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구)유머 게시판[1] [2]
HOME > 커뮤니티 > 유머 게시판
 
작성일 : 18-11-16 03:44
[유머] 역대급 불수능 TOP3
 글쓴이 : 노닥거리
조회 : 5,115  

https://i.imgur.com/1QUxGuP.jpg

.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끄으랏차 18-11-16 06:59
   
사실 2등은 98수능이죠.
문제는 97수능이 너무 어려웠기 때문에 98수능은 상대적으로 쉬운 수능 취급을 받아 언급이 안되는거지.
     
엘리프 18-11-16 19:53
   
95수능임.
다른 세대는 수능만 보면 끝임. 끝.
.
94수능은 연 2회 중 잘 나온 것 중 하나를 제출하면 됨.
근데 이게 95로 넘어오면서 연 1회로 바뀜
그리고 수시 빼고는 정시때 본고사 부활...ㅋㅋㅋ
ㅅㅂ.
근데 또 이게 96때 본고사 폐지...ㅅㅂ ㅅㅂ ㅅㅂ
고로 전
수능 + 본고사 + 논술 + 면접 콤보임.
수능은 11월에 1번 보고,
본고사 부활해서 1박 2일로 시험 치름... (1월에)
1박 2일이여...
첫째날 국어(2시간) + 수학(3시간, 울 학교는 7문제 커트라인 3문제)
둘째날 영어(1시간) +물리/화학/지구과학/생물 중 물리, 화학 택 1 선택, 지구과학/생물 택 1 선택(과목당 1시간) + 논술(1시간) + 면접
즉, 물리/지구과학 or 물리/생물 or 화학/지구과학 or 화학/생물 이렇게 선택됨.
1박 2일 셤 함 쳐봐라...
          
끄으랏차 18-11-16 21:17
   
대입과 수능난이도를 착각하신듯 합니다.
97과 98수능은 본고사가 없어진 여파로 인해서 수능이 본고사까지 대체해야한다는 의미가 되어서 난이도 자체가 훨씬 올라갑니다.
거기에 점수가 400점으로 두배가 되고 점수배점에 여유가 붙어서인지 여러 시험적 성격이 있어서 기존의 문제지에 등장한적도 없는 새로운 형식의 문제들도 나왔었고. 과목수조차도 역대 가장 많았죠.
그런 지적이 나와서 결국 이후 수능에서는 선택과목 등으로 줄이게 되고요.

여하튼 대입의 난이도가 아닌 수능의 난이도로 볼때 97-98 순일거 같습니다.
               
엘리프 18-11-18 19:32
   
안 헷갈렸어요.
물수능이니 불수능이니 해도 그냥 하루면 끝이잖아요.
물론 지금도 논술 시험이 있긴 하지만.
본고사처럼 1박 2일 시험 안 보잖아요..ㅠㅠ
                    
끄으랏차 18-11-19 11:28
   
그러니까 대입이랑 수능을 착각하시는거 같다니까요.
본고사 와 수능은 별개예요.
수능난이도를 얘기하는데 본고사가 왜 자꾸 들어오는지 모르겠네요.
수능자체의 난이도를 말하는겁니다.
본고사나 면접, 논술 등 그 외의 조건을 비교하는게 아니라요.
그건 대입시험 전체의 난이도죠.
본고사 세대시면서 왜 수능 = 대입 이라는 개념을 가지신건지
마시마로5 18-11-16 09:07
   
95수능 150/200 에 상위5%였음. 소싯적 학원 강사하며 느낀건데 98년까지는 어려움위주. 그후는 성격이 좀 바뀜. 편차가 골고루나옴. 97수능이 얼마나 안좋냐면 중하위권이던 후배녀석이 좀 잘찍었는데 의대 갔음.
     
별명없음 18-12-05 12:57
   
96 수능이 150/200이면 상위 3%였습니다.
골드에그 18-11-16 09:08
   
음..
브란도 18-11-16 09:13
   
제가 97학번인데...완전 장난아니었음...
겨우겨우 238점장도 나와서 서울쪼규대학 나왔지만...
학교선생들도 이점수가 어딜가는지 몰라서 개피본 학생 많았음..
완전 시험만 어려운게 아니라 이점수로 어디가는지 몰라서 못간놈도 더많음
황룡 18-11-16 09:23
   
지옥이였지 저때 ㅠㅠ
깁스 18-11-16 10:07
   
패스 쿨륵
sangun92 18-11-16 10:31
   
음...
수능을 본 적이 없어서, 수능이 얼마나 어려운지 모르는...

나는 본고사 세대.
하루 종일 4과목.
국, 영, 수, 과학 (물리/화학. 이과 출신이라).

각 과목당 100분.
과목별롤 5~10 문제.
전부 주관식.
문제 풀이과정이 없으면 0점 처리.

물론 문제는 학교에 따라서 전부 다름.
학교별로 출제하는 것이라서.

다만 2류 이하 대학은 특별합격 형태가 있었음.
예비고사 성적이 뛰어나다든지 등등.
다만 상위 3개 대학은 특별합격 형태가 없었음.
운드르 18-11-16 10:59
   
96 수능도 알아주는 불수능이었는데...
몽당연필 18-11-16 13:08
   
96년 수능이 97년 수능과 거의 맞먹는 불수능이었는데... 저기에 안 나온게 이상하네요.
97년보다 더 어려웠다는 말도 종종 나왔던걸로 기억하는데....
     
Joker 18-11-16 14:34
   
그러게 말입니다...
96, 97 수능 두 가지 모두 본 사람으로서도 96 수능 난이도가 훨씬 높았다고 생각되는데...
재수하면서 어차피 공부 별로 열심히 안 했었기 때문에 저의 실력이 높아졌을 리는 없거든요;;;
아라미스 18-11-16 14:16
   
97수능이 갑이었어요..
어느정도였냐하면 맨날 소설책 읽던 친구 있었는데 이 친구가 언어영역 하나는 잘쳤음..
근데 포기한 나머지 과목들 찍었던게 운빨 터지면서 공부 쪼금 하던 친구들 제껴버림 ㅋㅋ
만약 난이도가 쉬웠으면 절대 벌어질리가 없었던 일인데.. 워낙 어려웠기에 겐또 찍어서 대박 터진애들이 많았음
별명없음 18-11-16 14:55
   
96수능이 어렵기로 유명한게, 통합교과 문제라는게 처음 나왔나 그럼..
이게 뭐냐면 수학문제를 수학만 잘해서 풀수 있는게 아니라 과학도 잘 알아야 풀 수 있는 뭐 그런거임..

그래서 문제지문을 이해 못해서 문제를 못푸는 사태 + 시간부족으로 OMR 체크 못하는 경우 폭주..

언어를 잘한 사람은 문제 지문이해가 빨라서 타격을 덜 받았다...

모의고사
170점 맞던 애들이 140점대로 추락
150점 맞던 애들이 110점대로 추락함..

200점에 150점이 상위 3%
당시 수능 특차 기준이 연고대 3%, 서울교대가 5%였음..

가군 나군 다군 지원할때 이점수로 어딜 지원해야 할지 몰라서 고3 담임들 머리가 다 터져나갔음...
축구게시판 18-11-16 18:51
   
제가 수능 1세대 94학번. 1년에 수능 2번 봤음. 둘 중 잘본걸로 올리는데
형평성 문제로 2차때 난이도가 올라가서 대부분은 1차 점수가 더 높았죠.

1차 망치고 울면서 2차 준비한 애들은 2차도 망침.
     
냥냥씨지 18-11-19 14:48
   
반가워요... 2차 수능때...첫 문제를 보고...아 1차 보다 더 나오긴 글렀구나..해서 걍 대충 치고 놀았음..
물론 1 차 점수에 ..의외로 만족해서 ... 한학기도 ..놀았지만..
sunnylee 18-11-16 20:22
   
헐..저때가  내가 시험칠때 였구나...
니에루 18-11-17 01:10
   
저때 323 5523 받고 죽을까 싶다가 마음잡고 재수했었는데 ㅋㅋㅋ
우뢰 18-11-17 05:27
   
ㅎㅎ
멀리뛰기 20-09-09 19:43
   
[유머]            역대급 불수능 TOP3ㅋ ㅋ ㅋ
용가리통뼈 21-06-22 11:55
   
학력고사라... 흠
찐따충 23-07-24 07:26
   
학교선생들도 이점수가 어딜가는지 몰라서 개피본 학생 많았음..
완전 시험만 어려운게 아니라 이점수로 어디가는지 몰라서 못간놈도 더많음
찐따충 23-07-24 07:27
   
지원해야 할지 몰라서 고3 담임들 머리가 다 터져나갔음...
 
 
Total 104,08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비극적인 사건이나 사고,범법 자료 게시 금지 (20) 가생이 07-12 279259
공지 [공지] 19금을 연상케 하는 모든 자료 절대 등록불가 가생이 08-01 248242
공지 [공지] 유머/엽기 게시판 주의사항(2019.07.18) (17) 가생이 01-13 255632
4721 [유머] 팽이 의자 ~ (15) 별찌 12-06 4388
4720 [유머] 여자친구 집 사줬다 ~ (14) 별찌 12-06 7566
4719 [동물귀욤] 얼굴바꾸기 어플 시바 ~ (10) 별찌 12-06 4426
4718 [유머] 세계의 라면 토핑 ~ (12) 별찌 12-06 4616
4717 [유머] 대륙의 제기차기 고인물 ~ (18) 별찌 12-06 4731
4716 [유머] 트랜스포머를 좋아하는 아들을 위한 특별한 케이크 ~ (9) 별찌 12-06 3492
4715 [기타] 어느 음식점 사장님의 마인드 ~ (12) 별찌 12-06 4294
4714 [유머] 아마존 우라늄 구매후기 ~ (10) 별찌 12-06 5295
4713 [유머] 광산의 매력은 뭔가요 ~!? (8) 별찌 12-06 3669
4712 [유머] 헤헤 아 그게 아니고 ~ (9) 별찌 12-06 2969
4711 [동물귀욤] 자리싸움 ~ (10) 별찌 12-06 2928
4710 [유머] 마쿠도나르도 해피밀 수준 ~ (10) 별찌 12-06 3757
4709 [유머] 여동생은 포켓몬 ~ (7) 별찌 12-06 3219
4708 [유머] 임산부석에 앉아있는 남자를 신고한 시민 ~ (15) 별찌 12-06 4581
4707 [유머] 흔한 드라마의 연출력 ~ (8) 별찌 12-06 3376
4706 [유머] 컴퓨터 조립할 때 제일 긴장되는 순간 ~ (13) 별찌 12-06 4019
4705 [유머] 골목식당을 본 자의 깨달음 ~ (10) 별찌 12-06 3830
4704 [유머] 쿨한척하는 고액 체납자 ~ (7) 별찌 12-06 3734
4703 [유머] 사탄 근황 ~ (12) 별찌 12-06 3627
4702 [유머] SK엔카 한줄평 근황 ~ (9) 별찌 12-06 3693
4701 [유머] 구찌, 한국 원가로 140만원 ~ (12) 별찌 12-06 3886
4700 [유머] 아부지가 옛날 독일에서 Freddie (퀸) 에게 받은 싸인 ~ (10) 별찌 12-06 3520
4699 [감동] 할머니, 나 그것 좀 먹어봐도 돼? (12) 맹미기 12-06 3076
 <  4321  4322  4323  4324  4325  4326  4327  4328  4329  4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