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1-11-29 00:07
[잡담] 내년 노인일자리에 1.4조 투입
 글쓴이 : 사랑하며
조회 : 1,429  


정부가 내년 1조 4,40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84만 5,000개의 노인 일자리를 공급한다고 28일 밝혔다. 정부의 ‘재정 중독’ 일자리가 고용 시장을 왜곡시킬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보건복지부는 오는 12월 17일까지 2022년도 ‘노인 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참여자 모집을 시작한다고 이날 밝혔다.

이 사업은 지난 2004년부터 시행된 사업으로 올해는 총 1조 3,300억 원(추가경정예산 포함)을 들여 82만 개 일자리를 공급했다. 내년에는 관련 예산과 공급 일자리를 올해보다 각각 1,100억 원과 2만 5,000개씩 더 늘려 잡았다. 사업 유형에 따라 만 60세 또는 65세 이상 고령층이면 일정 조건을 만족할 경우 누구나 신청 가능하다.

복지부 관계자는 “노인 일자리는 소득 증가, 우울감 개선, 의료비 절감 등 여러 측면에서 성과가 인정되고 있다”며 “급증하는 노인 일자리 수요에 대응해 사업을 양적으로 확대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문제는 정부 공급 일자리가 대부분 ‘폐지 줍기’ 식으로 생산성이 낮을 뿐더러 노인들이 원하는 일자리와 거리가 멀다는 점이다. 

김태기 단국대 경제학과 교수는 “노인들도 자신의 경험과 역량을 살릴 수 있는 ‘괜찮은 일자리’를 원한다”며 “일회성 직접 고용에 무더기 예산을 투입하기보다 일자리 교육 등 구조적 개선책을 내놓을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가 이 같은 구조적 개선 ‘숙제’를 공공기관에 떠넘긴다는 지적도 나온다. 정부는 “내년부터 ‘사회서비스형 선도 모델’ 시범 사업을 실시해 노인들에게 단순 일자리 대신 개개인의 역량을 살릴 수 있는 맞춤형 일자리를 공급하겠다”고 이날 밝혔다. 

하지만 서울경제 취재 결과 이 시범 사업의 주체는 정부가 아닌 국내 공공기관인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기관이 기금을 마련해 재원을 대고 구체적 사업 모델도 각 기관이 개별 공모를 통해 직접 구상해야 한다는 뜻이다. 한 공기업 관계자는 “정부가 노인 일자리 창출을 떠넘겨 놓고는 시간이 지나면 일자리의 질(質)을 평가하겠다고 나설 게 뻔하니 이중 부담을 짊어지게 되는 셈”이라고 말했다.

일자리의 낮은 생산성과 더불어 고용 시장을 왜곡시킨다는 점도 문제다. 

실제 통계청은 최근 올 10월 취업자 수가 전년 대비 65만 2,000명 늘면서 8개월 연속 증가했다고 밝혔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이 통계가 발표되자 자신의 페이스북에 “고용 회복세가 이어지면서 취업자 수는 코로나 발생 이전 고점(2020년 2월) 대비 99.9%”라며 “방역 위기 이전 수준으로 회복까지 3만 6,000명 남았다”고 자화자찬했다.

그러나 10월 취업자 수를 뜯어보면 60대 이상이 35만 2,000명 늘어 증가한 취업자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재정을 투입한 공공일자리가 일종의 일자리 분식 회계 효과를 내고 있는 셈이다.

출처 : https://www.sedaily.c om/NewsView/22U6Z622EV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그림자악마 21-11-29 06:49
   
베츙이가 으르신들 폐지나 주으라고 하네.
노세노세 21-11-29 09:21
   
30년 후엔 폐지줍기도 경쟁이 어머어마 할 거 같은데요;; 노인비율이 절반 넘어 갈건데;;
대기행렬 21-11-29 11:55
   
컨트롤 씨 후 컨트롤 브이면 애국자

컨트롤 씨 + 컨트롤 브이 = 애국자, 평론가, 계몽자, 나은 사람

뭐 이렇게 생각하나보다?

사랑하며?? ㅋㅋㅋㅋ 사랑이 뭔지도 모를 거고

지가 뭐하고 있는지도 모르겠지

불쌍한 인생 에효
응없어 21-12-10 01:47
   
참..답이..
 
 
Total 16,531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300273
14681 [금융] 중개형 ISA 다들 만드셨나요 (1) 힁국 12-17 2260
14680 [전기/전자] 디스플레이 1위, 결국 중국에 뺐겨... (9) 너겟 12-17 5510
14679 [잡담] 내년 대만경제 한국추월... (27) 너겟 12-17 6669
14678 [기타경제] 韓 조선, 11월 전 세계 발주 1위 척당 선가도 中 3.6배 압도… (9) 나루도 12-16 5438
14677 [기타경제] 조선 빅3 수주 7년만에 최대실적, 내년도 초대형 카타르 L… (3) 나루도 12-16 3341
14676 [잡담] 일본 GDP 조작? 8년간 건설수주 부풀려..조작 들통나 (19) 검찰개혁 12-15 5793
14675 [기타경제] 삼성전자 일냈다..TSMC 허 찌른 '비장의 무기' (21) 굿잡스 12-15 8639
14674 [잡담] 인구문제 (9) 혜성나라 12-15 1978
14673 [잡담] 일본 주도인 TPP 가입준비한다는데 (12) 샤발 12-15 3999
14672 [전기/전자] IBM과 삼성 전통적인 반도체 설계를 뛰어넘는 새로운 반… (1) 축신 12-15 3460
14671 [기타경제] 한국이 곧 망할 나라인 이유 (26) 고찰 12-15 5621
14670 [전기/전자] 메모리반도체 시장도 고성장 (1) 축신 12-14 2973
14669 [전기/전자] TSMC, 독일/인도 반도체 팹 건설 협상중 (38) Architect 12-13 7550
14668 [전기/전자] '충전 대신 배터리 교체'‥전기차 시장 흔드나? (25) darkbryan 12-13 5511
14667 [기타경제] 반도체 산업 분석 (1) 식후산책 12-12 3410
14666 [금융] 금융의 지배, '앵글로색슨 자본주의'의 정체 (3) 케이비 12-12 3352
14665 [잡담] 외노자 문제는 법 하나만 만들면 끝납니다. (5) 고우진 12-11 3706
14664 [기타경제] 제조업 아이디어 추가!! (5) 가생일 12-11 2075
14663 [기타경제] 제조업! 이런것도 도입해보자! (3) 가생일 12-11 1472
14662 [기타경제] 한국제조업의 문제점 저도 적어봅니다 (1) 가생일 12-11 1488
14661 [잡담] 나도 써 봅니다. 제조업 취업의 문제점. (15) 빠샤샤샤샤 12-11 2444
14660 [잡담] 뭐 여기다 쓸 필요가 있을까 싶은데 걍 함 써봅니다. (3) 놀구먹자 12-11 1404
14659 [기타경제] 정부의 출산장려정책 대대적 수술필요하다 (21) 굿잡스 12-10 2770
14658 [기타경제] 코로나에 결혼 급감, 신혼부부 역대최저 (5) 굿잡스 12-10 1997
14657 [기타경제] 미래없는 한국, 출산률 신기록 갱신 (31) 냉정한분석 12-09 5147
 <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