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3-04-09 14:44
[잡담] 챗GPT로 디램 시장 개떡상 ㄷㄷㄷ
 글쓴이 : 강남토박이
조회 : 5,205  

v.jpg

vv.png
현재 회사 마케팅 부서에서 챗GPT에 대한 생각은 "챗GPT로 초고성능 메모리 포함 고객사 반도체 수요가 증가하는 건 맞으나, 이게 일시적인지 아니면 지속적인 수요인지는 아직은 확신할 수 없다" 이 정도로 요약됨. 아직 한번도 경험하지 못한 수요이니 전망 예측 역시 당연히 보수적일 수밖에 없음. 그런데 난 이러한 모습이 예전에 어디서 봤던 데자뷰를 느끼는 것 같단 말이지. 바로 17~18년 메모리 슈퍼 사이클 직전에 말임.

16년까지만 하더라도 메모리 수요의 거의 절반이 모바일, 그리고 30%가 PC였음. 서버 비중은 매우 낮았음. 그런 상황에서 16년 말부터 지금까지 비주류 시장에 불과했던 서버용 메모리 수요가 갑자기 급증하네? 삼전 모바일, 애플, 화웨이 이런 곳이 아니라 갑자기 아마존,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이런 빅테크 업체들에서 메모리 주문을 대량으로 넣기 시작하니 회사 관계자들 모두 당황했었음. "아니, 이거 뭐지? 이거 진짜야?" 이렇게 긴가민가 했었는데 그게 바로 서버가 이끌었던 메모리 슈퍼 사이클의 시작이었지. 그리고 작년부터 이제 서버는 모바일을 제치고 메모리 최대 수요 시장이 되었음. 16년으로 되돌아간다면 정말로 상상도 못할 일임.

16년 초에 알파고와 이세돌의 바둑 대결 '구글 딥마인드 챌린지 매치'가 있었고, 그때 우리 모두 충격을 받긴 했지만 그게 진짜 서버용 메모리 수요 폭발의 시.발점이라고는 전혀 생각하지 못했음. 지금이야 그때가 변곡점이었다는 것을 알지 당시에는 알기 힘듬. 원래 역사에서 중요한 변곡점은 그렇게 옴. 나는 (아직은 객관적인 근거는 빈약한 뇌피셜이긴 하지만) 지금 목격하는 챗GPT 혁명에서도 16년 당시 구글 딥마인드 챌린지 매치가 주었던 충격의 데자뷰를 느낌. 아직까지는 나도 여기에 객관적인 확신은 없음. 나도 솔직히 정확히는 잘 모름. 그런데 느낌이 그럼. 상황이 너무 비슷하거든.

그런 관점에서 이번에 나온 시장조사기관 옴디아의 메모리 반도체 리포트는 챗GPT 등 AI가 이끌 메모리 반도체, 특히 디램의 폭발적인 수요 성장에 대해 아주 강한 확신을 하고 있고, 그래서 리포트 요약본을 첨부로 소개해 봄.

그렇게 보면 17~18년 메모리 슈퍼 사이클은 SSD가 HDD를 대체하는 변곡점의 낸드 수요가 이끈 게 큼. 스토리지를 HDD에서 SSD로 대체하면 컴퓨팅 속도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빨라지거든. 그때는 컴퓨팅 구조(폰 노이만 구조)의 가장 심한 병목 구간이 바로 스토리지였음. 그리고 그것을 가능하게 한 게 2D에서 3D로의 낸드 구조 전환임. 그런데 지금은 AI 연산 가속기(CPU, GPU, NPU 등)에서 연산 성능 개선을 저해하는 가장 큰 요인이 바로 메모리(디램)과의 병목 구간임. 스토리지는 메모리만큼 중요하지는 않음.

그래서 일반 범용 서버 디램 모듈을 CXL, 더 나아가 HBM으로 바꿔서 AI 연산 가속기와의 채널 버스(대역폭이 도로의 제한 속도라면 채널 버스는 차선 개수의 개념)를 크게 늘려야만 이 병목 구간을 해소할 수 있음. PIM도 이 병목 구간 때문에 연산 기능 일부를 떼내어 메모리로 옮기는 것임. 결국 CXL, HBM, PIM의 목적은 모두 동일함. 바로 '메모리 벽'을 해소하는 것임. 내가 다른 건 모르겠어도 AI 연산을 위해서는 디램 메모리가 가장 중요하다고 확신함. 만약에 AI가 이끌어 갈 메모리 호황이 진짜라면 그 핵심에는 디램, 특히 CXL과 (가장 중요한) HBM이 있을 것이라고 확신함.

또 내가 지금 업계 돌아가는 것을 보니 옴디아가 전망하는 것(올해 서버용 디램의 3% 수준)보다 실제 시장의 HBM 수요가 훨씬 더 강한 것 같음. 그래서 특히 현재 HBM 시장의 거의 7~80%를 장악한 하이닉스는 옴디아가 예상하는 것보다 HBM 매출 비중이 훨씬 더 높을 것 같다고 생각함. 옴디아에서 예측하는 대로 AI 발전으로 24년부터 메모리 반도체 시장이 회복에 들어가서 25년부터는 다시금 강력한 호황 사이클이 올 지는 한번 지켜봐야겠지. 희망회로 좀 섞어서 나는 그렇게 될 가능성이 결코 적지 않다고 믿음.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샤루루 23-04-09 17:13
   
몇년 후 라던데..
진실게임 23-04-09 17:43
   
챗GPT회사가 아무리 거대한 서버 시설을 구축한다고 해도
개인 PC붐 같은 거대한 대중 수요에 비하면 조족지혈... 비교도 안되지 뭘...

단가야 서버용이 훨 비싸다고 해도 물량차이가 너무 큰데.
o아님 23-04-09 18:11
   
ㄷㄷㄷㄷㄷㄷ 떡상각
부르르르 23-04-10 01:04
   
삼성 넘 사랑하시는 듯.... 주식에 목숨 걸지 마시길
흩어진낙엽 23-04-11 00:20
   
DRAM이  개떡상이면 2차전지 관련주들및  양극제 회사들은 우주대폭발인듯
벌써 수익 2억가량 되어감
22년 7월25일날 금양 2천주 1333만원 투자해서 1억8천정도됬음
추가로 돈이없어서 400만원정도만 다른주식들 샀는데 그돈은 800만원 넘어가고있음

동생은 -1800만원에서 다팔고 에코프로비엠 158,000원 400주로 갈아타서 지금 86% 수익률
오늘기준 118,080,000원임
울누님한테도 삼성 5만원 초반에 사놓은 100주 저번주에 코스모화학 코스모신소재 6:4로 갈아타라니까 오늘전화해보니까 안갈아탔다네ㅡ.ㅡ 오늘 코스모화학 날라갔던데...

현제시점에서 에코프로,에코프로비엠,포스코홀딩스,코스모화학,코스모신소재,TCC스틸등 사라
사고 2-3년동안 들고있어

피처본에서 스마트폰으로 넘어왔듯이
지금 내연기관에서 전기차로 넘어가고있는 시기임 글로벌 전기차 침투율 현제 10%정도임
미국 신차기준은 5,8%
그리고 IRA법안때문에 한국차에 유리한상황이고 울나라 2차전지쪽은 미국시장이 중요한데
올해가 미국 전기차 점유율이 올해부터 상승하는시기임
중도적입장 23-04-11 20:20
   
저걸 고작 운영 가능한 회사가 몇 없는데 뭔 떡상
우유주세요 23-04-13 15:25
   
ChatGTP 내가 문제 냈는데 다틀렸어
 
 
Total 16,52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9193
14423 [잡담] 계속 상향조정 되는 삼성전자 실적 전망 (19) 강남토박이 08-03 5212
14422 [잡담] 스팀덱 형태의 안드로이드 게임기는 어떨까? (6) 이름없는자 02-10 5212
14421 [재테크] 호주 우드사이드 "韓가스전 장래성없다" 논란…정부 "사… (23) 욜로족 06-06 5212
14420 [기타경제] 러시아에서 '연간 3억개' 팔리는 국민 라면은? (13) 스크레치 06-14 5210
14419 [기타경제] 日 불매운동 잠잠해졌나…유니클로 매장 다시 가보니... (17) 스쿨즈건0 10-04 5209
14418 [전기/전자] 中 BOE OLED 수율 한자리 그쳐…삼성·LG 독주할 것 (19) 스크레치 12-08 5208
14417 [기타경제] 대만산 파인애플 한국시장 첫 진출.."시장개척 성과" (24) 스크레치 03-23 5207
14416 '돈이 안 돈다'...통화 유통 속도 역대 최저 (8) 블루하와이 02-10 5206
14415 [과학/기술] 도시바·마이크론 韓 엔지니어 유혹하는 YMTC (5) 스쿨즈건0 05-12 5206
14414 [잡담] 챗GPT로 디램 시장 개떡상 ㄷㄷㄷ (7) 강남토박이 04-09 5206
14413 파운드 추락, 엔 급등 예측한 족집게 "이제는 달러다" (4) 스테판커리 07-06 5205
14412 [기타경제] 韓日 경제전쟁, '일본쌀 아웃' 선언…토종 벼 품… (12) 행운7 07-23 5204
14411 [기타경제] 중국의 전력 문제 주먹구구 계산 (15) 이름없는자 10-22 5204
14410 [과학/기술] KAIST, 접는 스마트폰이나 웨어러블 기기 핵심기술 개발 (10) 귀요미지훈 06-10 5203
14409 [기타경제] 韓1인당GDP 日에 처음으로 앞섰다 (구매력지수 기준) (31) 스크레치 01-22 5202
14408 [잡담] 삼성SDS 화웨이 P30 독점 공급 ㅋㅋㅋㅋ (10) 세상을바꿔 03-17 5201
14407 '천정부지' 집값...내 집도 전세도 빚으로 마련 (6) 블루하와이 09-19 5200
14406 인텔의 오류서 배웠다…삼성, 기술 초격차 전략 (11) 스크레치 06-12 5199
14405 [전기/전자] 삼성, 인텔도 포기한 초고난도 비메모리 칩 세계 첫 양산 (15) 스크레치 05-02 5198
14404 [잡담] "삼성, 경기 안성 토지 매입 중"…반도체업계 '파다한… (6) 강남토박이 06-05 5198
14403 [전기/전자] 中·日 배터리 줄세운 'SK넥실리스' (7) 스크레치 10-26 5197
14402 [기타경제] [중국-경제] 중국, 잡아먹을 사냥개가 없어졌다? (9) 끼따뿌타스 12-30 5196
14401 [기타경제] 일본, 한국인 관광객 급감에 곳곳서 우려 목소리. (9) 스쿨즈건0 07-23 5196
14400 세계 반도체 양대산맥 (삼성전자 vs 인텔 비교) (8) 스크레치 05-07 5195
14399 [기타경제] 베트남서 벌이는 韓中日 경제 삼국지‥중국, 한국제치고… (7) 스쿨즈건0 12-02 5194
 <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