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8-06-01 16:19
[잡담] 미국발 보호무역
 글쓴이 : 환타쥬스
조회 : 2,141  


유로화 상승은 여러가지 이유가 있지만
독일의 정치적 안정과 상대적으로 불확실성으로 여겨졌던 트럼프 행정부의 여파와
유럽이 긴축으로 돌아설 것이라는 심리가 합쳐진 결과물이었다고 생각합니다.

유로화를 이끄는 독일 성장세가 하락하고 이로인해 유럽에서 긴축을 유보하고
북핵문제 해결등 트럼프 행정부도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면
상대적으로 달러 강세로 돌아서서 다시 유럽의 수출이 활기를 띄는것이 순리로보이나

문제는 보호무역입니다.

단기적으로야 미국에게 일자리도 창출하고 무역적자도 감소하는 좋은 지표로 보이겠지만
당장 유럽도 반발하고 이 반발에 힘입어 주춤했던 중국도 같이 반발하면
세계대공황시절로 회귀하는건 시간문제라고 생각합니다.

보호무역이 극심해지면 상대적으로 수입물품가격이 비싸지고
그러면 미국내 물가상승은 당연하겠지요.

이 상승률은 비정상적인 것이 될것이고 당연히 금리인상과 더불어 주가도 떨어지겠지요.

현재 미국의 경제성장은 괜찮은 속도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트럼프행정부가 1조5천억달러 감세에 이미 서명을 했고
사회 인프라투자를 위해서 연방정부 2000억달러를 투자한다고 했습니다.

자칫 과열로 이어지기 쉬운 상황을 금리인상으로 인하여 적당히 붙잡아 두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보호무역의 역풍이 인플레에 힘을 실어준다면

물가상승 -> 금리상승 -> 대출,투자감소 -> 경기침체라는 흐름을 따라갈 것입니다.

만약 이번에 또 한번 세계적인 불황이 찾아온다면 
유럽, 일본 등 더이상 부양책을펼 체력이 남아있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지금껏 경기부양으로 축적되어온 부채가 너무 많고 
아직 경기가 회복세로 완전히 돌아서지 못한 상황에서 맞는 불황이라 더 힘들것이라 봅니다.

미국의 침체는 세계의 침체로, 세계의 침체는 미국의 침체로 끊임없이 돌것이라 생각합니다.

트럼프의 보호무역은 미국입장에서 일리있는 선택이었다고 생각되지만
다만 너무 광범위한 대상을 선택한것이 미국의 과신 아니었나 생각해봅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Sulpen 18-06-01 16:53
   
음... 이 글 읽고나니까 더 혼란스럽네요
허투루 18-06-01 20:48
   
미금리인상으로 신흥국이 흔들리고,
유럽에서는 독일 성장세도 꺽이고 이탈리아도 불안불안한 와중에
무역전쟁까지.

그래도 트럼프가 설마 극한까지 밀어붙이진 않을까 하는 기대섞인 전망을 합니다.
전쟁망치 18-06-01 22:04
   
미국의 실패한 경제 정책? 때문 입니다.
중국에게 그렇게 엄청나게 투자 해서 무역 수지를 주었으면 중국이 그만큼 뭔가 기브를 해줘야 되는데
3700억 이익은 그대로 챙기고, 거의 잠재적 적국이나 다름 없는 중국이 미국에게 무언가 많이 사줄 생각은 없어 보입니다.
차라리 동맹국들이 흑자를 보고 대신 기브앤 테이크 방식으로 필요한 걸 사도록 하면 될 텐데.
중국이 혹시 미국으로 부터 따로 수입을 많이 하는것이 있나요?
무역수지만 보면 전혀 그런것이 없어 보이던데요
달리다가 18-06-02 00:00
   
10년, 그 불황인가....
멀리뛰기 21-01-02 14:05
   
[잡담] 미국발 보호무역 감사^^
멀리뛰기 21-01-08 14:13
   
[잡담] 미국발 보호무역 잘 봤습니다.
 
 
Total 16,51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8351
3063 [전기/전자] 도시바, PC마저 판다 (9) 스크레치 06-05 2146
3062 [기타경제] 트럼프 관세폭탄 역풍… 美 철강값 40% 급등 (10) 공노비 06-04 3736
3061 [전기/전자] 트럼프에 울고 웃는 퀄컴…NXP 인수하면 제 2의 전성기 온… (3) 공노비 06-04 2605
3060 [잡담] 한국 출산율 변천 (7) 공노비 06-04 2196
3059 [주식] 책소개: 인공지능 투자가 퀀트 - 권용진 (3) Banff 06-04 1541
3058 [잡담] 아르헨티나에 한국 땅이 있다고?? 여의도 79배?? <수정… (12) KPOPer 06-04 3504
3057 [기타경제] [아시아 양대 선진국 vs 유럽 5대 주요 선진국] 1인당 GDP와… (12) 스크레치 06-03 4078
3056 [재테크] 당신이 매월 10% 고정수익을 만들 수 있다면? 이란 걸 보… (17) 고정수익10p 06-03 2543
3055 [기타경제] [중앙아시아 경제] 1인당 GDP와 명목 GDP 현황 (16) 스크레치 06-03 2368
3054 [전기/전자] 반도체를 지배해야 天下를 가진다… 美·中, 사활 건 '… (20) 스크레치 06-03 4698
3053 [기타경제] 미국이 반한 '라면', 지난해 수입액 1위는 한국산 (9) 스크레치 06-03 3028
3052 [전기/전자] 세계 D램업황 주도권은 삼성전자 아닌 SK하이닉스에 달려 (3) 스크레치 06-03 2645
3051 [전기/전자] LG전자 올레드 TV, 영국·미국서 잇달아 `만점 평가` (3) 스크레치 06-03 1602
3050 [주식] 다음주 노려볼 종목 (5) 상생벗 06-03 1396
3049 [잡담] 2018년 1월~5월 한국 대일본 수출입동향 (5) 파생왕 06-03 2330
3048 [주식] S&P (3) 상생벗 06-03 1322
3047 [기타경제] 中, 삼성·SK 반도체 가격 담합 조사 (10) 공노비 06-03 2428
3046 [기타경제] [1인당 GDP 2만불대 국가] 2023년 2만불대 예상국가 현황 (11) 스크레치 06-02 2001
3045 [전기/전자] 5월 수출 509.8억弗 역대 5위, 반도체 108.5억弗 역대 최고 (22) 스크레치 06-02 2863
3044 [전기/전자] 삼성전자, 퀄컴 중저가형 AP '스냅드래곤 710' 생산 (3) 스크레치 06-02 2318
3043 [자동차] 현대차 5월 글로벌 판매량 6% 늘어…기아차도 9%↑ (3) 스크레치 06-02 1705
3042 [전기/전자] [한국 스마트폰시장 점유율 순위] 2018년 1분기 (3) 스크레치 06-02 1630
3041 [전기/전자] '1강 4중’ 낸드플래시 업계 지각변동…삼성 다음은 … (5) 스크레치 06-02 2101
3040 [잡담] 한국 중국 기술 격차 (18) 공노비 06-02 4180
3039 [기타경제] 빚더미 톈진의 실패…죽음 택한 中은행장 (13) 스크레치 06-02 3510
 <  531  532  533  534  535  536  537  538  539  5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