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1-03-16 11:20
[자동차] 전세계 수소차 10대 중 7대가 현대차..차업계 지각변동
 글쓴이 : 스크레치
조회 : 1,657  

https://auto.v.daum.net/v/20210316111802913








현대차 자동차 패러다임 변화에 민첩히 대처...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스크레치 21-03-16 11:20
   
Architect 21-03-16 11:28
   
이거 보니 생각난건데, 현대차는 앞으로 어디까지 클 수 있을까요?
자율주행 기술 및 전기차-수소차 종합 제조사, 세계 최고 수준의 수소연료전지 발전시스템 제공, 최첨단 로봇 설계/제조/공급, UAM 통한 종합 모빌리티 솔루션까지. 지금 투자하는 분야들이 제대로 성공만 하면 제2의 삼성전자가 될텐데.. 엄청난 계획이지만 그만큼 어려운 작업인지라 정의선 회장의 어깨가 정말 무겁겠어요.
     
스크레치 21-03-16 11:37
   
이미 세계 4위 자동차 판매기업으로 올라섰으니 (지난해 GM 제치고)

전기차나 수소차 판매현황등을 보면

세계 TOP3에는 충분히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현재 세계 전기차 시장은

테슬라, 폭스바겐그룹, 현대자동차그룹

3파전이 치열하게 전개중이고

이 중에서 전기차 시장 맹주가 나올것으로 전 개인적으로 보고 있거든요
          
Architect 21-03-16 11:44
   
현대차그룹은 국내에서 밀접하게 협력할 수 있는 최고의 IT업체들, 배터리 업체들, 배터리 소부장 생태계를 적극 활용해서 경쟁력을 확보한다면 좋겠습니다. 삼성전자, LG엔솔, 포스코케미칼 같은 미래 자동차를 위한 각 분야 최상위권 기업들을 모두 보유하고 있는 국가는 우리나라가 거의 유일한 상황이니까요. 여기다 중국시장 공략만 성공한다면 전기차 시장에서 상당 파이를 확보할 수 있을 것 같구요. 여기다 기존 일본업체들이 장악한 로봇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 그리고 완전히 새로운 분야인 UAM까지 개척한다면..
               
스크레치 21-03-16 11:45
   
현대자동차 그룹도

우리 배터리 업체와 협력관계는 공고하게 가져갈 생각으로 보이더군요...


최근 그 수혜를 가장 많이 보고 있는 기업은

SK이노베이션으로 보이구요
                    
Architect 21-03-16 11:48
   
중국시장 공략을 위해 CATL과 제휴하는건 이해하지만, 중국 배터리업체들의 힘을 강화하는건 장기적으로 결국 스스로의 목을 찌르는 격이므로 기본적인 협력관계는 국내 업체들과 가져가는게 바람직합니다. SK이노는 물론 삼성SDI와도 연합해야 하고, 코나 리콜때문에 LG엔솔과 관계가 다소 멀어졌을 수 있지만 이것도 속히 회복됐으면 좋겠네요. 개인적인 생각으로 한국의 배터리 주도권 확보를 위해 가장 중요한 기업은 결국 LG엔솔임은 틀림 없습니다.
                         
스크레치 21-03-16 11:56
   
그건 어제 폭스바겐의 얘기에서도 비슷하게 얘기를 했지만

중국정부가 자신들 배터리 업체 점유율 유지하기 위해서

강제로 중국에서 생산하거나 중국에 판매하는 거의 모든 종류의 전기차에는

중국산 배터리 장착해야 보조금을 지급하니


울며 겨자먹기식의 이유도 큽니다.


사실 중국 소비자들조차

테슬라의 경우 LG엔솔 배터리 장착한 전기차를 달라고 요구할정도로

LG엔솔의 배터리 기술력이 중국보다 월등한건 소비자들도 알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현대자동차 그룹이나 폭스바겐 그룹이나

중국에서 향후 전기차 판매해 나가려면

중국산 전기차 배터리를 탑재할수 밖에 없는 현실적 고충이 있습니다.


잘 아시겠지만

이 전기차는 보조금의 지급여부에 따라서

판매량이 절대적으로 갈릴정도로 보조금의 영향력이 막강합니다.



전 기술력은 배신하지 않고 속일수 없다고 늘 생각하기 때문에

한국 전기차 배터리 3사가 결국

향후 세계 전기차 배터리 시장을 장악할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Architect 21-03-16 11:58
   
네 동의합니다.
종달새의비… 21-03-16 12:20
   
현대는 프로의식 없는 노조가 문제지
중고인생 21-03-16 13:07
   
이제 현다이는 내연기관에대한 투자나 연구는 그만하게되겟지요

산업의 페러다임이 이제 전기차 와 수소차 시대로 넘어오는 과정이라 쓸때없는 곳에 돈을 낭비하지 말아야하고

점점더 격하게 경쟁이 치열해 질겁니다

현금을 두둑히 쌓아놓고 국내 국외에 스타트업들을 키우든 m&a 해나가야죠

수소차 기술력이야 세계에서 넘사벽기술력이라 세계의 차업계가 수소차로 갈려고해도 현다이의 압도적인 수소차

스텍기술 과 특허로 힘드니깐 지금 앞으론 전기차를 내놓고 잇지만 뒤로는 열나게 수소차연구계발하고 잇어요

결국은 종착점은 수소차라는거죠

만약 유럽이 수소연료전지스텍기술을 처음으로 계발햇다면 아마도 지금 수소인프라 구축에 전기차가 아닌 수소차

로 도배를 하고 잇을겁니다
순헌철고순 21-03-16 13:43
   
뉴스보니 넥소도 문제 많던데....
유기화학 21-03-27 21:26
   
수소트럭,수소버스 수출 활성화 되길 기다립니다
 
 
Total 16,508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7814
3058 [기타경제] 일본서 사랑받는 과일소주…하이트진로 日 진출 박차 (1) 스크레치 04-07 1667
3057 [잡담] 1만원을 지칭하는 관용단위를 만드는 건 어떨지?> (3) 이름없는자 01-23 1667
3056 [전기/전자] 엔비디아 "CPU 진출" 인텔 "車 반도체 생산" (3) 스크레치 04-22 1666
3055 [과학/기술] [잇츠IT] 알파고 2년, 대한민국 인공지능 현주소 (3) 답없는나라 03-07 1665
3054 [잡담] (삼성 실적) 반도체 d램 수요감소로. 전년 동기 -64% 폭락 (13) 여우봉봉 04-30 1665
3053 [전기/전자] 갤럭시폴드 9월 폴더블폰 독주체제 되나 (3) 스크레치 08-24 1665
3052 [전기/전자] 日에 기습 당한 지 반년.."초고순도 불산 독립 만세" (6) 너를나를 01-02 1665
3051 [전기/전자] LGD, 6세대 플렉시블 OLED 생산 사활…상반기가 분수령 (3) 스크레치 03-08 1664
3050 [전기/전자] SKC코오롱PI, 고성능 방열시트용 PI 필름 개발 (4) 스크레치 04-23 1664
3049 [기타경제] 여행·車·맥주·신발...日제품 불매운동 더 격렬해져 (3) 스크레치 08-03 1664
3048 [기타경제] 우리 국민 10명중 9명 “일본 여행 관심 없다” (8) 스크레치 08-05 1664
3047 [전기/전자] 삼성전자 일냈다 세계최초로 메모리에 AI 엔진 탑재 (2) 스크레치 02-17 1664
3046 [기타경제] 현대백화점그룹, 한국 최대 규모 '탄소 중립의 숲'… (1) 스크레치 08-22 1664
3045 [기타경제] 소득불균형 현상과 소득주도성장 (34) 트랙터 02-21 1663
3044 [자동차] [이슈분석]'코나' 전기차 화재 원인..'배터리 … (4) 포르투나 10-11 1663
3043 [전기/전자] 스마트폰 청소한다는 중국 앱..개인정보만 탈탈 털어갔… (2) 스크레치 03-18 1663
3042 [기타경제] 수출입물가 모두 상승세...D램 13개월 만에 반등 (3) 귀요미지훈 09-18 1662
3041 [기타경제] 전세계 유례없는 인구쇼크... 한국은 망한다 (10) 김너겟 03-01 1662
3040 [기타경제] [단독] 카카오 신세계, 이베이코리아 인수 나선다 (1) 봉대리 03-03 1662
3039 [잡담] 미국 싱크탱크: 한국은 칩스법 최대 수혜 국가 (2) 강남토박이 05-05 1662
3038 [잡담] 뜬금없는 질문이지만 세종시를 과학기술의 모델하우스… (4) rozenia 03-02 1661
3037 [전기/전자] LG디스플레이·서강대, 어지러움 줄인 VR 신기술 공동개발 (3) 진구와삼숙 05-28 1661
3036 [기타경제] 주요 개도국 최저임금순위 (시급 기준) (2) 스크레치 07-22 1661
3035 [기타경제] "한국이 또 입증할 것" 국내언론과 상반된 해외의 극찬 (1) FOREVERLU.. 05-07 1661
3034 [기타경제] 코로나기간 명품업체 韓·中이 먹여살렸다 (6) 스크레치 05-29 1661
 <  531  532  533  534  535  536  537  538  539  5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