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6-02-28 00:23
'GDP 상향+물가 급등' 美금리 인상 다시 변수로
 글쓴이 : 서울뺀질이
조회 : 5,292  

[아시아경제 박병희 기자] 미국의 긴축 행보가 다시 세계 금융시장의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연초 중국 경착륙 불안감으로 세계 금융시장이 크게 흔들리면서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은 상당히 줄었다. 하지만 최근 미국 물가 상승률이 심상치 않은 흐름을 보여주면서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이 다시 부각되고 있다. 

미국 상무부는 26일(현지시간) 1월 개인소비와 개인소득 지표를 공개하면서 1월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 상승률(전년동월대비)을 1.7%로 발표했다. 2014년 7월 이후 가장 높았고 지난해 12월 1.5%에 비해 상승률이 0.2%포인트 높아졌다. 근원 PCE 물가지수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미국 중앙은행)가 물가 지표로 가장 중시하는 지표다. 근원 PCE 물가 상승률이 Fed의 정책 목표인 2%에 바짝 다가선 것이다. 앞서 상무부가 발표한 1월 근원 소비자물가지수(CPI)도 전년동월대비 2.2% 상승하며 2012년 6월 이후 최대 상승폭을 나타냈다. 

26일 상무부가 공개한 지난해 4분기 GDP 수정치도 월가 예상과 달리 상향조정됐다. 미국 경제가 중국 경제 불안 여파로 흔들릴 것이라던 예상을 깨고 탄탄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음을 보여준 것이다.

상무부는 애초 0.7%로 발표했던 지난해 4분기 GDP 증가율(연율 환산)을 1.0%로 상향조정했다. 월가는 0.4%로 하향조정을 예상했지만 반대 결과가 나온 것이다.

미국의 1월 PCE 물가지수와 지난해 4분기 GDP 수정치가 공개된 후 달러화는 강세를 보였다. Fed의 긴축 행보에 다시 힘이 실릴 것이라는 전망이 달러 가치를 끌어올린 것이다. 

실제 Fed 내 매파 인사들은 최근 금융시장 불안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긴축 의지를 굽히지 않고 있다. 에스더 조지 캔자스시티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지난 23일 블룸버그 라디오와 인터뷰에서 "현 시점에서 지표상 전망에 근본적인 변화가 있다고 보지는 않는다"라며 3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 인상 문제를 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캐피털 이코노믹스의 폴 애시워스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4분기 GDP 상향조정으로 올해 1분기 GDP 상승률은 연율 기준 2.5%의 매우 탄탄한 성장세를 보여줄 것으로 보인다"며 "이는 침체가 임박했다는 우려를 가라앉힐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미국 금융시장이 안정된 흐름을 보이고 있다는 점도 Fed에는 안도감을 심어줄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증시가 여전히 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뉴욕 증시는 최근 2주 연속 올랐고 국제유가도 최근 2주째 급등 흐름을 보이면서 안정을 찾아가고 있다. 

TD 증권의 밀란 멀레인 이코노미스트는 "Fed 입장에서 4분기 GDP 상향조정은 무척 고무적이라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Fed가 최근 세계 경제성장의 역풍 요인들을 더 살필 것"이라며 "현재 3월 FOMC에서 Fed가 움직이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박병희 기자 nut@asiae.co.kr
////////////////////////////////////////////////////////////////////////////////////////////////
3월에  더도 덜도 말고  딱 25bp 만큼  FOMC 에서 금리 인상 햇으면 좋겟다.  짱개들 다시 지옥  구경 시켜 줘야지.   카일배스 하고 조지 소로스 할배 기달리고 있다.  중국 빨리 해치우자.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멀리뛰기 21-01-01 20:35
   
'GDP 상향+물가 급등' 美금리 인상 다시 변수로 멋진글~
     
유기화학 21-03-28 10:00
   
222
멀리뛰기 21-01-08 10:40
   
'GDP 상향+물가 급등' 美금리 인상 다시 변수로 좋은글~
     
유기화학 21-03-28 10:00
   
2222
 
 
Total 16,531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300372
14556 [잡담] 한국GDP에 관하여 (9) 마르티넬리 10-16 5296
14555 [기타경제] 韓 조선 2일만에 2.6조원 수주릴레이…"기분 좋은 연말" (20) 스쿨즈건0 12-23 5295
14554 [기타경제] 2020 세계 GDP 순위. (51) 허민 03-09 5294
14553 'GDP 상향+물가 급등' 美금리 인상 다시 변수로 (4) 서울뺀질이 02-28 5293
14552 2050년 동북아 인구순위 예상 (12) 고구려제국 12-22 5293
14551 [기타경제] 지역강국모임 MIKTA 현황 (2020년) (26) 스크레치 03-26 5292
14550 [전기/전자] 삼성 베트남시장 독주 "프리미엄 TV는 무조건 삼성" (4) 스크레치 06-05 5292
14549 지난해 월세 부담 사상 최대...서울 아파트 1채 장만에 13… (4) 블루하와이 02-28 5289
14548 중국에서 팔리는 TV 4대 중에 3대는 스마트TV (4) 블루로드 05-25 5289
14547 [전기/전자] 中샤오미 "韓은 도전하고 싶은 시장..유통채널 넓히고 A/S… (23) 스크레치 03-24 5289
14546 [자동차] 현대차, 車반도체 직접 만든다 (16) 안보면후회 06-14 5289
14545 작년 선진국의 개도국 지원액 사상 최대…한국은 세계 14… (9) 스크레치 04-14 5288
14544 한국어=고소득 보장… 대입 경쟁률 일본어학과 추월할 … (7) 스크레치 09-07 5287
14543 [자동차] 마하티르, '현대차 포니' 부러워한 이유 (13) 스크레치 03-17 5287
14542 [기타경제] 일본…"현대중공업·대우조선 합병 문제 있다" WTO에 제소 (12) 땡말벌11 02-12 5287
14541 [잡담] 화이트리스트 배제시 국내 수혜기업..jpg (4) 파생왕 07-24 5286
14540 [기타경제] 일본이 우리 급소 찔렀다? 시간 갈수록 일본 기업이 더 … (3) 오대영 08-10 5286
14539 [기타경제] 북한 참담한 명목GDP (vs 한국 광역지자체와 비교) (24) 스크레치 04-02 5286
14538 [과학/기술] 국정원 '레이더망'에 걸린 中연구원…의료로봇기… (14) 대팔이 06-10 5284
14537 세계시장 점유율41%LG의 ‘황금 알’ 프리미엄 TV. (6) 스쿨즈건0 05-02 5283
14536 세계 반도체시장 점유율 순위 (2017년) (6) 스크레치 01-06 5283
14535 [기타경제] 韓 '차별규제',日"하고싶은 사업할 수 있게"…… (19) 스쿨즈건0 06-06 5283
14534 [전기/전자] J.P. Morgan, 삼성전자 주식 1조원이상 매수 (2) 영종햇살 04-06 5283
14533 [기타경제] 미국에 대규모 투자로 문 대통령 힘실어준 재계, 11조원+@ (11) 일반시민 09-25 5282
14532 삼성전자, 또 기업 인수…하만 통해 영국 오디오 브랜드 … (5) 스크레치 07-20 5281
 <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