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8-06-21 20:06
[기타경제] 전세계 LNG선 쓸어담는 국내 조선 빅3…대우조선 1척 또 수주
 글쓴이 : 스크레치
조회 : 3,435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6&aid=0001408000







대우조선해양은 올해 전세계에서 가장 많은 LNG운반선 10척을 수주하게 되었네요 


오늘도 그리스 최대 해운사로부터 LNG운반선 1척을 수주했구요 


앞으로도 계속 압도적인 기술력 유지해서 


전세계 고부가가치 조선업을 싹쓸이 해나가길 기대해봅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스크레치 18-06-21 20:08
   
귀요미지훈 18-06-21 21:54
   
고부부가치 선박인 LNG 운반선과 대형 원유 운반선(VLCC) 싹쓸이

올해 누적수주량 1위

CGT 기준 중국의 2배 이상

여기에 만약 필리핀 잠수함 수주까정 하면 금상첨화...ㅋㅋ
즈믄다솜 18-06-21 22:15
   
삼성 중공업이 조용한기.. 설마 대형 유람선 개발을 몰래 하고 있는건가? "Harmony of the Seas" 보다 더 크고 멋진 작품을?? 설계할 능력도.. 운영할 솦트웨어 제작 기술도 없는건 확실하기는 한데... 이런 부정적 생각을 확 바꿔 버리는 획기적 사건이 생겼으면 좋것다. ^^;;
     
KCX2000 18-06-21 23:04
   
유람선 제작의 문제가 내부에 들어가는 고가의 내장재들을 전부 유럽에서 수입해야됩니다.
그래서 제작단가 책정하기가 아주 힘들답니다. 얼마전에 일본 조선소에서 블루오션이랍시고
유람선 한척 제작했다가 개피봤죠.
     
참치 18-06-22 03:13
   
kcx2000님 말대로, 주요 발주사들이 유럽과 미국이다 보니, 내장재가 죄다 유럽명품 수공업제품들... 

배설계의 핵심인 진동저감설계 능력 이전에, 만들고도 손해보는 분야가 고급크루즈선 이라죠.
     
SuperEgo 18-06-22 09:34
   
구찌, 프라다를 기술이 없어서 못만드는건 아니져
네임벨류, 명품을 담아내는 디자인 감성.. 뭐 그런게
부족합니다. 단시간내 누적되는기술도 아니구요.
게다가 결정적으로 크루즈선은 국내조선소에서
만드는 것과 공법이 다릅니다. 빅3에서 기술축적삼아
세월호와 비슷한 카페리 흔히 로펙스선이라고 부르는
급의 여객선은 몇번 시도한적있는데 이마저도
시쳇말로 피똥쌌죠. 하면 좋긴한데 크루즈는
유럽이 워낙막강해서 근시일내에 다시 하기
힘들겁니다. 요즘 다들 허리띠 졸라메는 상황이라..
일반상선과는 개념이 다르거든요.
전쟁망치 18-06-21 23:52
   
조선산업 종사자분들 에게는 희소식 이군요.
프리홈 18-06-22 02:15
   
조만간 조선 경기 호황이 되어서 협력업체 포함 해고되었던 근로자들이 다시 채용되는 문화를 정착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해고의 고통을 겪은 근로자들의 일에 대한 자세도 달라지겠지요.
물론 경영층의 잘못이 훨씬 컷지만요.
회사의 발전과 노조/근로자의 발전은 다름이 아니니까요.

그러면 자연히 경남지방에 활기가 돌아오겠지요.
이 경우가 GM자동차건의 인천지방으로도 파급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현시창 18-06-22 09:50
   
1> 러시아의 [밸브 잠궈]로 에너지 안보위기를 겪은 서유럽이 수입처 다변화를 하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대서양 건너 미국산 셰일 가스를 수입하려들고 있고, 이로 인해 LNG운반선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2> 파이프를 이용한 러시아산 천연가스보다 대양을 건너온 미국산 셰일가스가 더 싼 상황이기 때문에 기존 러시아에 에너지를 공급받던 여러 국가들도 수입처 다변화를 위하 미국산 천연가스 수입을 추진중입니다. 이로 인해 LNG운반선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3> 국제 유가와 천연가스 가격 상승으로 그동안 묻어놓았던 해상천연가스전과 셰일가스전이 재가동되거나 재개발되면서 LNG운반선 수요가 증가중입니다.

당분간 LNG운반선 수요는 지속해서 성장합니다. 저유가 쇼크로 상당기간 신규 LNG운반선 건조가 없었고, 이로 인한 노후선박 대체도 부실한데 더해, 기존 하이티어 조선소들이 반짝 찾아온 고유가 시대를 극복하기 위한 각종 에너지 절감형 고효율 선박 설계를 완료하고 일부는 인도해 안정성을 확인하고, 초기비용을 절감하는데 성공했기 때문에. 다시금 유가가 오르면서 살아남은 하이티어 조선소들에게 계약이 집중될 것입니다.

지금 현재 에너지 절감형 고효율 추진능력을 갖춘 선박을 설계완료하고, 검증없이 즉각 건조인도가 가능한 특정국의 특정 조선소 셋 밖에 없습니다. 혼란과 파괴의 시절 일본은 LNG, VLCC, 초대형 컨테이너선 건조능력을 스스로 거세했습니다. 중국은 온실속 화초로 지내며 여전히 벌크선과 저가형 컨테이너선에만 의존하며 기술개발을 하지 못했습니다.

이제부터 당분간 조선업은 호황국면으로 접어들겠지만, 예전같은 대량고용은 힘들 것입니다. 효울화를 추구하며 상당 공정을 무인화했기 때문입니다.
     
SuperEgo 18-06-22 15:14
   
공정을 무인화한건 크게 없습니다.
조선소 자체가 워낙 인력집약산업인건
예나 지금이나 변함이 없구요.
공법효율화를 통해 인력투입을
줄인부분을 지적하신거라면 틀린말은
아니겠고, 현 조선업의 인력감축은
조선3사 모두 해양사업부문을 줄인것이
 크다고 봐야하지요.
또한 셰일가스는 러시아가스보다 저렴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대략 2배가량 비싼 상태죠.
러시아의 북극해 천연가스를 도입하기위한
야말 프로젝트도 그런 영향이 어느정도
작용을 했습니다. 다만 러시아가스관 연결이
대두되면서 선박으로 수송하는 계획은 수정될거로
보구요. 셰일가스는 특성상 채굴시 발생하는 환경
오염과 기술적 난이도로인해 매장가스보다
최소 마진의 임계가 높은편에 속합니다.
실제 유가가 30불가까지 떨어졌을당시
셰일가스전 모두를 채굴가능상태로 봉인하기도
했습니다. 최소 유가가70~80불이상 되어야 마진이
남는다고 하더군요.
조선부분의 호황을 예상하시는데 유가상승과
더불어 2020년까지  IMO(국제해사기구)에서
제시한 황산화물 규제로인한 친환경선박으로의
전환기가 도래하는영향도 크다고 봐야겠지요.
어쩌건 조선경기가 살아나고는 있지만 각조선소가
허리띠를 졸라매는상황에서 전과같이 무분별하게
해양부문에 투자하는 경우는 없을걸로 생각하기에
조선활황이 즉각적으로 인력고용으로 파급되진
않으리라 저도 생각합니디.
멀리뛰기 21-01-02 14:10
   
[기타경제] 전세계 LNG선 쓸어담는 국내 조선 빅3…대우조선 1척 또 수주 감사^^
멀리뛰기 21-01-08 14:20
   
[기타경제] 전세계 LNG선 쓸어담는 국내 조선 빅3…대우조선 1척 또 수주 감사^^
 
 
Total 16,511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8239
3236 [기타경제] 시진핑의 항복선언 나오나 (9) 스크레치 06-27 4041
3235 [기타경제] 미국, 11월까지 이란 원유 수입 전면 중단 요구…“예외… (3) 스크레치 06-27 1687
3234 [기타경제] 값싼 전기료 시대 끝나… 연료가격연동제 검토 (4) 영어탈피 06-27 1585
3233 [전기/전자] 삼성, 1분기 인텔과 격차 더 벌렸다…반도체 1위 굳히기 (20) 스크레치 06-27 2563
3232 [기타경제] 포스코 9년 연속 세계 최고 철강사 선정 (5) 스크레치 06-27 2132
3231 [기타경제] 포스코 '기가스틸', 미래차 선도…'르노삼성 S… (4) 스크레치 06-27 1918
3230 [자동차] 수소차 2022년 ㎞당 70원에 달린다 (3) 스크레치 06-27 1448
3229 [자동차] 수소차 생태계 구축에 5년간 2조6000억 투자·일자리 3800개… (4) 스크레치 06-27 1309
3228 [전기/전자] 삼성 손잡았던 퀄컴, 다시 TSMC 가나…파운드리 사업 빨간… (3) 3월의토끼 06-27 1990
3227 [기타경제] 관광입국 가능한가. 각 국 해안선 면적 (5) 코삐 06-27 1725
3226 [기타경제] 현대로템, 대만 무인경전철 사업 수주…5424억원 규모 (9) 스크레치 06-26 3060
3225 [과학/기술] 한국형발사체 개발 초읽기 (15) 귀요미지훈 06-26 3429
3224 [과학/기술] 2018.6월 수퍼컴퓨터 순위 (8) Banff 06-26 3151
3223 [기타경제] [하위권 선진국 경제] 1인당 GDP와 명목 GDP 현황 (6) 스크레치 06-25 2598
3222 [자동차] '수소차' 원조 한국, 일본과 초격차 벌린다... (19) 스크레치 06-25 5235
3221 [전기/전자] 삼성, 세계 첫 프린팅 기반 QDCF 도전, 옥사이드 기술 확보… (10) 스크레치 06-25 3054
3220 [기타경제] 北여성 "시집갈 때 한국산 화장품 예물로 받으면…" (13) 스크레치 06-25 3646
3219 [전기/전자] 삼성전자, 가정용 마이크로 LED TV 내년 조기 출시…프리… (8) 스크레치 06-25 1821
3218 [잡담] 중국과 한국의 도시별 1인당 GDP (10) 진성한 06-25 4906
3217 [잡담] 중국 현지 평균임금 수준이 얼마정도 하죠? (10) 로빈손 06-25 3690
3216 [기타경제] 가덕에 신공항+항만 ‘투포트’ 추진 (4) conelius2030 06-25 1833
3215 [기타경제] 세계 1인당 국부순위 (2017년) (8) 스크레치 06-24 2796
3214 [전기/전자] 삼성 시네마 LED '오닉스' 인도까지 진출…9개국 … (6) 스크레치 06-24 2424
3213 [전기/전자] 삼성전자, 10년 연속 사이니지 시장 1위 도전...마이크로 L… (6) 스크레치 06-24 1933
3212 [금융] 캄보디아, 국내금융기관들 진출 가속화 (5) 귀요미지훈 06-24 1949
 <  531  532  533  534  535  536  537  538  539  5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