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1-06-11 08:06
[영상] 세계최초 _1.밧데리(Hybrid_폭발위험성 없다.3배효율) 2. 렌즈
 글쓴이 : 조지아나
조회 : 2,657  



 최근 기사화된  국방분야 적용 가능한  신기술들 입니다. 



 2.  하이브리드 전해질 소재 개발 'Energy Storage Materials" 온라인 게재 
     ;  리듐이온 밧데리의 단점은 폭발 위험성, 전고체 밧데리의 장점은 폭발위험성이 없다.
        전문가들  전고체 밧데리가  상용화 되기까지는 2028년 ~  2030년  예상 
        신개념의  하이브리드 밧데리   세계최초  신기술 개발 ( 유기+ 무기  화합물)


     1. 푹발위험성이 없다 
     2. 충전효율이  리듐이온 밧데리의 3배 (충,방전)
        -  순간적 많은  전기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AP(보조 전원장치).  레이저,  전열 화학포에   적용하기 좋은것 같군요.

     3,  기존 밧데리 제조 설비를 활용 생산 할수 있다.   
     4.  대량 생산 가능하다.  

     https://www.youtube.com/watch?v=LEQNuJhkJKI
    
    2021. 6. 10

 3.  인버터블 마이크로 렌즈

      개인휴대용 콘텍트 렌즈  -  2.0 시력  
          -  적용가능 분야 -  안경 , 소총 렌즈,  광학 과학기술 etc 
          
       
      군사장비 측면에서,  레드백에 적용한  아이어 비젼에 적용 가능성? 어떨까  생각해 보게 됩니다. 
      레이져 무기에 적용 가능성 어떨까? 도 생각해봅니다.
      거리에 구애받음없는  가변적 렌즈의 특성을 가진다면, 돋보기 처럼 빛을 모아서  보낼수가 있지요. 
  
  
  set playing point  2분 30초 이후~  
    
    2021. 3. 15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개구신 21-06-11 09:30
   
베터리 관련 신기술 개발은 그냥 걸러듣는게 맞음.
이제까지 온갖 신소재로 기존 베터리의 몇배에 폭발위험이 없고 어쩌고 거진 한달에 한번꼴로 기술발표가 있었는데,
100퍼센트가 상용화 못됨.
실험환경에서만 구현 가능한 기술이거나,
동일실험을 수백번 반복할때 한번 딱 나타난 현상이거나,
매우 희귀한 자원이라 생산은 커녕 실험재료 구하기도 어렵거나 한 경우가 전부였음.
밀덕달봉 21-06-11 12:44
   
배터리는 생산성이죠.
리튬 인산철 배터리를 테슬라 선호하고 중국서 생산해서 장착하는 이유가 다있음.
우리나라 리튬폴리머 리튬이온 배터리 생산하려고 해도 니켈,코발트 킬로그램당 가격도 높고 생산도 꾸준하지 않아서 대량생산이 힘듭니다.
삼성이나 다른업체들도 이미 전고체배터리 개발했지만 대부분이 제조방법이 너무 복잡해서 대량생산에 부적합하거나 소재가 희귀해서 대량생산이 불가능해서 대부분 인공위성같은데에만 제한적으로 쓰였습니다.
배터리의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얼마나 지구상에 흔하게 존재하는 물질로 만드냐입니다.
수소스택도 마찬가지죠. 희귀금속으로 만들고, 대부분 10만 킬로 이상 넘어가면 스택 효율이 확 가버리니.
이걸 뛰어넘는 기술 개발하면 그야말로 돈방석에 앉는 겁니다.
     
조지아나 21-06-11 13:31
   
그래서,  저도 해당 신기술에 어떤 재료가 쓰이는지 궁금하더군요.
 경제란에  소재에 대해 궁금하다고  개인적으로 언급하였습니다.
 해당 신기술은,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고  언급되었는데.. 소재의 희귀성 유무도 고려한 언급 아닐까? 생각 합니다.
 
  해당 신기술  세부내용을  확인, 검토해볼만한  사안 이라고 생각합니다.
조지아나 21-06-12 01:07
   
상단의 컨텐츠 영상은  한국전자 연구원 ETRI (한국  전자 연구원)  하이브리드 전해질 밧데리 라면

 최근  한국 전기 연구원  KERI 에서는  황화합물  전고체  전해질 밧데리 을  개발했다고 나오는군요
 세계 최초 전고체 밧데리  https://www.youtube.com/watch?v=j9RbDOfEYQc

2021. 3.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