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2-07-11 04:59
[전기/전자] 삼성전자 '이것' 성공했다는 소식에…퀄컴도 돌아왔다
 글쓴이 : 나이희
조회 : 5,442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4985942?sid=105 [102]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 업계의 큰손 고객인 퀄컴이 대만 TSMC 대신 한국 삼성전자의 손을 다시 잡았습니다. 삼성전자의 첨단 공정인 3나노 공법의 초도 물량 고객으로 이름을 올린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절대 강자 TSMC의 물량을 다시 삼성이 가져오게 되면서 파운드리 시장에 지각변동이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이름없는자 22-07-11 05:07
   
퀄컴과의 협의는 아직까지 협의 중인 사항이고 확정된 주문이 아님.
아마도 퀄컴은 TSMC 와도 협의중일 것임. 
그러니 아직 퀄컴의 차세대 칩이 TSMC 일지 삼성일지 결정이 난 것이 아님.
일정에 따라 올해처럼 초기 버전에는 삼성, 나중에 개량버전은 TSMC 와 plus 칩을 만들 가능성 높음.
퀄컴을 잡은 것 처럼 설레발이나 김치국은 금물임.
     
력삼동 22-07-11 19:54
   
이번에는  그리 못함
삼성은 GAA고 TSMC는 핀펫이라서  초기 버전  후기 버전 나눠서 못함
즉 설계가 근본부터 다름
     
새끼사자 22-07-13 16:23
   
퀄컴 플러스칩은 삼파에서 만들면서 자기들 칩셋 설계 문제발견하고 개선한 칩셋이라 성능이 더 나오는 형국이긴 하지요. 삼파가 약간 억울한 느낌도 있긴 함.
식후산책 22-07-11 11:48
   
'TSMC 생산' 퀄컴 AP도 발열 논란…삼성전자 면죄부 생기나
공정 아닌 '설계' 문제 가능성 제기
http://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204131327055680102320&svccode=00&page=1&sort=thebell_check_time

설계 문제 맞나요?
     
력삼동 22-07-11 19:56
   
핀펫으론 4나도 부터  안되나봐요.
 퀄컴은 양사 파운드리서  문제, 애플은 아예 다시 5나노로 돌아가고

GAA 늦춘 TSMC는  엄청난 똥볼 찬거 같음
          
셀시노스 22-07-12 12:02
   
TSMC는 핀펫 안받아들였었던 10년전 삼성꼴 난건가요??
아르슈나 22-07-11 15:41
   
TSMC가 불량률을 줄이고 수율을 올릴 수 있느냐에 달린듯.
glhfggwp 22-07-13 12:39
   
일부 삼성파운드리 탓도 있지만(수율, 트랜지스터 집적도)
절대적으로 삼성탓은 아님.
설계도 일부변경하면서(같은 핀펫에 같은 공정이라고해도 삼파, tsmc의 공정별 프론트엔드, 미드엔드, CPP, 핀피치등등이 다름.) 일단 퀄컴 8gen1+의 성능은 확실히 올라갔음. 8gen1보다 전력소모량이 15% 줄어들었고
그것으로 클럭을 올림. 그래서 여전히 10w소모임.
그럼 이렇게 생각할것임. 미디어텍 디멘시티 9000은 왜 저렇게 높나? (여전히 8gen1+가 디멘시티 9000에 싱글, 멀티성능 밀림. 간단함.)
ARM의 요구를 모두 충족했음. L2, L3캐쉬를 모두 권장량을 탑재했습니다.(L3 기준으로 퀄컴 25%쳐냄, 삼성 엑시 50%쳐냄. 특히 삼성은 원가절감을 너무해서 문제임.) 거기다가 말리의 기본태생으로 인해서 코어를 단계적으로 쓸수있는 장점때문에 발열에 조금더 자유로울 수 있음.(CPU 테스트시 AP내의 CPU만 풀가동시키고 GPU인 말리는 10개중 1개만 활성화 되기때문임. 거기다가 최저클럭으로 다운되고 그리고 G-710의 16코어풀로 넣어도 퀄컴 아드레노에 근접이라도할텐데 10코어만 넣어서 게임구동시 퀄컴보다 더 소모가 적어짐. 퀄컴 아드레노는 그게안됨. CPU벤치만 돌려도 GPU는 클럭만 최저클럭으로 낮출뿐 모두 활성화됨. 하나의 덩어리라.) 이게바로 디멘시티가 6W가 나오는 마법임. 덤으로 LPDDR5의 컨트롤러때문에 클럭이 더 높일수있음.
그럼 알것임 디멘시티가 저렇게 좋은데 채택하는곳이 왜 적을까? 8GEN1+는 출시도 전에 주문량 꽉 찼는데 디멘시티는 왜 안될까? 간단함. GPU실성능이 구려서 그럼. 4w차이가 여전히 나는데도 여전히 뜨거운데도 게이머들때문에 안됨. 삼성도 8gen1+ 탑재할 폴드시리즈는 쿨링시스템 s21이나 s22처럼 원가절감 절대하면안됨.
 
 
Total 16,517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8580
15217 [금융] 韓 수출 투자 성장 다 고꾸라져.."1년내 경제위기 올 확률… (10) 가민수 07-28 7005
15216 [잡담] 폴란드, K-2 전차·FA-50 경공격기 등 총괄합의 체결 / YTN 조지아나 07-28 4255
15215 [기타경제] 한덕수 "외환 위기 아냐..한미 통화스와프, 절실하지 않… (11) NIMI 07-27 4763
15214 [과학/기술] "日 무시했지만"…韓 소부장, 삼성 3나노 반도체 '언… (4) 나이희 07-27 8521
15213 [잡담] 인도 뉴스 - 인도와 한국음식의 놀라운 유사성 (ft.인도 … (8) 조지아나 07-26 5688
15212 [금융] 일본, 한국보다 가난해진다..엔화 폭락에 1인당 GDP 역전 (25) 꼬마와팻맨 07-24 7244
15211 [잡담] 스리랑카 다음은 어디 일까? (2) 이름없는자 07-24 3211
15210 [잡담] 국내연구진 해양 사고시 유출 기름, 제거및 회수 발명품… (3) 조지아나 07-24 2792
15209 [전기/전자] TSMC.스냅드래곤 성공적으로 생산..드디어 발열문제 해결. (27) OS2NO3 07-23 7916
15208 [기타경제] 깎아준다던 종부세 다시 인상..1주택자 세폭탄 맞나 (3) NIMI 07-23 3540
15207 [기타경제] 원·달러 환율, 다시 1310원대..5.3원 상승(종합) NIMI 07-23 2257
15206 [기타경제] 14년전 자료 재탕해 법인세 감세..대기업은 투자 축소 … (4) NIMI 07-22 2170
15205 [주식] MOU 국산 전차·경공격기·자주포, 폴란드와 19兆 수출 계… (28) 조지아나 07-20 7979
15204 [기타경제] "미국도 제 코가 석잔데.." 1300원대 환율, 통화스와프로 … (9) NIMI 07-19 6077
15203 [잡담] 차세대 탐 크루즈는 한국 남자배우 (10) 이름없는자 07-18 8431
15202 [잡담] 브라질 엠브라에르 인수는 어떨지... (4) 이름없는자 07-18 4501
15201 [금융] 외환거래 사전신고 의무폐지 (11) 가민수 07-17 3468
15200 [잡담] DSLR 의 종말이 고급카메라의 종말이 아님 (15) 이름없는자 07-17 4467
15199 [잡담] DSLR 카메라 시대 종언..日 기술개발 중단 (1) 감을치 07-17 3551
15198 [기타경제] 강달러에 빅스텝도 무소용..추락하는 원화 (66) NIMI 07-16 3588
15197 [잡담] 현 정부가 내놓은 빚 탕감 실제 실행 가능할까? (32) 놀구먹자 07-16 4141
15196 [기타경제] 1,320원마저 뚫린 환율..고물가·고금리 3고에 경기침체 우… NIMI 07-16 1383
15195 [잡담] 정통 보수의 경제적 핵심가치 (6) 이름없는자 07-15 1989
15194 [기타경제] 코인 투자 '빚투' 탕감해준다니..역차별 분노하는… (8) NIMI 07-15 2580
15193 [기타경제] 대한민국 경제의 희망과 문제점 (13) 혜성나라 07-15 2122
 <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