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8-05-28 22:38
[기타경제] [1인당 GDP 3만불대 국가] 2023년 3만불대 예상국가 현황
 글쓴이 : 스크레치
조회 : 3,830  

5년뒤인 2023년 1인당 국민소득 3만불이 넘어갈 것으로 예상되는 3만불대 국가들 현황 

3만불이 넘어가게 되면서 이 나라들은 확실히 2023년 즈음엔 

경제적으론 선진국 수준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는 국가들입니다. 


다만 예외적으로 쿠웨이트처럼 2015년에는 일본을 넘어서는 1인당 국민소득이었다가 

유가 영향으로 많이 하락하기도 하는 

소위 중동의 부자나라들로 불리는 나라들은 소득기준만으로 선진국이라고 불리기엔 애매한것도 사실입니다

(대표적으로 카타르, 쿠웨이트, UAE 등등) 




지금으로부터 5년이 지난 시점이기 때문에 

이때쯤엔 3만불은 확실히 넘어가야 선진국수준 경제라고 확실하게 얘기할 수도 있을거 같은 시점이기도 

합니다. 




2023년 기준으로 1인당 국민소득이 3만불대에 속해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국가는  

총 7개국으로 예상됩니다. 










[참고] 



<2023년 주요 10개 선진국 1인당 국민소득 현황> (2018.4월 IMF 최신판)


1. 호주 (7만 2091달러)
2. 미국 (7만 1805달러) 
3. 독일 (6만 3728달러)
4. 캐나다 (6만 2610달러) 
5. 프랑스 (5만 3839달러)
6. 영국 (5만 1114달러) 
7. 일본 (4만 8036달러)
8. 이탈리아 (4만 2133달러) 
9. 대한민국 (4만 867달러) 
10. 스페인 (4만 822달러)  







<2023년 주요 10개 선진국 명목 GDP 현황> (2018.4월 IMF 최신판)


1. 미국 (24조 5368억 달러)
2. 일본 (5조 9624억 달러)
3. 독일 (5조 2721억 달러)
4. 프랑스 (3조 5858억 달러)
5. 영국 (3조 4766억 달러)
6. 이탈리아 (2조 5542억 달러)
7. 캐나다 (2조 4343억 달러)
8. 대한민국 (2조 1546억 달러)
9. 호주 (1조 9581억 달러)
10. 스페인 (1조 8750억 달러)  









[2023년 1인당 국민소득 3만불대 국가 현황] (IMF. 2018. 4월 최신) 




1. 키프로스 (유럽) (3만 7651 달러) 

2. 바하마 (중앙 아메리카) (3만 7409 달러)

3. 슬로베니아 (유럽) (3만 5929 달러)

4. 에스토니아 (유럽) (3만 4212 달러)

5. 푸에르토리코 (카리브해) (3만 4165 달러)

6. 체코 (유럽) (3만 3623 달러)

7. 쿠웨이트 (중동) (3만 3446 달러) 













[2023년 1인당 국민소득 3만불대 국가 명목 GDP 현황] (IMF. 2018. 4월 최신) 




1. 체코 (유럽) (3582억 달러)

2. 쿠웨이트 (중동) (1738억 달러)

3. 푸에르토리코 (카리브해) (983억 달러)

4. 슬로베니아 (유럽) (746억 달러)

5. 에스토니아 (유럽) (440억 달러)

6. 키프로스 (유럽) (333억 달러)

7. 바하마 (유럽) (149억 달러)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백제만세 18-05-28 22:46
   
스위스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벨기에 뉴질랜드 덴마크 추가요
     
스크레치 18-05-28 22:48
   
3만불대 예상 국가요

4만불, 5만불, 6만불, 7만불 그 이상 예상 국가는 나중에 따로 정리해보려구요
할쉬 18-05-29 00:16
   
스크레치님 항상 감사히 잘 보고 갑니다..
개들의침묵 18-05-29 01:02
   
전부 명목GDP 5000 이하의 소국듦이군요. 새롭게 글로벌파워로 부상할만한 나라는 없다고 보면 되는군요.
     
스크레치 18-05-30 22:05
   
예 향후 수십년간은 거대한 경제규모의 선진국이 나오긴 당분간 힘들어보입니다.

주요 10개 선진국까지가 딱 선진국이면서 명목 GDP도 2조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됩니다.
쥬스알리아 18-05-29 05:43
   
잘보고 갑니당~
리노스 18-05-29 10:12
   
저기있는 수치만큼 모든 대한민국 국민들이 잘사는 나라가 되었음 좋겠네요.
열심히 사는 사람들에게는 희망이 있는나라.
     
스크레치 18-05-30 22:05
   
공감합니다.
멀리뛰기 21-01-02 14:04
   
[기타경제] [1인당 GDP 3만불대 국가] 2023년 3만불대 예상국가 현황 잘 읽었어요~
멀리뛰기 21-01-08 14:12
   
[기타경제] [1인당 GDP 3만불대 국가] 2023년 3만불대 예상국가 현황 감사합니다.
 
 
Total 16,509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7911
3059 [주식] 책소개: 인공지능 투자가 퀀트 - 권용진 (3) Banff 06-04 1540
3058 [잡담] 아르헨티나에 한국 땅이 있다고?? 여의도 79배?? <수정… (12) KPOPer 06-04 3503
3057 [기타경제] [아시아 양대 선진국 vs 유럽 5대 주요 선진국] 1인당 GDP와… (12) 스크레치 06-03 4077
3056 [재테크] 당신이 매월 10% 고정수익을 만들 수 있다면? 이란 걸 보… (17) 고정수익10p 06-03 2541
3055 [기타경제] [중앙아시아 경제] 1인당 GDP와 명목 GDP 현황 (16) 스크레치 06-03 2366
3054 [전기/전자] 반도체를 지배해야 天下를 가진다… 美·中, 사활 건 '… (20) 스크레치 06-03 4696
3053 [기타경제] 미국이 반한 '라면', 지난해 수입액 1위는 한국산 (9) 스크레치 06-03 3028
3052 [전기/전자] 세계 D램업황 주도권은 삼성전자 아닌 SK하이닉스에 달려 (3) 스크레치 06-03 2645
3051 [전기/전자] LG전자 올레드 TV, 영국·미국서 잇달아 `만점 평가` (3) 스크레치 06-03 1601
3050 [주식] 다음주 노려볼 종목 (5) 상생벗 06-03 1395
3049 [잡담] 2018년 1월~5월 한국 대일본 수출입동향 (5) 파생왕 06-03 2328
3048 [주식] S&P (3) 상생벗 06-03 1321
3047 [기타경제] 中, 삼성·SK 반도체 가격 담합 조사 (10) 공노비 06-03 2427
3046 [기타경제] [1인당 GDP 2만불대 국가] 2023년 2만불대 예상국가 현황 (11) 스크레치 06-02 2001
3045 [전기/전자] 5월 수출 509.8억弗 역대 5위, 반도체 108.5억弗 역대 최고 (22) 스크레치 06-02 2863
3044 [전기/전자] 삼성전자, 퀄컴 중저가형 AP '스냅드래곤 710' 생산 (3) 스크레치 06-02 2318
3043 [자동차] 현대차 5월 글로벌 판매량 6% 늘어…기아차도 9%↑ (3) 스크레치 06-02 1705
3042 [전기/전자] [한국 스마트폰시장 점유율 순위] 2018년 1분기 (3) 스크레치 06-02 1630
3041 [전기/전자] '1강 4중’ 낸드플래시 업계 지각변동…삼성 다음은 … (5) 스크레치 06-02 2100
3040 [잡담] 한국 중국 기술 격차 (18) 공노비 06-02 4180
3039 [기타경제] 빚더미 톈진의 실패…죽음 택한 中은행장 (13) 스크레치 06-02 3510
3038 [기타경제] 말레이시아 재정 파탄에 국민이 나섰다…"韓 금모으기 … (10) 스크레치 06-02 2386
3037 [전기/전자] 삼성전자, 中 스마트폰업체 공세에도 세계시장 점유율 1… (14) 스크레치 06-02 2515
3036 [전기/전자] 마이크로 LED TV 태동기…주도권 확보 나선 삼성 (3) 스크레치 06-02 1493
3035 [자동차] 포스코, 독일 폭스바겐과 전략적 협력 강화키로 (6) 스크레치 06-02 1409
 <  531  532  533  534  535  536  537  538  539  5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