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0-12-26 11:50
[잡담] 경못알의 궁금증에 고견을 달아주실 분들 계신가요..?
 글쓴이 : aaddaa
조회 : 709  

경못알입니다만 경제에 매우 큰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1. 한중일의 미래 경제 상황은 어떻게 변할꺼라고 예상하십니까?
국뽕이나 반일/반중 감정을 제외하고서 객관적으로요

2. 한국에서 살고있고 평생을 한국에서 살 사람으로서 느끼는 한국의 가장 큰 리스크는
아무래도 저출산/고령화일텐데요. 4차 산업혁명으로 미래 노동의 가치 패러다임이 바뀐다 한들, 고령화 복지에 드는 예산에 매우 막중한 부담이 부여될 것 같은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3. 현재 한국에서 일어나고있는 부정적 상황(가계부채 폭등)은 어떻게 보시나요
일본은 국가부채가 대다수 국민들에게 빌린것이라 큰 문제가 안난다는 의견을 본 적이 있는데
한국인들은 은행들에게 돈을 빌렸고, 그 은행들 지분 대다수가 외국계 자본이라서 걱정이 됩니다.

4. 일본의 금융업은 왜이렇게 생태계가 강한 것일까요?
관치금융은 동아시아 3국이 비슷한 모양세일텐데 참으로 궁금합니다. 버블시기에 모아둔 돈 + 저축 중심의 국민성때문일까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글로벌셀러 20-12-26 12:55
   
1.중국-민주주의 없이 경제성장은 없다. 독재는 국가 제주체들의 창의력을 말살시켜 선진화를 억누른다. 1만달러이후 경제는 정치사회문화발전의 동반없이 성장하지 못한다. 그래서 한국의 문화를 훔치려든다. 일본은 계속 쇠퇴해 갈 것이고 트리거 한방에 골로 갈 것이다.
한국은 여전히 재벌,법조,수구언론의 삼각 적폐세력의 청산이 이뤄져야만 더 앞으로 나아갈 수 있다.

2. 지금은 선진화의 과도기로 출산율은 다시 회복될 것, 다만 선진화를 따라잡는 정책이 필요.  고령화는 피할 수 없는 위기로 어떻게 효율적으로 비용을 줄여가며 대처해나가느냐가 관건인데 역시 인공지능등 4차산업의 요소들, 선택적 이민정책의 도입과 고령화의 긍적적인 측면인 바이오헬스산업의 발전등을 통해 해소해 나아가야함. 통일이 된다면 해소할 시공간을 단박에 벌 수 있기도..

3. 이미 여기서 주구장창 다 걸러진 문제이니 복습하시길...참고로 토왜들이 일본은 문제가 안된다고 주댕이질하다 개털림.

4. 일본이 그나마 현재 먹고사는 유일한 방법중 하나...엔화를 무한정 찍어내서 뒷마당 삼은 성장국가인 동남아에 다양한 형태로 투자 수익 따먹음, 하지만 이것도 MMT에 의한 모래성일 뿐이기도 하고 한국과 중국 심지어 유럽까지 동남아에 집중적인 투자 시작하면서 일본 혼자 좋은거처먹던 시대도 끝.
archwave 20-12-26 14:03
   
가계부채 폭증했다지만, 거의 대부분 담보가 잡힌 것이죠.

즉 가계부채 문제가 터진다면, 사람들이 집을 잃고 전세/월세 살이하는 것으로 바뀔 뿐입니다.
당연히 집값 하락하겠죠.
IMF 터졌을 때도 부자들은 폭락한 자산을 수집하느라 바빴죠.

다른 국가들처럼 기업이 보유한 부동산에 세들어사는 것이 일반화될 뿐입니다.
이 말을 바꿔말하면 가계부채가 터져서 망한 것처럼 보여도 실은 망한 것이 아니라, 그냥 다른 국가들 수준으로 떨어지는 것에 불과하다는 얘기.
oksoc 20-12-26 19:43
   
ㅎㅎㅎ다르건 다른분들이 적어 주실거고 일본 금융업이 강하다는 말은 어디서 나왔는지 모르겠지만 일본이 이렇게 된데에는 금융업의 부실이 큰몫을 한 것입니다.
 
 
Total 16,509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8026
284 [전기/전자] 전기차 배터리 각형 지고 파우치형 떴다 (1) 스크레치 03-15 733
283 [기타경제] 애호박 3천원에 손 떨리는데... 윤석열은 가상현실 보시… (1) 가비 03-23 733
282 [금융] 건전재정 한다면서 연일 감세 정책만…선거 ‘포퓰리즘… (1) 욜로족 03-24 733
281 [전기/전자] LG, 올레드 TV로 날았다..역대 최대 점유율 (1) 스크레치 05-26 731
280 [기타경제] “한국보단 일본 갈래”…황금연휴 기간 日 향한 中관광… (1) 가비 05-05 730
279 [잡담] IMF 통계 사이트 1인당 gdp 페이지 주소 알 수 없을까요? (3) nakani 01-29 728
278 [자동차] "韓 SUV 전기차 2023년께 내연기관차와 비슷한 가격 될 것" (3) 스크레치 02-13 728
277 [잡담] 자동차 하드웨어(3줄요약) (2) 혜성나라 02-10 727
276 [잡담] 5월 인도에서 가장 많이 팔린 자동차 모델 강남토박이 06-06 727
275 [기타경제] 전기차 배터리 3사, 진격의 '아메리칸 드림'전기… (1) FOREVERLU.. 06-09 725
274 [전기/전자] SKC 동박·반도체소재 힘입어 지난해 코로나에도 영업익 3… (1) 스크레치 02-09 724
273 [자동차] 국산車 1호 '포니' 탄생 공장서.. 첫 전용 전기차 &… (1) 스크레치 03-15 724
272 [금융] 서울 강동구와 법정에서 맞붙은 우리은행 이진설 04-30 724
271 [전기/전자] 갤럭시 S21 영국에서 사전얘약 신기록 (1) 유기화학 02-13 723
270 [기타경제] 동남아 시장 공략하는 뷰티업계…중장기적 청사진 그린… (1) 스크레치 02-25 723
269 [전기/전자] 삼성SDI 전기차 배터리 흑자전환 기대..미국 생산기지 확… (3) 스크레치 07-08 723
268 [전기/전자] 미국·인도 반도체 동맹, 마이크론·AMAT 투자'러시' 나이희 06-23 723
267 [잡담] 이러고도 탈세 성공하고 잘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1) 전사짱나긔 02-18 722
266 [전기/전자] '슈퍼사이클' 메모리반도체..3분기도 가격 상승세… (3) 스크레치 06-10 720
265 [잡담] LG유플러스,창원시 스미트 수소산업 추진 (1) 유기화학 02-02 719
264 [과학/기술] mRNA까지.. 韓, 코로나 백신 생산 허브로 (2) 스크레치 05-24 719
263 [기타경제] 100조 시장 잡아라! 네이버 vs 카카오 '웹툰 전쟁' (2) 스크레치 08-20 718
262 [잡담] 최근 미국의 디커플링 전략이 반도체 산업에 주는 시사… (1) 강남토박이 03-16 718
261 [전기/전자] 자동차반도체,자율주행 시대에는 더 중요 (2) 유기화학 02-16 717
260 [잡담] 경못알의 궁금증에 고견을 달아주실 분들 계신가요..? (3) aaddaa 12-26 710
 <  641  642  643  644  645  646  647  648  649  6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