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2-11-29 06:00
[영상] 나무 많은 산악지형 특화 덕트 비행.
 글쓴이 : 정의기사
조회 : 3,733  



장점만  존재. 

더 이상   나뭇가지에  걸려   추락하는 경우는 없길... 



덕트 비행 장점:   프로펠러  바로 아래로  동체가 없어 양력 방해가 없다.



덤으로  손쉬운  이젝션. 
Ejected GIFs - Get the best gif on GIFER

앗,  가져와보니...  
위 A10기에도  덕트형 프로펠라 엔진이...


항상 미국이 먼저 개발해야~  따라 개발하는..   따라쟁이  조선인  마인드 버리자~ 이젠. 

그 전에는 무조건   안된다 타령 .  -_-






<때마침,  내 예견대로, 오늘 아침뉴스.>

20221129_073627.jpg

20221129_074143.jpg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bluered 22-11-29 07:10
   
웽???? 언제부터 A10이 프로펠라 엔진..... ㄷㄷㄷㄷㄷ
     
정의기사 22-11-29 07:39
   
엔진 내부에.. 압축 프로펠러 더미.
          
archwave 22-11-29 08:00
   
램제트엔진이 아닌 이상 다 마찬가지임. 프로펠러/팬들이 왕창 들어가있죠.
          
archwave 22-11-29 09:52
   
애들 앞에서 냉수도 마시지 말라는 말이 왜 있는지 알겠다.

내가 쓴 글에서 덕티드팬 쓴 항공기도 있긴 있다고 했더니, 오만거에 다 갖다붙여보고 싶어 난리군.

A10 은 확실히 제트 엔진임.

제트엔진과 프로펠러 엔진의 차이는
추진력을 프로펠러가 밀어내는 공기로 얻는다면 프로펠러 엔진.
연소가스로도 추진력을 얻는다면 제트 엔진 종류. ( 일부 추진력은 프로펠러로 밀어내는 공기로 얻는다해도 역시 제트 엔진 부류임. )
               
ravana 22-11-29 13:49
   
과학을 배척하는 사람보다.. 이렇게.. 과학인 척 하는 사람이 더 위험.. 멀리하세요
부르르르 22-11-29 08:22
   
무리수
카로스 22-11-29 09:04
   
어휴 덕트무새.. 이거 차단 안되나
노세노세 22-11-29 09:12
   
아무리봐도 전기로하는 게 아니라 엔진 들어 간 거 아닌가요?
ional 22-11-29 09:41
   
이 사람 눈에는 동그란 아날로그 시계도 틸트덕트로 보일듯
덕트빌런 ㅋㅋ
archwave 22-11-29 09:44
   
그러고보니 그냥 흘려봤었네.

[ 덕트 비행 장점:  프로펠러  바로 아래로  동체가 없어 양력 방해가 없다. ] --- 틀린 얘기.
덕트가 있어서 그런 것이 아니라, 그냥 프로펠러 위치가 그러니까 밑에 동체가 없는 것임. 덕트 없어도 마찬가지.

저 비행 오토바이는 그냥 쿼드콥터 형태이고 프로펠러 주위에 가드 용도로 덕트 붙여놓은 것.

저 아래 글의 댓글에도 썼지만, 거의 대부분의 경우 덕트는 그냥 프로펠러 보호용이라고 생각해야 함.
     
뜨Or 22-11-29 15:08
   
엔진의 추력편향노즐을 통한 추력 (양력) : 18,000 파운드 ( 8.1647 톤 )
엔진의 압축팬축에서 얻어낸 29,000 마력을 전달받은 동체 앞쪽 리프트팬에 의한 추력 (양력) : 20,000 파운드 ( 9.0718 톤 )
엔진의 압축팬에서 나오는 공기를 양날개쪽 분사구로 보낸 것에 의한 추력 (양력) : 좌/우 각각 1,950 파운드 ( 0.8845 톤 ) 씩

추력 (양력) 총합계는 41,900 파운드 ( 19.0055 톤 ) 에 달하지만, 내부연료만 채운 기체 무게 21 톤 가량에도 미치지 못 하기 때문에 수직 이륙 능력은 없는 것으로 간주되고요
==============================================================
여기서...
1. 엔진의 압축팬축에서 얻어낸 29,000 마력을 전달받은 동체 앞쪽 리프트팬에 의한 추력 (양력) : 20,000 파운드 ( 9.0718 톤 )      X(곱하기) 2  or  X(곱하기) 3  은 어떨까????
왜?? 엔진의 압축팬이 하나로만으로 단정을 할까???  날개폭을 좀더 늘리고 압축팬을 양날개쪽에 하나씩 가져간다면... ( 효율적으로 본다면 3개까지 가능한것 같은데...)
2. 그래핀소재의 대량 생산으로 인한... 본체 중량의 감소

아래에 그렇게 좋은글을 가져다 오고서... 겨우 그 해석을 이렇게 까지 밖에 못하는 당신이 답답하오..
매번 당신을 보면 기존의 책은 졸라 열심히 읽지만... 그런 지식을 활용 못하는 눈을 가진 당신이 정말 갑갑하고 안타깝소..
EX) 팬이 3개이상이 나올수 있다라는건 이해가 되는교????
          
archwave 22-11-29 15:37
   
[기타] F-35B 를 통해 본 덕티드팬의 능력 ( http://www.gasengi.com/main/board.php?bo_table=military&wr_id=736377 )

제가 쓴 위 글은 어디서 퍼온 것이 아니라 모두 제가 쓴겁니다.

위 글에서 [ 여기까지만 보면 SF 영화에 나오는 양 날개 가운데 각각 덕티드팬 넣은 전투기들이 종횡무진할 수 있을 것 같은데, ] 라는 문구가 바로 님께서 말씀하신 팬을 2 개, 3 개 이상으로 넣을 경우를 말하는겁니다.

이미 님께서 말씀하시는 정도는 제가 다 고려해놓은 것이고, 현실성도 없는 것을 미주알고주알 말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대폭 생략한 것이고요.

날개에 팬을 넣는 것은 F-35B 의 덕티드팬으로는 문제가 있죠. 직경은 괜찮은데 높이가 너무 높음. 높이는 대폭 줄이고 직경을 늘리면 괜찮죠. 이런걸 양 날개 각각 하나씩 넣으면 SF 영화에서도 볼 수 있는 그런 형태.

문제는 이런 식의 것으로는 (고도에 따른 공기밀도 문제) 이착륙 순간에만 써먹을 정도만 나올 수 있고, 팬 위/아래로 셔터를 다는 구조라야 고속기동에서도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겁니다.

F-35B 도 수직이착륙 때문에 희생하는 것이 많은데, 이런 구조로 만든다 ?
Augustus 22-11-29 11:05
   
따라쟁이 조선인 마인드? 저번부터 단어 선택이 참.
무한의불타 22-11-29 13:00
   
"따라쟁이  조선인  마인드 버리자~" 이 새.끼 2찍 토왜 넘 이였구나...
     
정의기사 22-11-29 18:25
   
조선인 엽전 마인드가.. 

남이 생각하는 건 무조건 까고 보다가..  우월한 존재가  그걸 만들면.. 존나 빠는  너같은 특성이 있어.
          
부르르르 22-11-30 01:01
   
조선이 어떤 나라인 줄은 알고 씨부리는 거?
새끼사자 22-11-29 13:46
   
덕트 팬 연구가 한 두 해 이루어 진 것이 아니라 벌서 60여년 동안 연구가 진행이 되어 왔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상용화가 안된 건 그만한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지요.

지금 위에 이야기하고 있는 부분이 덕트 팬의 장점이라면 덕트 팬의 단점은 시속 200키로 이상 되면 효율이 급격하게 떨어진다는 점입니다.

덕트 팬이 효율이 좋다는 말은 저속 상태(보통 180키로 정도)에서 같은 크기의 프로펠러에 비해 효율이 좋다는 말이 확대 해석된 것으로 보시면 됩니다.
오히려 덕트라는 구성품 때문에 프로펠러 크기를 키우기 힘들어 지고 같은 크기의 프로펠러에 덕트를 구성하면 오히려 페이로드 페널티와 항력이라는 어마 무시한 단점이 위에 언급된 장점을 다 없는 것으로 만들 정도로 커진다는 점이지요.

물론 지금 그 단점들을 해결하는 연구가 계속 진행이 되고 있고 오히려 덕트 팬이 아니라 다이슨 선풍기 같은 형태의 브레이드리스 항공기와 드론 연구가 더 흥미진진합니다.
     
정의기사 22-11-29 18:24
   
그만  추락해  죽으라고요.    헬기 조종사 다 떠나겠네.  니밤.
구름위하늘 22-12-02 09:25
   
장점만 있다는 첫 문장에 좌절.

세상에 그런 것 없음.
종교에 미친 광신자나 철학에 미친 몽상가에게나 가능한 것.
대부분의 장점은 극대화 할수록 연결된 단점도 늘어납니다.
결과적으로 적당한 수준으로
다수의 장점과 다수의 단점이 복합적으로 연결된 것만 남아있습니다.
연구는 그중에서 단점을 가능한 줄이면서 장점을 살리는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개발은 그걸 크게 회손하지 않는 방법으로 대량생산을 하는 방법을 찾는 것입니다.
시장은 그 장점과 단점을 가격과 매력을 함께고려해서 선택하는거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