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0-04-14 23:30
[기타경제] 이탈리아 GDP추월 ㄷㄷ (PPP기준만 현재 나와있네요)
 글쓴이 : 스크레치
조회 : 5,327  

IMF 4월 경제전망치 

내일 오후쯤에 PPP, 명목 모든 기준이 다 자세히 공개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현재는 2020년 4월 IMF 경제전망치에서 GDP (PPP기준) 만 올라와있는 상황 



이탈리아의 GDP(PPP기준)를 대한민국이 넘어선것으로 나오네요 ㄷㄷ 


(1인당 GDP(PPP기준)는 몇년전에 대한민국이 이탈리아를 역전했으나 

국내총생산 GDP는 이탈리아와 대한민국이 인구차이가 1천만명 가까이 나기 때문에 PPP기준으로도 

이탈리아가 대한민국을 꽤 많이 앞서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오늘 나온거 보니 

PPP기준으로  

2020년 대한민국 GDP가 이탈리아의 GDP를 추월한것으로 나왔습니다. 


아마 -9.1% 성장 예상등 이탈리아의 코로나 직격탄도 상당한 영향을 끼친듯 싶습니다.  







<대한민국 vs 이탈리아 GDP 현황> (PPP기준) (IMF. 2020년 4월 최신판 기준) 




<2020년>


- 대한민국 (2조 3077억 1800만 달러)
- 이탈리아 (2조 2447억 6700만 달러)




<2021년>


- 대한민국 (2조 4327억 8200만 달러)
- 이탈리아 (2조 3990억 6000만 달러)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dtan 20-04-14 23:32
   
명목 gdp는 유로버프가 있어서 좀 차이날듯..
     
스크레치 20-04-14 23:33
   
예 그럴듯 합니다.
          
유기화학 21-04-28 08:38
   
222
     
유기화학 21-04-28 08:38
   
22
Trotters 20-04-14 23:44
   
경알못 이지만, 이탈리아는 원래 거의 따라잡아 가고있던 나라니, 코로나19 회복을 어떻게 하는가가 포인트겠네요
     
스크레치 20-04-14 23:46
   
비슷한 주요선진국 레벨에서

인구 1천만명 이상을 GDP에서 따라잡는건 생각보다 쉽지가 않습니다.

쉽게 얘기해서 5200만명인 대한민국 인구에서

우리 1인당GDP가 이탈리아보다 대략 20% 이상 더 높아야 가능한것이니까요


즉, 인구가 적은 나라가 인구가 많은 나라 GDP를 넘어선다는게 쉽지 않다는 얘기

(국내총생산에는 인구라는 요소가 반영이 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유기화학 21-04-28 08:38
   
222
     
태촌 20-04-15 01:50
   
거의 따라잡은 나라나니요? 현실적으로 통일하던지 무슨 극적인 상황 없으면 단기간에 따라붙을 수 없는 나라입니다.
지금도 다른 나라들이 폭망이라 우리가 올라온거지...
세계가 정상적으로 돌아가면 어짜피 이탈리아는 우리 위로 다시 올라갑니다.
          
rozenia 20-04-15 21:35
   
원래 거의 따라잡고있었는데 ;;;;; 몇년전부터 전체GDP자체가 이탈리아의 반등수치보다 우리의 성장수치가 높아지고 있었습니다

단기적으로 코로나의 영향은 있겠지만 코로나와 관계없이 이탈리아와 우리는 근접한 수치였어요
               
유기화학 21-04-28 08:38
   
222
          
유기화학 21-04-28 08:38
   
22
     
유기화학 21-04-28 08:38
   
22
Irene 20-04-14 23:58
   
이탈리아 명목GDP는 독일빨 유로빨
     
유기화학 21-04-28 08:38
   
33
사오정5 20-04-15 01:35
   
ppp는 그냥 말장난
     
스크레치 20-04-15 10:16
   
그냥 말장난인데 저런 IMF라는 세계적인 경제기구에서 매년 할일없이 내놓는 모양입니다.
          
유기화학 21-04-28 08:39
   
33
     
스카이캐슬 20-04-15 12:29
   
말장난 아닙니다...
물론 명목 GDP가 실질 "자본,경제력" 그대로 나타내는 지표이지만

PPP는 환율에 영향받지않는, 소비가능한 (효용)파워라서 그나라 국민의 물가/생활/소비 수준을 알수있죠. 
빅맥지수의 업그레이드 버전이죠
다만 집값이나 , 가처분소득이 포함되지않은건 단점
유럽은 중산층만되도 월급에서 세금으로만 40% 넘어버리니
          
유기화학 21-04-28 08:39
   
333
     
유기화학 21-04-28 08:38
   
22
아이카루스 20-04-15 01:35
   
이번코로나로 이탈리아 인구 3만명이상 사망할것으로 보이는데 1조원정도 gdp가 증발될것으로 예상됩니다.
아주미미한수치이긴하나 ㅎㅎ
     
유기화학 21-04-28 08:39
   
22
대팔이 20-04-15 09:53
   
이태리는 뭐팔아먹어서 저렇게 높지?
     
나미 20-04-15 10:30
   
이태리 의외로 고부가산업 많아요
          
유기화학 21-04-28 08:39
   
33
     
휘파람 20-04-15 11:16
   
이탈리아 제조업지수가 46%로 프랑스 43% 영국 38%비해서..
제조업 지수가 높아요..
자동차만해도 영국은 몰락했지만 아직 이탈리아는 럭셔리브랜드와 피아트같은 회사들에..
명품업체들도 프랑스와 비견돼고...
본국상황만보면 영국이나 프랑스보다 나을겁니다..
영국이나 프랑스는 식민지에서 착취하는 소득이 많어니..
이탈리아의 제일 큰문제는 마피아가 정권보다 더 세서..
국민들은 세금 탈세하고  마피아는 보호비 뜯어막는 나라인게
          
유기화학 21-04-28 08:40
   
2222
     
광파리 20-04-15 15:52
   
패션 쪽으로 가면 거진 이태리 브랜드가 갑이던데요  가죽이니 인테리어니 전부 이태리가 먹고 있는거 아닌가요 ?  마치 스위스가 고급 시계를 전부 먹고 있는 것처럼요  무슨 옷 파는거나 쇼파 침대 이런 기본적인 것들 전부 이태리가 강합니다  가죽만 보더라도 전부 광고할때 이태리제라고 광고 하더군요  고급차 쪽도 있긴 하지만 역시 패션쪽이 알아줄만 하죠 명품들 거진 이태리꺼 던데  프랑스나 독일것이 좀 있긴 하지만 이태리 못따라가죠
          
유기화학 21-04-28 08:40
   
22
     
유기화학 21-04-28 08:39
   
222
이아루 20-04-15 09:56
   
Ppp는 그냥 자위 하는걸로 봐서
     
유기화학 21-04-28 08:40
   
33
없습니다 20-04-15 14:22
   
ppp는 나라별로 국민 생활 수준 비교하라고 내놓는 수치..
이걸 가지고 자랑스러운 대한민국, GDP로 이탈리아를 제첬다..는 황당한 이야기..
     
유기화학 21-04-28 08:40
   
333
요금후납 20-04-15 14:48
   
ppp로든 뭐로든 과거에는 넘사벽으로 느끼던 국가를 넘어섰다는 자체가 의미가 있는 일.
     
유기화학 21-04-28 08:40
   
33
멀리뛰기 21-01-12 09:00
   
[기타경제] 이탈리아 GDP추월 ㄷㄷ (PPP기준만 현재 나와있네요) 감사^^
     
유기화학 21-04-28 08:40
   
333
 
 
Total 16,531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300278
14631 [기타경제] TSMC 제동 걸리나..美글로벌파운드리, 특허침해 소송 제기 (9) 굿잡스 08-28 5351
14630 [기타경제] (블룸버그) 중국 불법복제 업체들을 조지고 있는 한국인 (7) 귀요미지훈 06-20 5346
14629 [전기/전자] 삼성 5나노 개발완료 (16) 스크레치 08-01 5346
14628 마이크로 LED 양산, 한국이 첫 테이프 (3) 스크레치 12-14 5344
14627 [기타경제] [1인당 GDP 3만불 - 인구 5천만 이상] 전세계 7개국 현황 (4) 스크레치 10-25 5344
14626 [기타경제] 일본 반도체 시장이 삼성한테 비빌수없는 이유 (4) 용관띠 07-27 5344
14625 [잡담] 단통법 실시후인 10월 일본 스마트폰 시장 판매순위 (9) DSPAM 12-07 5344
14624 [전기/전자] 삼성전자 中화웨이에 중저가 스마트폰용 5G 모뎀칩 공급 … (10) 스크레치 04-11 5344
14623 [기타경제] 현대미포조선, 日 선사 PC선 수주 '싹쓸이' (20) 스크레치 05-13 5343
14622 신용카드 정지했는데 해외 사용?…즉시 소비자에 확인한… (3) 블루하와이 01-25 5342
14621 [전기/전자] 주목받는 삼성 반도체 패키징 (13) 스크레치 09-12 5341
14620 [전기/전자] '진짜 외계인기술' 삼성 투명 스마트폰 렌더링 나… (9) 스크레치 09-14 5341
14619 2017년 이후, 자동차 산업의 변화 (4) 블루로드 05-12 5340
14618 [전기/전자] 삼성전자, 4370만화소 초소형 모바일 이미지 센서 공개 (4) 진구와삼숙 09-24 5340
14617 [과학/기술] 원자반도체 개발 "메모리 용량 1000배 이상 높인다" (11) 진구와삼숙 07-03 5340
14616 [기타경제] 오늘자 한일 평균임금 한국에 역전 일본반응 (16) nakani 01-25 5340
14615 [기타경제] 인도, 중공 샤오미 계좌서 9천억원 압수.."불법으로 해외 … (4) 굿잡스 05-02 5340
14614 모디, 70조원 印度 해양산업에 한국 부르다 (5) 스크레치 04-14 5337
14613 [전기/전자] SK하이닉스 세계최초 6세대 128단 낸드 양산…"삼성 앞섰… (18) 스크레치 06-26 5336
14612 [전기/전자] 삼성전자 이미지센서 기술력으로 소니 추월하고 세계 1… (24) 스크레치 06-30 5336
14611 [기타경제] 한국과 점점 격차가 벌어지는 러시아 (17) 스크레치 04-25 5333
14610 [전기/전자] 외국언론 “삼성전자 내년 스마트폰에 자체 AP ‘엑시노… (28) 유랑선비 07-08 5332
14609 [전기/전자] 인텔, 삼성에 위탁생산 맡길 수도 (23) 스크레치 07-24 5331
14608 [전기/전자] 中 삼성전자 추격 불가능할 수도 (5) 스크레치 11-19 5330
14607 [기타경제] 이탈리아 GDP추월 ㄷㄷ (PPP기준만 현재 나와있네요) (38) 스크레치 04-14 5328
 <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