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1-11-15 09:51
[부동산] 공급대책 엇박자…與-野 대리전으로 번진 재개발·재건축
 글쓴이 : 사랑하며
조회 : 1,413  

주택 공급의 주요 통로인 재개발·재건축 정비 방식을 두고 정부와 지자체가 엇박자를 내고 있다. 

정부는 용적률 상향을 골자로 한 공공재개발을, 서울시는 사업속도 단축을 이점으로 한 신속통합기획을 내세워 대립 구도를 형성하고 있다.

“공공재개발에서 탈락해 착찹했는데 서울시가 규제도 풀어주고 지원하니 좋으면 좋지 나쁠 게 없어 보인다” vs “용적률 등 인센티브 없이는 사업성이 낮아 공공재개발이 답이다”

같은 양천구 신월7동에 자리잡은 1구역과 2구역 주민들의 말이다. 신월7동 1구역은 신속통합기획을, 2구역은 공공재개발을 통해 재개발에 나서고 있다.

내년 대통령 선거를 4개월 여 앞두고 정부와 서울시의 재개발·재건축 경쟁이 공교롭게도 여당인 더불어민주당과 야당인 국민의힘의 부동산 정책 전쟁의 대리전으로 흐르는 모습이다.

 ‘공공’을 강조하는 이재명 민주당 대선후보와 ‘민간’을 강조하는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의 주택 공약이 공공재개발과 신속통합기획 경쟁에 그대로 담겨 있기 때문이다.

정부가 지난해와 올해 쏟아낸 공급대책의 핵심인 ‘공공재개발’은 용적률을 더해주는 대신, 임대주택을 더 많이 기부하는 것이 골자다. 지역민들은 사업성 개선을, 정부는 공공주택 확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 전략이다.

반면 오 시장의 ‘스피드 공급’ 전략의 핵심인 ‘신속통합기획’은 이름 그대로 속도가 관건이다. 조합 설립과 철거에만 최소 5년 넘게 걸리던 민간 재개발·재건축의 복잡한 행정절차를 2년까지 대폭 축소해 서울시에 주택 공급을 획기적으로 늘리는 그림이다.

두 진영의 경쟁은 시작부터 뜨겁다. 정부의 공공재개발은 서울에서만 24곳이 참여하고 있다. 

4곳의 공공재건축도 추진 중이다. 서울시의 신속통합기획 역시 1차 공모에 102곳의 재개발 지역이 몰렸다. 서울시는 연말까지 25곳 정도로 추려 최종 후보지를 확정할 계획이다.

하지만 드러난 숫자로 보여지는 팽팽한 대결 양상과 달리, 정부와 서울시 두 가지 선택권을 쥔 현장 주민들의 반응은 다소 서울시 쪽으로 기우는 모습이다. 개인 재산인 땅과 집의 ‘공공성’을 앞세운 현 정부 정책에 대한 불만과 불안감이다.

여의도에서 준공 40년이 넘은 아파트에 살고있는 한 주민은 “땅값 비싼 여의도에 공공재건축은 애초 불가능한 제안이었다”며 “민간 재건축을 빠르게 진행해준다는 신속통합기획에 기대감을 갖고있다”고 말했다. 

대치와 압구정, 잠실, 여의도 등 대규모 아파트 단지 뿐 아니라 강북의 많은 재개발 지역이 오세훈 표 신속통합기획에 열광하는 이유다.

심지어 성동구 하왕십리와 마포구 대흥5구역 등에서는 정부의 공공재개발에 참여했다, 서울시의 신속통합기획으로 돌아선 곳도 나오고 있다.

이 같은 신속통합기획의 인기에 민주당의 견제도 시작됐다. 

장상기 서울시의회 의원은 지난 4일 열린 도시계획국 행정사무감사에서 “서울시 전역이 신속통합기획 민간개발로 몰리면서 저층주거 밀집지역 주민들의 혼란만 가중되고 있다”며 “기존 공공재개발 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하라”고 대립각을 세웠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사랑하며 21-11-15 09:51
   
호로파 21-11-15 11:12
   
오세훈표 공공으로 여권공공의 매매시  현금청산이란 강수도 무력화 되버렷음
입주때까지 매매 못하는 정부공공 매매가 자유로운 오세훈표 공공
누굴 선택할지는 명확한거 아님?
 
 
Total 16,529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9870
14579 [부동산] "집값 버블, 아직 멀었습니다"..더 오를 필연적 이유 (13) 사랑하며 11-19 3967
14578 [부동산] "팔려는 사람이 더 많다"…서울 아파트, 7개월 만에 '… (4) 사랑하며 11-19 2799
14577 [기타경제] 가계소득 8%↑ 역대 최대폭 (5) 키륵키륵 11-18 3086
14576 [주식] "리비안 1229억 쓸어담은 서학개미"…테슬라 뛰어넘나 (4) 사랑하며 11-18 3561
14575 [전기/전자] "SK하이닉스 中공장 개량, 美반대로 무산 가능성" 외신 (7) 사랑하며 11-18 3036
14574 [전기/전자] 英에 이어 佛도 삼성 5G장비...삼성전자 '유럽 빅3'… (2) 사랑하며 11-18 3908
14573 [전기/전자] 퀄컴 "삼성·BMW와 함께 간다" (3) 사랑하며 11-18 2447
14572 [잡담] 토왜 집권시 왜국꼴 난다. (13) 도다리 11-18 2595
14571 [기타경제] 코로나에도 대기업 투자 늘었다..3분기 누적 124.4조, 7.3%… 키륵키륵 11-17 1841
14570 [기타경제] 민주당의 압박 "기재부가 일부러 세수 19조 줄여 예측하… (6) 키륵키륵 11-17 2737
14569 [기타경제] 기재부 헛다리 잡아낸 與, 野 압박하며 예산협상 가속 키륵키륵 11-17 1519
14568 [부동산] 용인 반도체클러스터 부지 불법 땅투기 43명 적발 (2) 키륵키륵 11-17 1707
14567 [기타경제] 서울시 세금 고액체납자 명단공개, 1위는 151억 체납 키륵키륵 11-17 1308
14566 [잡담] 삼성 전세계 브랜드 2위 등극 (2) 강남토박이 11-17 3329
14565 [재테크] ‘위메이드 이어 카카오게임즈까지’…게임과 코인이 … (1) 사랑하며 11-17 1397
14564 [부동산] GTX-A 운정~서울역, 삼성~동탄 구간 연결 10개월 앞당긴다 (1) 사랑하며 11-17 1321
14563 [부동산] "영원할 것 같았던 서울 집값 꺾였다" (2) 키륵키륵 11-17 3573
14562 [전기/전자] 영국, '엔비디아 ARM 인수' 국가안보 차원에서 조… 키륵키륵 11-17 2941
14561 [부동산] 지난해 다주택자 비중 6년만에 감소, 압박 정책의 효과 … 키륵키륵 11-17 1008
14560 [과학/기술] 국산 백신 청신호, SK바사 "임상 1·2상서 99% 항체 형성" (3) 키륵키륵 11-16 2407
14559 [과학/기술] 문 대통령 "고유 기술로 한국 백신 생산·개발이 목표" 키륵키륵 11-16 1488
14558 [부동산] “비싸도 너무 비싸”…2015년 이후 서울서 340만여명 떠… (7) 사랑하며 11-16 4055
14557 [재테크] 가상자산 시총, 테슬라보다 커졌다. (1) 사랑하며 11-16 1847
14556 [재테크] "NFT 못 샀다고 배 아파 마세요"…전문가 "'이 종목'… (3) 사랑하며 11-16 2344
14555 [잡담] 중국어 학습 수요 뚝 끊겨, 내년 교사 선발 0명 (9) 오이무침반 11-16 2700
 <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