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6-02-13 12:43
참으로 이상한 2015년 경제성장률 통계
 글쓴이 : 블루로드
조회 : 6,924  

한국은행이 지난 1월 24일 발표한
2015년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은 전년 대비 2.6% 성장

한국무역협회가 지난 1월 22일 확정 발표한
2015년 우리나라의 수출입 통계: 수출 전년 대비 -8% 감소, 수입 -16.9% 감소, 무역총액 -12.27% 감소

우리나라 GDP의 무역의존도가 2008년 이후 단 한번도 70% 아래로 떨어진 적이 없는데 ...
무역총액이 -12.7%나 감소한 2015년에.. 어떻게 우리나라 GDP가 2.6%나 성장할 수 있었을까요?

<가능한 답>
1. 2015년 우리나라 GDP의 무역에 대한 의존도가 30% 아래로 떨어졌다 
  (2015년 내수경제의 GDP에 대한 공헌도가 70% 이상으로, 한국 경제의 구조가 1년만에 획기적으로 내수경제로 바뀌었다)

2. 통계 산출의 실수

3. 조작

과연 어떤 것이 답인지 ...

잘 아시는 분이 설명 좀 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제가 본 데이터로는 이해가 되질 않네요 ..

Capture.JPG


한국 수출입 통계 <한국무역협회>

국내총생산 및 경제성장률 <통계청>

한국 GDP의 무역 의존도 <자료:산업통상자원부, 관세청 통관자료> <명목GDP : 한국은행>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Marauder 16-02-13 13:20
   
수입이 줄었으니 성장할수도 있죠 꼭 총액이 중요한게 아니라요
     
블루로드 16-02-13 13:34
   
수입이 줄었으니 성장할 수 있다는 말이 무슨 뜻입니까?

또 총액이 중요하지 않다는 것은 무슨 뜻이죠?
          
유기화학 21-03-28 09:50
   
통계조작 의심되네요
고고싱 16-02-13 14:41
   
당연히 수출보다 수입이 출었으니 성장이긴 한데 불황형 성장이죠.

가계로 비유하자면 소득이 줄었으니 지출을 더 많이 줄인다면 어차피 돈은 남자나요...
라그나돈 16-02-13 16:28
   
경제성장률은

기준연도의 실질국내총생산 증가분/전년도의 실질국내총생산
= (기준연도의 실질국내총생산 - 전년도의 실질국내총생산)/전년도의 실질국내총생산

총 수출입 량이 줄었는데 어떻게 저런 수치가 나올수 있는지 모르겠군요.

저대로라면 마이너스 혹은  0.대 가 나올거같은데 말이죠.

본문 예시 1번에 나온대로 내수위주의 경제체제로 바뀌었다면 가능할수도 있겠지만, 우리나라 내수시장이 1년만에 갑자기 커졌을리는 없겠지요 . 체감상으로는 오히려 작아지고 있는것 같습니다.
라그나돈 16-02-13 16:47
   
이런 상황은 예상 해 볼수 있겠네요.

기업에서 물건을 엄청 만들었기 때문에 실질국내총생산은 올라갔다.

그런데 그 물건을 수출 한건 아니다. 그렇다고 그것을 국내시장에 판 것도 아니다.

결론은 엄청나게 많이 만든 물건을 기업의 창고에 쌓아두고있다.


이런 상황이면 가능할수도 있겠네요. 물론 이것도 말은 안됩니다만
매그넘 16-02-13 19:55
   
123 다 아니고요.
2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첫 번째로 원화 기준으로 봐야 하기 때입니다. GDP나 여러가지 국가 통계는 기본적으로 자국 통화 기준으로 통계를 냅니다. 달러가 아니고요. 우리나라는 원화겠죠?
그 나라 통계는 환율 변화는 제외하고 그 나라 통화로 내는 것이 당연한 것이지요. 달러GDP는 다른 나라와 비교하기 위해 달러로 환산해서 쓰는 것 뿐입니다.
즉, 경제성장률도 달러가 아닌 원화 실질 GDP의 성장률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달러가 아닌 원화기준으로 수출을 보면 어떨까요?(수입은 외국의 생산이라 GDP에 들어가지 않습니다.)
2015년에는 2014년에 비해 원화가치가 떨어졌기 때문에 원화 수출액을 보면 2014년보다 1~2%밖에 떨어지지 않았습니다. 달러로는 8%라도요. 즉, 천지차이라는 것이지요.
그러나 그렇게 계산해도 여전히 수출이 1~2프로는 마이너스인데 왜 경제성장률은 2.6프로나 성장 했는가 하는 의문이 듭니다. gdp의 항목인 소비나 투자가 훨씬 증가 했다고 가정해도 수출이 마이너스 1~2프로 상쇄되면 2.6까지는 못 나올텐데 하면서 말이죠.
그건 두 번째 이유 때문입니다.
저기 수출은 물가변동이 들어간 명목 수출금액입니다. 그러나 경제성장률은 물가는 고정시키고 실질 GDP로 계산합니다. 즉, 수출 저 수치 그대로 GDP에 들어 가는 것이 아니라 기준년도의 물가로 계산한 수출액이 GDP로 들어갑니다. 최근에 수출 물가가 하락하여 수출이 감소 했다는 말 많이 들어 봤을 겁니다. 거기에 힌트가 있는 것이지요.
즉, 2014년 보다 수출 물가가 하락하여 수출이 감소한 것이지 물가 변동을 없애고 기준년도(현재 우리나라는 2010년을 기준으로 함)의 물가로 수출을 계산하면 실질 수출은 증가 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경제가 성장한 것입니다.
같은 이유로 중국도 수출이 감소 했지만 경제가 성장한게 실질 수출은 증가 했기 때문입니다.
현재 세계 경제의 수출 감소는 수요 감소도 있지만 원유 가격 하락, 원자재 가격 하락 등으로 인한 수출 물가 하락도 큰 원인이거든요.
통계는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가면 볼 수 있습니다. 한국은행 자료 페이지는 링크가 안 돼서..
     
라그나돈 16-02-13 21:13
   
감사합니다. 많이 배워갑니다.

그래도 이질감이 드는 건 어쩔수없네요.
          
현우888 16-02-20 09:15
   
내용 다 틀렸는데 ㅋ  잘못된 지식 배워가네요 ㅋㅋㅋㅋ
     
현우888 16-02-20 09:18
   
GDP 성장률 산정시 환율변동요인은 제거를 해서 성장률에 반영이 안됩니다.  쉽게 수출시 환율이 1000원에서 1200원으로 올랐다고 원화기준 GDP 20% 증가효과 나타나는게 아님.  환율이 20% 올라서 원화기준 GDP가 20% 상승하게 되면 이런부분은 성장률 산정시 제거를 해서 반영이 안됨;;
          
매그넘 16-02-20 15:03
   
뭔 소리합니까 님이 이해를 못 한거죠. 그러니까 제가 환율변동은 제거한다고 하질 않았습니까?
'그 나라 통계는 환율 변화는 제외하고 그 나라 통화로 내는 것이 당연한 것이지요. ' 이게 제가 쓴 글입니다-_-;;

위에 제가 원화가치가 떨어져서 어쩌고 저쩌고라고 한 건 그게 gdp에 들어가서 그렇다는 뜻이 아닙니다. 달러로 환산할 때 수출이 8%나 감소한게 원화가치가 하락해서 그렇다는 뜻이지. 꼬아놓으니 이해를 못 하시네.
원화 수출액을 봐야된다고 제가 왜 말했겠습니까? 그게 환율변동을 제거하니까 그런거지.
자, 통계도 보여드리죠.
링크가 안 되니 직접 들어 가셔서들 보세요. 실질 수출액이 마이너스가 아니라는걸 보여줄테니.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10.국민계정(2010년 기준)->10.2.경제활동별, 지출항목별규모->10.2.2국내총생산에 대한 지출->10.2.2.4국내총생산에 대한 지출(실질)->화면 중간의 재화와 서비스의 수출 앞에 플러스 그림 클릭->(재화)f.o.b 기준 클릭->화면 오른쪽 연도설정 후->조회클릭
몽실통통 16-02-14 01:22
   
2015년 우리나라 성장은 건설쪽에서 나왔어요.

아파트건설붐이 한몫을 했죠.
     
유기화학 21-03-28 09:50
   
정답
멀리뛰기 21-01-01 20:33
   
참으로 이상한 2015년 경제성장률 통계 잘 봤습니다.
     
유기화학 21-03-28 09:50
   
222
멀리뛰기 21-01-08 10:37
   
참으로 이상한 2015년 경제성장률 통계 잘 봤습니다.
     
유기화학 21-03-28 09:50
   
2222
 
 
Total 16,52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9206
16398 경기 부진에도 국가 세금은 더 걷혔다...4년 만에 흑자 (4) 블루하와이 02-06 5452
16397 러시아 사람들이 경제난때문에 화가 나고 있다. (8) 서울뺀질이 02-06 7938
16396 해프닝으로 끝난 샤오미 美 대륙 진출기...특허가 또 발… (9) 서울뺀질이 02-06 7134
16395 '재정 앞당겨 단기 처방 → 소비 절벽'...악순환 … (2) 블루하와이 02-09 4752
16394 최악 전세난, 전·월세 중간 형태 '준전세' 늘어난… (2) 블루하와이 02-09 4534
16393 소주 이어 햄버거까지…맥주ㆍ라면 인상설 '솔솔' (2) 블루하와이 02-09 5167
16392 서울 아파트 매매가 5억 5천만 원 돌파 (11) 블루하와이 02-10 5442
16391 2016년부터 도입 될 것으로 예상되는 베일인 제도 (11) 라그나돈 02-10 6981
16390 '돈이 안 돈다'...통화 유통 속도 역대 최저 (8) 블루하와이 02-10 5207
16389 카일 배스 "중국 은행권 부실, 서브프라임 4배 넘어" (9) 서울뺀질이 02-11 6143
16388 너도 나도 편의점·치킨집...10곳 중 4곳 폐업 (5) 블루하와이 02-11 4553
16387 '선진국을 공략하라!'…한국경제 위기탈출법 (6) 블루하와이 02-12 5406
16386 중국 금융권은 시한폭탄 (14) 블루로드 02-12 8169
16385 Asia's Rich Advised to Buy Yen as BOJ's Negative Rates Backfire (5) 서울뺀질이 02-12 4852
16384 삼성전자가 AMD 인수하면 나쁘지 않을 것 같은데 말이죠. (17) 참치 02-12 6941
16383 오늘자 한국경제 (5) 이정 02-12 5129
16382 [마이너스 금리의 역습] G20 '금융시장 살리기' 공… (2) 오비슨 02-13 4808
16381 매맷값 주춤한데 전셋값만 '들썩'..올들어 0.58%↑ (4) 오비슨 02-13 3953
16380 참으로 이상한 2015년 경제성장률 통계 (17) 블루로드 02-13 6925
16379 금융 붕괴는 유럽에서 먼저 시작될듯.. (16) 고고싱 02-13 6651
16378 전세는 '옛말'..준전세 시대 개막 (4) 오비슨 02-14 4486
16377 우리·신한, 코코본드 발행 이유는 (5) 오비슨 02-14 5110
16376 치킨게임에 빠진 세계 경제 '마이너스금리'에 허… (4) 오비슨 02-14 4557
16375 집 없는 청장년층..집값 비싼데 소득은 제자리 (4) 오비슨 02-14 4617
16374 공공요금ㆍ대출금리ㆍ보험료ㆍ식료품값 '들썩' (4) 블루하와이 02-14 4745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