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3-11-13 18:18
[잡담] 온 디바이스 AI의 최대 수혜자는 D램임. TSMC가 아님
 글쓴이 : 강남토박이
조회 : 1,643  

19196092041273c61d3385933d30cbfe4e73f6cf.jpg

맥쿼리: 온 디바이스 AI에 탑재되는 디램 용량 비교


1) 일반적인 현재 스마트폰은 약 8GB의 디램이 탑재

2) 이미지 생성 기능이 탑재된 온디바이스 기기는 약 12GB

3) 디지털 AI 비서 기능이 탑재된 기기는 약 20GB의 디램이 필요


=> 온 디바이스 AI가 메모리 시장에 미칠 영향은 결국 Contents Growth의 증가, 즉 Density의 증가라고 보여집니다.


=> 물론 내년 스마트폰 출하량이 YoY로 성장할 것이라고 예상하지만(미디어텍, 퀄컴 등의 전망에 근거) 기기 수요가 다시 하락하는 구간이나 재고가 많은 구간에는 사실상 기기당 탑재되는 Contents Growth말고는 디램 수요 Bit 성장을 기대하기 어려워집니다.


=> 그런데 결국 빌 게이츠의 예상대로 추후 온 디바이스 AI 체계에서 AI 비서가 탑재되는 구조가 될 경우, 메모리의 용량 증가는 필연적으로 보입니다. 당연히 이 부분은 숫자 추정이 어려운 영역입니다. 온 디바이스 AI 제품들인 AI PC나 AI 스마트폰이 출시되는 게 바로 내년부터이기 때문입니다.



AI 서버 투자에 따른 수혜는 TSMC보다는 디램 업체들이 훨씬 더 많이 가져감. AI 혁명의 최대 수혜자가 바로 디램임. 파운드리가 아님. 그리고 이러한 상황은 온 디바이스 AI에서도 동일함.


당장 맥쿼리 리포트에도 나왔듯 온 디바이스 AI 기능이 탑재된 스마트폰은 일반 스마트폰 대비 많게는 디램 용량이 2.5배 이상 증가함. AI 컴퓨팅 파워의 핵심이 바로 디램이기 때문임.


예컨대 TSMC는 단순 기기 교체 수요 외에 온 디바이스 AI로 AI 가속기 기능이 추가되어 모바일 AP 크기가 증가하는 것 정도만이 추가적인 수혜임. 가령 일반 스마트폰 AP의 웨이퍼 당 넷 다이가 600개라면, 온 디바이스 AI가 탑재된 AP의 넷 다이는 면적 증가로 500개로 감소함. 이렇게 되면 팹리스 고객사들은 스마트폰 AP 출하량이 동일한 경우, 온 디바이스 AI 탑재를 위해 기존 대비 TSMC 웨이퍼 구매량을 20% 더 늘릴 수밖에 없음. 즉, TSMC는 온 디바이스 AI로 인한 수혜가 스마트폰 출하량 증가×AP당 면적 증가임. 그런데 디램은 기기당 디램 탑재량이 몇 배씩 증가함. 출하량 증가×기기당 디램 탑재량이 몇 배씩 증가가 바로 디램 업체들이 받는 수혜임. TSMC보다 그 수혜가 훨씬 더 클 수밖에 없음


그런데 이 경우에도 스토리지가 받는 수혜는 거의 없음. 온 디바이스 AI로 'AI 가속기 기능 탑재+디램 용량 대폭 증가'로 스마트폰 BoM이 크게 상승하는 상황에서, 다른 덜 중요한 부품들의 BoM 상승은 최대한 억제될 수밖에 없기 때문임. 실제로 온 디바이스 AI 기능이 탑재된 스마트폰의 디램 용량이 몆 배씩 증가하는 동안, 스마트폰 스토리지 용량의 증가율은 디램 대비 많이 낮음. AI 서버에서 발생했던 것과 똑같은 현상(디램이 낸드 수요를 잡아먹는 일)이 온 디바이스 AI에서도 발생하고 있음.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디램은 엔비디아 다음으로 AI 혁명의 최대 수혜자로서 HBM의 뒤를 이어 범용 디램 역시 온 디바이스 AI로 장기 호황의 국면에 접어들 것이며, 기존의 단순 범용 부품에서 그 위상이 지금보다 훨씬 더 올라갈 것으로 생각함. 반면 낸드는 당분간 계속 재미가 없을 것 같은데, 이로 인해 낸드 원툴 키옥시아/WDC는 디램 3사와의 경쟁에서 더더욱 뒤쳐질 것이며, 일본 정부가 갖은 노력을 다 한다고 해도 키옥시아를 살리는 것은 결국 불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함. 지금의 반도체 산업 패러다임 변화는 낸드 업계 구조조정을 더더욱 강제하고 있고, 그것은 그 누구도 어떻게 할 수 없는 거대한 흐름임.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무한의불타 23-11-13 19:00
   
지금 한강에서 깡소주 빨고 있냐? ㅋㅋㅋㅋ
boodong 23-11-15 22:39
   
지금 삼성램 하자 때문에 죽쑤고 있는거 아니?

아래 링크는 덤이다.
https://n.news.naver.com/article/421/0007175881?sid=101
 
 
Total 688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688 [기타경제] 윤석렬과 강남토박이의 무지 혹은 착각 (3) 하하웃자 05-19 780
687 [잡담] 미국은 반도체 공급망에서 한국을 크게 신뢰하고 있음 (5) 강남토박이 05-17 1966
686 [기타경제] 한국인 이사도 퇴진‥'라인' 결국 일본 품으로? (5) darkbryan 05-09 1905
685 [잡담] 1분기 반도체 수출 YoY 51% 증가 강남토박이 04-29 460
684 [잡담] 삼성전자 현직 뿌잉 : TSMC 좆된다 (7) 강남토박이 04-29 1759
683 [잡담] 제조업 경험이 없으니 한국 언론들이 칩스 법에 대해 개… (5) 강남토박이 04-22 1119
682 [잡담] 26년 한국경제 역대급 황금기가 도래 (4) 강남토박이 03-26 1631
681 [전기/전자] 밸류업도 영업익이 좌우…韓 10대기업보다 TSMC가 커 욜로족 03-17 857
680 [잡담] 최근 미국의 디커플링 전략이 반도체 산업에 주는 시사… (1) 강남토박이 03-16 774
679 [잡담] 미국에게 한국과 한국 제조업은 앞으로 더더욱 중요해질… (2) 강남토박이 03-14 1265
678 [잡담] 제조업과 원가, 그리고 반도체와 중국 제조업 굴기 (3) 강남토박이 03-03 1035
677 [전기/전자] ‘슈퍼 을’ ASML 원전 배제 요구에 ‘반도체 동맹’ 영향… (10) 루넴폭스 02-28 1967
676 [전기/전자] TSMC·소니·도요타 회장 총집결…“일본 반도체 르네상스… (4) 가비 02-26 2019
675 [잡담] 일본에 마지막 남은 메모리반도체 기업 키옥시아 대위기… 강남토박이 02-24 1466
674 [잡담] 한미반도체 상한가 신고가 ㄷㄷㄷ.jpg (4) 강남토박이 02-08 1774
673 [잡담] 1인당 GDP 동유럽 수준 3인방 (9) Irene 01-27 3955
672 [기타경제] "한국 25년 만에 일본에 뒤졌다" (3) VㅏJㅏZㅣ 01-26 2135
671 [잡담] 미국의 반도체 공급망 재편 전략과 각 국가별 손익 (4) 강남토박이 12-17 1282
670 [전기/전자] "중국 최초 5세대 D램 개발" '이렇게 빨리?' 이상하… (17) 부엉이Z 12-14 5832
669 [잡담] 메모리 반도체 슈퍼사이클 ㄷㄷㄷ.jpg (5) 강남토박이 12-06 1659
668 [잡담] 2025년과 300단은 낸드 업계에서 아주 중요한 분기점이 될 … (3) 강남토박이 11-28 1364
667 [잡담] 온 디바이스 AI의 최대 수혜자는 D램임. TSMC가 아님 (2) 강남토박이 11-13 1644
666 [잡담] 미국의 대중국 반도체 장비 수출통제 개정안 ㄷㄷㄷ (4) 강남토박이 11-12 1981
665 [기타경제] 무역적자가 심각한가봅니다. (19) 미로 10-29 3388
664 [잡담] 한국은 아시아 반도체 시장의 중심 (3) 강남토박이 10-17 2114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