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구)유머 게시판[1] [2]
HOME > 커뮤니티 > 유머 게시판
 
작성일 : 23-11-02 12:05
[안습] 전교1등 과학문제 논란
 글쓴이 : 싸뱅
조회 : 2,552  


다음 키워드는 '전교 1등'.

"전교 1등인 자신의 아이가 푼 문제를 학교가 0점 처리 했다"라면서 한 학부모가 소송을 고려하고 있다는 글을 올려 논란입니다.

이 학부모의 고1 자녀가 풀었다는 문젭니다.

"흐르는 전류의 세기를 크게 하는 방법을 한 가지만 서술하라"는 과학 문제입니다.


도선을 감은 전자석, 솔레노이드와 관련한 문젠데, 학생은 '코일을 촘촘하게 감는다'라고 답을 제출했습니다.

그런데 정답은 '많이 감는다'라고 합니다.

'촘촘하게 감는다'와 '많이 감는다'.

학교 측은 학생의 답을 0점 처리했습니다.

학부모가 이의를 제기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

온라인에선 갑론을박이 벌어졌습니다.

"한정된 공간에 '촘촘하게' 감으면 많이 감는 거다"란 의견과 "촘촘하면서도 적게 감을 수도 있다"란 의견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땡말벌11 23-11-02 12:08
   
촘촘해야 많이 하지.
눈팅만랩 23-11-02 12:17
   
촘촘하게 10바퀴 감은거랑
느슨하게 100바퀴 감은거랑
비교하면 답 나오지
봉명이 23-11-02 12:26
   
한국식 교육ㅋㅋㅋㅋㅋ 저딴것도 선생이라고 애들 창의력 다 쳐죽임

정확한 답은 수학에서나 써라
하관 23-11-02 12:33
   
촘촘하게 했을때 실재로 전류값이 커진다면 모르겠는데..

많이 감는거랑 촘촘히 감는 거랑은 명확히 다르지...

손님들 촘촘히 앉힌다고 매출이 느는건 아니잖아...
고블린 23-11-02 12:40
   
촘촘이는 간격을 얘기하는 걸 알잖아요. 많이가 맞는 겁니다. 많이 감기 위해 간격을 촘촘히 하는 것이지, 촘촘하게 감기 위해 많이 감는 게 아니잖아요. 반대로 촘촘하지 않지만 많이 감아도 전류 세기는 커집니다.

학생의 답은 전류 세기를 올리는 방법으로 전선의 간격을 촘촘하게 하는 것이라고 답을 적은 것이니 당연히 틀린거죠. 안촘촘하게 많이 감아도 전류는 세지니까.
     
토왜참살 23-11-02 16:41
   
쏠레노이드는 대충 크기가 정해져있는 물건인대
촘촘하게 감는다는 말은 양이 많다는 의미가 포함되는거지 등.아
          
또돌이표 23-11-02 22:21
   
솔레노이드가 어떻게 크기가 정해져 있어요?
애초에 솔레노이드의 크기를 정의해 놧다면 모를까..
cordial 23-11-02 12:50
   
학생이 문제에서 의도하는 정답은 알았는데..어휘 선택을 잘못했군요
촘촘하다와 많다는 동의어가 아니죠
레이지 23-11-02 12:52
   
무슨 국어문제도 아니고 ㅋㅋㅋ
체사레 23-11-02 13:04
   
이거 솔레노이트 자체를 설명할 때 촘촘하게라는 표현이 나온다는데
다른 학교에서는 촘촘하게 감는다가 정답으로 된 경우도 있었다고....
N1ghtEast 23-11-02 13:04
   
많이 감으니 촘촘히 감기는거 아닌가?
단어 차이를 두고 평을 하지말고
코일이 어떤 형태로 되는가가 더 중요한 포인트 아닐까요?
차피 정해진 길이에 최대한 '많이' 감으면 결국 촘촘해질 수 밖에 없으니까요
학생의 서술을 전체형태를 묘사한거로 받아들이거면 되는데
선생이 단어 하나에 집착한다는 느낌임

반대로 촘촘하지 않으면서 많이 감는건 도대체 뭔지 궁금함
     
왕두더지 23-11-02 13:33
   
중첩...
     
MeiLy 23-11-02 20:01
   
많으면 촘촘할 순 있지만
촘촘한게 많은건 아니다

라는거죠
ost하나 23-11-02 13:05
   
많이감기 위해서 촘촘하게 하는건데
촘촘하게 적게 감으면 뭔 소용임...
학생이 옳다...
     
고블린 23-11-02 15:17
   
촘촘치는 간격입니다. 안촘촘하게 많이 감을 수 있어요. 중간 비우고 양옆으로 두껍게 감을 수도 있는 겁니다. 그러면 코일은 촘촘한 걸까요, 안촘촘 한 걸까요.
          
작은앙마 23-11-02 19:18
   
아니요. 그럴수 없어요.
이건 실 감는게 아니라 코일 감는거라, 여러겹 감으면 작동 안합니다.

저기가 흘러 전자석을 만드는건데, 겹쳐서 감으면 되겠나요...
카티아 23-11-02 13:11
   
촘촘하게 감는다고 많이 감는게 아님.

촘촘하게 감아도 감는 횟수가 적으면 자기장에서 발생하는 전류가 많아지지 않음..

 10번을 촘촘하게 감는거랑, 100번을 안촘촘하게 감는거랑 전류의 세기가 완전 다름..

그러니까 촘촘하게 많이 감는다라고 하지 않는다면 촘촘하다가 답이 될 수 없음.

그러니까 답은 많이 감는거임.. 촘촘하게는 틀린답 맞음.
왕두더지 23-11-02 13:31
   
촘촘하다의 의미는 간격이나 틈이 매우 좁다는 뜻인데 결국 코일을 중첩하지 않고 한줄로만 깔아도 촘촘하다가 되죠.
틈이 없고 간격이 좁으면 되는거니깐..

그러나 코일을 감을때 중첩을 생각하면 촘촘한것보다 더 많은 코일을 감을수 있으므로 많이 감는다가 정답이 확실함.
마칸더브이 23-11-02 13:41
   
촘촘히 감는다에 많이 란 뜻도 포함한다고 생각해서 적은 듯
봄에 23-11-02 13:41
   
어제 sbs뉴스에서 본건데 서울대 교수도 오히려 촘촘하게가 더 정답에 가깝다고 하던데.
저 아이 학부모도 직접 찾아보고 솔레노이드 자체를 설명할때 촘촘하게라는 표현이 나온다고도 했고.
이건 말장난 하는것도 아니고 선생이 학생의 창의력을 죽이는거에 더 가까운 상황같음.

+위에 분이 말한거랑 반대로 학생이 100번을 촘촘하게 감는다고 생각했다면?
저 기사에는 학생이 10번을 촘촘하게 감는지 100번을 촘촘하게 감는지에대한 설명은 없음.
그냥 촘촘하게 감는다, 많이 감는다 이 두 가지로 평가하는 상황임.
윰윰 23-11-02 14:50
   
촘촘하게 많이 감는다라고 했으면 정답일걸...
굳이 많이를 빼먹어서는...
.
.
.
여기에 정답이 있음...출제자가 원하는 답은 많이라는 답인데...
촘촘하게 라는 단어에는 절대 많다라는 뜻이 내포하지 않으니 정답이 아닌것은 합당함...
간격을 좁게 한다는 뜻인 촘촘하게는 열번을 감아도 백번을 감아도 천번을 감아도
촘촘하게라는 표현이 가능함
고로 형용사인 촘촘하게에 부사인 많이를 넣어 답을 명확이 할 필요는 있었음
GurigaBee 23-11-02 14:55
   
많이 감는다가 맞음
hell로 23-11-02 16:16
   
촘촘하게: 단위 길이/면적당 밀접하게 배치. (고밀도/고집적)
많이: 상황에 따라 다름. ex) “난 군번이 세개야” ‘군대를 많이 다녀왔네!?’
토왜참살 23-11-02 16:43
   
쏠레노이드는 대충 크기가 정해져있는 물건인대
촘촘하게 감는다는 말은 양이 많다는 의미가 포함되는거지
우리가 보통 승용차하면 대충 어느정도 크기일것이다라고 느끼는거지
승용차라는 단어를 비행기크기라고 짐작하는 찐따는 얼마없지
     
또돌이표 23-11-02 22:23
   
그래서 크기가 얼만데?
진짜 찐따가 누구더러 찐따래?

문제에 적혀 있든?
솔레노이드의 길이는 만든 사람 맘이야.
     
homm3 23-11-03 07:05
   
같은 길이의 코일을 더 촘촘하게 감으면 더 세지면 정답,
아니라면 오답
비부구름 23-11-02 17:07
   
촘촘이 많이와 같은 뜻으로 활용될 순 없다
크리스피닭 23-11-03 00:50
   
쉽게 비교
촘촘하게 많이 감는다 .  촘촘하게 적게 감는다.  둘다 촘촘한데 결과는 다름. 
즉. 촘촘하다라는 표현만으로 감는 횟수가 키포인트인 문제를 설명하기에 부적절.
전자석은 감는 회수가 키포인트.
내손안에 23-11-03 04:02
   
우리강산 푸르게 푸르게
이때 푸르게라는 말이 맞는가?
푸르게는 파랗다는 의미인데 세상 어느 나무가 파랗더냐
강산이 파랗다면 초록은 어디에 쓰는 말인고
NiceDay 23-11-03 08:41
   
과학과 수학은 딱 정해져 있는 용어가 정해져 있습니다. 의미만 전달하는게 정답이 아닙니다. 정확한 단어를 사용해야 합니다. 일상에서는 허용이 되지만 수학과 과학은 수학을 언어로 사용하는 곳입니다. 정확한 용어와 단위의 전달이 중요합니다.
 많다 적다는 의미에 양이 표현된 단어이지만 촘촘하다는 뜻 자체는 양을 표현하는 어떤 말이 더 필요합니다.
 예를들어 전체의 1/10만 촘촘하게 감았으면 정답이 될까요? 단순하게 "촘촘하게"란 말의 의미에 양이 없기 때문입니다.  "촘촘하게"란 말이 정답일 경우는 "전체를 더 촘촘하게"란 말이 들어가야 합니다. 학생의 경우 그냥 촘촘하게란 말만 했기때문의 의미는 전달 했을지 모르지만 과학적으로는 맞지 않습니다.
     
NiceDay 23-11-03 08:51
   
수학과 과학에서는 대여섯개란 존재 하지 않습니다. 과학적 언어란 말이 괜히 있는게 아닙니다. 일상에서 5~6개의 의미지만 과학에서는 필요하지도 사용하지도 않는 말입니다.
suuuu 23-11-03 09:05
   
이거 오답이 맞다고 생각함.
촘촘히는 간격을 의미하지 감긴 양(권선수)를 의미하지 않음.
같은 10 바퀴를 촘촘히 감을수도 여유있게 감을수도 있는것이고.
L값의 기준은 코아에 동선을 얼마나 감았느냐에 따라 달라지는것임.
정밀하게 들어가면 간격도 영향이 있긴하지만.
1순위는 권선수.
노세노세 23-11-03 09:34
   
2+2=22 영화가 생각나네...저걸 정답으로 인정하면...분명 많은 문제들이 뒤죽...박죽 될 건데;;
esenkey 23-11-03 11:07
   
이거 부분 점수 준다는 것도 학부모가 소송한다고 받아들이지 않았다는데..
.
처음엔 오답처리하고 학교가 고집 부린다고 보였는데,
생각해볼수록
'촘촘하게 = 많이'
이건 같은 의미가 아니라고 봅니다.
.
똑같이 10바퀴를 감아도 한쪽은 촘촘하게 감을 수 있지요.
하지만 10바퀴는 똑같기에 전류 세기도 똑같습니다.
.
반면 듬성듬성 감아도 11바퀴 (더 많이) 감은게 더 세겠지요.
.
말장난 같지만 다른 의미도 될 수 있기에
정답은 될 수 없다고 봅니다.
코카인콜라 23-11-03 14:07
   
많이라는 기준도 애매함 상대적이기 때문
하지만 촘촘하다, 많이 는
현재보다 더 하게 감는다는 의미가 일맥상통함으로 생각했으면 쉬웠을텐데
자기가 생각한 답 아니라고 1등도 틀리네 꼽주고 싶어서 틀렸다고 한거 같은데

정작 문제는 전류가 커지기만 하면 되지 많이여야하는건 아니거든...
사진으로 문제를 낸거 보니 헐렝하게 그려놨으니 촘촘히 하면 횟수가 적어도 밀도가 높아져서 전류가 커지겠네...
결국 전류가 커지는게 문제의 의도니 맞겠지...
많이감는건 전류가 커지는 방법을 중 하나인것이고
촘촘이도 솔레노이드의 전류를 높인다고 증명이 되었음
결론: 헐랭 하게 긴것보다 촘촘해지면 유도자기에 의해 전류가 세지는게 맞음...
        따지려 들려고 틀렸다고 한 선생이 틀림
증거: 유사한 물리 실험 보고서 주소 http://www.jisikworld.com/report-view/1173505

그외 답변
문제를 낸 사람도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하고 문제를 낸거 같아요. 전류를 크게 하려면 1. 자기장을 세게 한다. 즉 자속을 높인다. (자속은 자기력선의 개수로, 자석의 극과 도체 사이의 거리, 도체의 길이, 자석의 자기장 세기 등에 의해 결정) 2. 자기유도율이 높은 도체를 사용한다. 3. 자기장에 노출되는 도체의 면적을 크게한다. (많이 감는다. 얇은 전선을 사용한다. 촘촘히 한다 등등) 많은 방법이 있는데 말입니다. 선생의 뇌에는 "많이 감는다"만 있고 다른 의견은 교권을 무시하는 거라고 생각하겠네요
과학 잘 모르는 늙은이들이 정답이 아니라 자기 생각대로 쓰는거면서 목소리는 참 크네. 촘촘하다 많다 둘 다 틀린게 아니라 촘촘하다가 맞다고. 촘촘하다는 양을 표현하는게 아니라 아니다고? 양이랑 상관이 없다니까? 같은 간격으로 감는다고 가정했을때 1m동안 2번 감은거랑 5m동안 10번감은거 있을때 10번감은게 양은 많지만 둘다 전류 똑같이 흐른다. 모르면 아는척좀 하지마세요
요렇게 가정했을때 많이도 틀리게 됨

결론은 증가적 표현으로 촘촘하다도 인정해줘야함
참고자료: https://n.news.naver.com/article/029/0002834190?sid=102


많이 감더라도 간격이 넓직해지면 전류 낮아지고
촘촘히 하더라도 감는 횟수가 적으면 전류 낮아지고
결국은 해석의 문제이고 교사가 학생 불러서 개념 한번 더 점검 했기만 했으면 될 문제였음...
소송도 너무함 그냥 교사에게 상담요청하고 맞는지 검토해달라고 하면되지 그걸 소송거냐
애가 참 좋은거 배웠겠다... 아 내가 안틀리면 무조건 소송걸어 해결하면 되는구나....
참 정이 없고 인정이 사라진 사회가 되버린게 씁슬함....
     
김두부 23-11-04 02:05
   
전교1등한테 0점 준거 자체가 말로 해결안될 상황임
김두부 23-11-04 02:04
   
교육의 본질을 완전히 박살내는 쓰레기같은 교육방법입니다. 알고 있는게 중요한거 아닌가요? 객관식도 아닌데
오서희 23-11-14 08:45
   
촘촘하게 적게 감았을 때(예를 들어 3바퀴) 전류가 적어지면 어떻게 하려구요.
무작정 교육의 본질을 완전히 박살낸다고 표현하는건 과한거라 생각해요.
 
 
Total 3,137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77 [안습] 디갤] 미쳐버린 가습기 성능.jpg (11) 드슈 12-24 4396
376 [안습] 블라] 신혼 30일차 남편이 죽었으면 좋겠다.jpg (11) 드슈 12-24 4487
375 [안습] 국내 유일 학폭 피해자 학교 <해맑음 센터> 근황.jpg (6) 드슈 12-24 3230
374 [안습] 명언 터지는 강남 음주 단속 현장.jpg (11) 드슈 12-24 4171
373 [안습] 미국서 안경사고 현타온 유튜버.jpg (10) 드슈 12-24 2682
372 [안습] 엄마 카드빚 갚으라고 월급보낸 딸.jpg (11) 드슈 12-24 2229
371 [안습] 담배 광고와 술 광고의 차이점.jpg (7) 드슈 12-24 1839
370 [안습] 판] 엄마가 저 왕따 당할때 도와준애 손절하래요.jpg (19) 드슈 12-23 5275
369 [안습] 배우 박은혜집 cctv에 찍힌 택배 훔치는 노인들.jpg (8) 드슈 12-23 3742
368 [안습] 착시 스타킹 후기.jpg (4) 드슈 12-23 2557
367 [안습] 과학 유튜버 궤도 MBTI 검사 결과.jpg (2) 드슈 12-23 1807
366 [안습] 이론상 8대까지 주차 가능하다고 예시까지 보여줌.jpg (6) 드슈 12-23 2253
365 [안습] 길거리에서 만난 싸이코패스.jpg (4) 드슈 12-23 2241
364 [안습] 삼국지] 찬합 역전의 세계.jpg (5) 드슈 12-16 10054
363 [안습] 블라] 아 엄마 삼성가면 여자들이 줄선다며!!!.jpg (4) 드슈 12-16 11667
362 [안습] 한국인들에게 가장 무서운 아포칼립스 상황.jpg (7) 드슈 12-16 11894
361 [안습] 뉴스] 현재 난리난 미국 LA 한인타운 근황.jpg (9) 드슈 12-16 12201
360 [안습] 할아버지가 대게잡이 그만했으면 좋겠어요.jpg (4) 드슈 12-16 9577
359 [안습] 보육원 출신이라고 까발린 담임.jpg (11) 드슈 12-15 6832
358 [안습] 건당 50만원 짜리 알바.jpg (10) 드슈 12-15 5612
357 [안습] 과태료 원기옥.jpg (11) 드슈 12-15 4532
356 [안습] 한국과 일본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댓글 베스트.jpg (15) 드슈 12-15 5332
355 [안습] 디갤] 다시 등장한 엑셀 팡션좌 2023.jpg (7) 드슈 12-15 3488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