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1-01-18 17:46
[공군] 질문)전투기 레이더 성능
 글쓴이 : 뽀치
조회 : 2,433  

제가 본자료에의하면 f22나 f18보다 일본 f3a나 f2레이더 탐지거리가 길더라구요 우리전투기는 생각보다 많이낮던데 kfx도
그렇구요 작전범위가 짧아서 그런건가요?

근데 그림자료는 어케 올리나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검독수리 21-01-18 17:51
   
탐지 정확도와 사격용 추적거리와 동시추적 갯수도 중요합니다.
뻥스펙이 하도 많아서...걸러 들어야...
군사기밀이라 완전 정확하게 공개하진 않죠...누구 좋으라고...
축구love 21-01-18 17:55
   
군기밀을
정확하게 모든걸 공개하는 나라는 없어요.
그러니 중국처럼 뻥스펙 과장광고를 하다가 개망신을 당하는 거죠.

수출용 아닌 이상 공개한 스펙들 다 믿을게 못됨
archwave 21-01-18 17:57
   
목표물이 레이더 전파를 얼마나 반사하느냐에 따라 탐지 가능 거리는 엄청나게 달라집니다.

레이더 전파의 반사 정도는 RCS 값으로 흔히 말해지는데,
RCS 가 1 일 때 탐지 가능 거리 얼마
RCS 가 2 일 때 탐지 가능 거리 얼마 ( 당연히 이게 더 김 )
이게 다 다르거든요.

적들이 갖고 있는 기체의 RCS 는 얼마이니까 우리의 레이더 탐지 거리는 얼마다 이런 식으로 말한다면 차라리 매우 현실적 기준이라 할 수 있겠고요.

기준이 무엇인가를 보고 같이 판단해야 하는 문제입니다.
뽀치 21-01-18 17:58
   
그렇군요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근데 그림자료는 어떻게 올리나요
폰으로는 못올리나요?ㅠㅠ
도나201 21-01-18 18:14
   
두가지 부분이 좋다라는 것입니다.

f2 를 예로 들죠.
얼마전 수해로 f2가 침수되서 개량작업을 할건지 퇴역을 시킬것인지...
하다가 결국 고쳐쓰기로 했지만 아직까지 창고에 쳐박혀 있는 상황입니다.

이부분을 근거로 들면 이게 왜 불가한지....
전부 미국에게 도움을 요청해야 하는 상황이기 때문입니다.

aesa레이더 최초장착기종이라고 하지만.
실질적으로 모든 sw는 미국에서 개발한 작품입니다.

거기에 화기관제장비역시 sw는 미국에서 전부 한것입니다.

결국 미국에게 손벌려야 한다라는 소리죠.
그럴바에는 f35a 조기 구매가 더 답이라는 소리입니다.

그것 뿐만이 아닙니다.

레이더의 성능은 크게 두가지요인이 있습니다.

1. 엔진의 성능 과 제네레이터
2. 레이더의 sw

근데 저 두가지 문제가 전부 미국과 연결이 되어 있다라는 것이고,
f2의 경우는 일본외에는 사용하는 국가없고 생산수량도 극소수량이라서......
단가가 천정부지라는 것입니다.

아마도 고치는  비용이 f35a 구매비용과 비스무레 한다라는 이야기죠.

거기다가 sw 관련비용은 배보다 배꼽이 더큰 경우고,

대함미사일 운용때문에 확실히 제네레이터가 고성능으로 미국에서 지원한 부분입니다.
이건 일본에서 무진장 탐내하던 물건이기도 하고,
이건 기술이전품목도 아니고,

이를 보고서 죽어라 만들고 있지만, 아직까지 제대로 연구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확실히 터보제트엔진의 기술력은 우리나라보다는 낫지만,

유럽의 타이푼보다 못한 엔진이라는 것은 확실합니다.
그리고 엔진개발에 난항도 많고,
의외로 시간지연도 되고해서 ......거기에 이제는 미국의 지원이 끊긴 상황입니다.
엔진개발은 절대로 미국이 기술이전해주지 않습니다.
그어떤국가에게도 말이죠.

그러나 현재 나온 성능은 뻥스펙이 확실히 있는 것은 맞지만,
실제적으로 그다지 밀린만한 성능은 아니라는 것이죠. 

그후 몇년뒤 f22가 나왔으니.  그다지 좋은 성능이 아니라기보다는
이미 그걸 투자한 상황에서 미국은 그대로 보고 성능개량을 충분히 테스트하고 연구개발했다라는 것이죠.

f3는 아직까지 페이퍼플랜일뿐인 기체고,

거기에 심신실증기는 엔진에 대한 테스트인데.....전혀 신통치않아 보입니다.

그엔진이라면 레이더 출력이 안나와서 그다지 좋은 성능을 내지 못할것으로 보여집니다.

현재 kfx 의 f 414ee  엔진을 장착한 kfx 를 본다면.
대충 레이더 탐지거리가 나옵니다.

대부분 레이더성능이 aesa레이더에 국한된다고 생각하지만,
실질적인  부분은

aesa 레이더.
엔진 제네레이터
화기관제 sw

이 삼박자가 맞아야 하는 물건입니다.

f2의 탐지거리가 긴이유는
바로 해상전용기라는 이유 때문입니다.
산악지형에 관한 sw는 전혀 없다라는 것입니다.

해상에 관련 대함미사일체 발사하기 위해서 탐지거리는 당연히 길수 밖에 없는 것이고,
해면반사에 관한 sw 를 장착해서 해상에서는 탐지거리는 길수밖에 없다라는 것이죠.

그리고 공대공 능력은 사실상 거기서 거기 이거나....  밑도는 수준일것입니다
이미 시간이 십여년이상이 지났는데...
그때물건이 지금보다 나을리 없기 때문입니다.

특히 aesa레이더의 질화갈륨소재가 다른데......
그게  우리가 탐지거리가 짧다고 나오는 것은
엔진에 대한 제네레이터 문제가 걸린것은 사실인것 같습니다.

최소한 자국의 fa18e 이상이 되면 힘드니.....이부분은 은근히 성능축소를 시켜서 수출할 부분이기도 합니다.
뭐 현재 우리나라에서 제네레이터를 개발했다고는 하나 ..
이건 앞으로도 성능개선이 계속해서 필요한 부분이고,

거기다 이번 kfx 성공적인 배치가 되면  sw 부분은 우리가 한수위일듯이 보여집니다.

그렇지만 해상에서의 교전에서는 사실상 성능상으로 비슷비슷 할것으로 보여집니다.

다만 f22 보다 길다라고 한것은 바로 해상과 육상의 차이때문에
그에 대한 sw를 둘다 장착하고 있다고 봐도 무방할것입니다.

아마도 더 길게 발표한 것은 바로 해상탐지거리가 더길게 나오니
그부분을 이야기한 것과  일반 공대공능력하고는 또 다를 것입니다.
     
뽀치 21-01-18 18:31
   
그렇군요 정성글 감사합니다
작전목적이나 지형에 따른 sw 부분이 컸군요
전투기가 국가기술에 총의라는게 뼈저리게 느껴지네요ㄷㄷㄷ
벌레 21-01-18 18:23
   
상대편과 상대적인 원리라 내 기체 기준 상대방 어느 기종의 어떤 스펙인지 대입해야하는데
하는데....,, 상대편 정보를 알기도 어렵고 내 정보를 정확하게 발설하는 바보도 없고...
수출형은 그래서 다운그레이드하던지 하는 이유죠.
수염차 21-01-19 23:15
   
일본건 믿고 거르세요......
기술의 일본???
야동의 일본이죠.....그게 팩트죠

현존 최강의 레이더는 미국의 AN/APG-77 랩터용입니다.....T/R모듈 2000개의 헤비급 AESA레이더죠
F16급 피탐성을 가진 기체를 200KM이상에서 탐지가능한 레이더죠....그 외 부수적인 능력도 취강입니다
동급의 최강 레이더 역시 미국의 AN/APG-82 F15E용입니다....

레이더의 성능은 레이돔의 크기와도 밀접합니다.....헤비급 전투기라야 레이돔이 클것이고
그래야 헤비급 레이더를 장착할 공간이 마련되겟죠

물론 탐지거리는 출력수와 밀접하나....아무레도 큰 기체에 좋은 레이더가 장착되는법이죠
엔진의 출력역시 랩터나 이글이 발군이니까요....

F2는 F16파생형입니다....단발엔진에 로우급 전투기가 무슨 대단한 레이더가 장착이 되겟습니까....
일본의 AESA레이더가 뛰어나다면 진작에 여러나라에 수출되엇겟으나.....판매실적 제로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