개발비를 치루고도 꼴랑 90여대 만들고 말았으며...f-16의 세배에 이르는 가격대로 도입했지만....어땠죠?  잘 써먹고 있죠?  개량애 개량을 거듭해 가면서...
그보다 더한 아파치는요?....우리나라 아파치의 3배의 비용을 들여 도입했지만....지금 잘 써먹고 있습니다
     
그린치킨 20-07-14 21:15
   
넵 말씀데로 될것 같네요.. 그래도 조큼 기대 했거든요.  가동률이 떨어지면 일본이야 좀 그렇겠지만 우리에겐 희소식이니까요.
          
메니멀 20-07-14 21:22
   
무조건 희소식이라고 하긴,,,좀 그래요

결국 일본이 개발한 무기가 우리에게 위협은 될수 있겠지만....
근본적으로 우리나라 보다는 중국을 겨냥한 무기고...
우리로써는 일본이 최대한 효율적으로 중국을 견제토록 하는게 훨씬 유리하죠

게다가 일본과 달리 중국은 우리나라의 실질적인 위협(육군이 직접 밝혔죠...아주 구체적으로 "우리의 최대의 위협은 중국 북부전구" 라고) 이기 때문에 일본의 무기가 지나치게 가성비가 떨어져도 좋을건 없습니다
               
구름위하늘 20-07-16 11:27
   
우리의 동맹은 미국이지 일본이 아닙니다.

중국에 대항해서 미국과 같이 하는 것이지
일본의 (아무리 적당한 수준이라도) 국방력 증대는 우리에게 큰 도움이 안돼고
오히려 도움이 되는 상태가 되는 것도 피해야 합니다.

적의 적은 친구라는 의도로 하시는 말씀같지만,
일본은 친구로 삼기에는 너무 위험한 놈이죠.
오히려 원교근공의 고사성어가 적합한 상황이고, 그런 의미에서 일본 군사력의 효율적 운용은 전혀 우리에게 좋은 것이 아닙니다.

"무조건"이라는 무시무시한 전제 조건을 달았기에 "무조건" 반대하지는 않지만
조심스럽게 잘못된 방향으로 생각하고 계신다는 점을 비판하고자 합니다.

중국 만큼이나 일본도 우리에게 실질적으로 위협이 되는 국가입니다.
역사가 말해줍니다.
케이비 20-07-14 21:56
   
일본은 현행 평화헌법 체제 아래서 전투기 수출 못 합니다.
지금 90대 양산 인수 계획 중인데 개발예산을 2조원 넘게 잡고 있죠.
수출해야 기체 생산 단가를 낮출 수 있는데...
단독 개발이 아닌 협력 파트너로
미국(상호 운용성 부문),
영국(신형 미티어, 엔진분야)의 업체들이랑 협력 추진중이라고 하네요.
     
TTTTTTT 20-07-14 22:13
   
ㄴ 무기수출은 평화헌법 하고는 관련이 없고 순전히 총리의 정책입니다.
          
구름위하늘 20-07-16 11:36
   
평화헌법 하에 명문화된 무기수출3원칙이 무기 수출에 제한을 가지고 있습니다.
헌법은 나라 법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는 것이고,
실제 실행은 법/행정명령 등으로 하는 것이죠.

참고로 공유: 무기수출 3원칙
사토 에이사쿠 총리가 1967년에 중의원 결산위원회에서 답변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다.
1. 공산권 국가에 무기를 수출하지 않는다.
2. UN 결의에 의하여 무기 등의 수출이 금지된 국가에 무기를 수출하지 않는다.
3. 국제분쟁의 당사국이나 분쟁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국가에 무기를 수출하지 않는다.

자위대의 축소와 더 확고한 문민통제를 시도했던 미키 다케오 총리는 사토 총리의 항목에 몇 가지 원칙을 더 추가했다.
- 3원칙 대상 지역에 무기 수출을 인정하지 않는다.
- 3원칙 대상 이외의 지역에는 헌법과 외환및외국무역관리법에 의거하여 무기의 수출을 자제한다.
- 무기 제조 관련 장비는 무기에 준하여 처리한다.

첫번째 3가지 원칙만으로도 무기수출이 가능한 대상국가나 지역이 대폭 축소되며
두번째 추가 원칙에서는 그 이외의 지역에서도 "자제"한다고 되어 있음.

아베는 이걸 무력화하는 작업을 진행 중인 것이고요.
헌법에 따른 정책이고, 그 정책을 되돌리기 위해서 평화헌법을 수정 중인 일본의 현황에 대하여 너무 무지한 발언입니다.
사통팔달 20-07-14 23:17
   
일본무기 수출은 예전엔 무기수출3원칙때문에 수출 못했죠. 아베정권때 방위장비이전 3원칙으로 바꼈고요.국제 조약 유엔안보리 결정 위반국가 분쟁당사국엔 수출안함,평화공헌 국제협력 일본 안보에 도움되는 국가에는 가능,목적외 사용이나 제3국에 이전시 일본에 허락받아야됨.원래 최초에는 공산국가, 분쟁당사국 분쟁날 가능성있는 국가는 금지였고 ,유엔에서 무기 수출금지한국가는 안됨 세가지였죠.그런데 바뀐후에도 아무도 안사감.
수염차 20-07-15 04:56
   
일찍 기상햇더니 왜구관련 게시글이 올라왓군요....
심플하게 생각한다면....
팔릴만한 가격으로 쓸만한 전투기를 생산한다는건 무척 어려운일이죠.....
고가격 고품질보다 더 어려울수잇다 생각합니다...

전자를 수행할 능력이 없으니....세금이나 삥땅칠려는 의도아닐까요....
어차피 안될거 아니까요....

F3폭망하면 다음 세금탈루 수단으로 건담이나 마크로스를 개발하겟다고 주둥이질하겟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